-
-
이 치열한 무력을 - 본디 철학이란 무엇입니까?
사사키 아타루 지음, 안천 옮김 / 자음과모음 / 2013년 9월
평점 :
국내 번역된 아타루의 두 번째 책이자 첫 번째 `공저`는 간주곡이나 마찬가지! ˝잘라라...˝의 덕을 톡톡히 본 듯한 출판사가 처방해 주는 진통제 같은 책이다. 효력이 그렇게 강하다고 할 수는 없겠다. 난 차라리 <사상으로서의 3.11>(그린비)에 수록된 사사키 아타루의 강연문을 재독할 것을 추천한다.
비평가/철학자의 아타루의 색을 빼고 소설가이기도 한 사사키 아타루의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비평가/철학자 아타루의 글을 읽는 것이 그래도 괜찮은 것은, 들뢰즈, 니체, 푸코, 라캉 등 그래도 공유할 수 있는 소통의 지점들이 산재했있다면, 소설가 아타루의 내용이 어려운 건 우리에게 아직 그의 소설이 도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들뢰즈를 사랑스럽다고 말하고, 철학의 어려움을 옹호하고, 난해함의 쾌락을 찬양하는 데서는 박수를 치며 좋아라 했지만 군데 군데 막히는 것은 전작을 읽을 때와의 확연한 괴리감이었다. 내가 주목했던 것은 후루이 요시키치의 작품을 논하는 2012년 파트 앞에 놓인 한 편의 글과 한 편의 인터뷰.
이 책은 사사키 아타루의 개인의 이름만을 겉에 깔고 나오기엔 무리가 있다. 대부분이 대담이나 인터뷰이며 근대 이후의 발명이라 할 1인 창작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참여자들이 공유하고 있는데... 그리고 이 책에는 부제로써 아니면 '이 치열한 무력을'을 부제로 돌린 뒤 '아날렉타 제 4권'이라는 본령을 좀 더 부각했어야 한다. 힙합에 대해선 잘 모르지만, 마지막에 실린 'Back2Back'에서의 설명에도 나오듯이 협업이나 공동 작업으로 이루어진 창작행위에 대해 어떤 가능성을 예감하고 있는데 그것이 책의 표면에선 가려진 것이 아쉽다. '아날렉타' 시리즈의 취지에 부합하고 그 맛을 살리려 했다면 가격이나 판형 등이 저렴해질 수 있었을텐데.
끝으로 나에게, 이 책 안에서 가장 아름다운 문장을 하나 꼽는다. 편 수로는 8할 정도 분량으로는 9할 이상이 대담인 이 책에서 유일한 장문의 글('후루이 요시키치, 재난 이후의 영원')의 주석 152번이다.
"물론 후루이 문학의 팔루스phallus 혹은 여성 문제를 정면에서 다룰 필요가 있겠으나 이는 다른 기회로 넘긴다. 또한 지금까지 논해온 내용에 덧붙여 '영토성', '후렴'을, 혹은 '여성이 됨'(경탄을 자아내는 걸작 <밤은 지금>이 바로 이를 그린 소설이다.), 혹은 '동물이 됨'(<남동생>이라는, 동물로의 생성 변화를 그린 소설이 있음을 지적해둔다)을 논한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를 끌고 와 후루이를 논하는 것도 가능했으며, 그렇게 논하지 않은 것을 의아해 하는 독자도 있을 수 있겠다. 오히려 그게 더 타당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이렇게 말하고 싶다. 사랑스러운 들뢰즈=가타리는 일본어를 못 읽기 때문에 후루이 요시키치를 모른다. 불쌍한 들뢰즈. 불쌍한 가타리."(273면, 강조는 인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