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이에 뒤 시네마 영화비평의 길을 열다
에밀리 비커턴 지음, 정용준.이수원 옮김 / 이앤비플러스 / 2013년 5월
평점 :
'영화'라는 익숙한 것에 붙은 '카이에'라는 낯선 것의 간추린 역사: 만약의 오해 아닌 오해가 하나 있다. 진지함은 어디서나 지나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라는 것. 진지한 사람은 웃기거나 썰렁한 사람으로 여겨지기 십상이다. 그런데, 시초의 '카이에 뒤 시네마' 의 상징이었다던 노란색 표지를 본 딴 국역본의 이 책은 '영화'에 진지하고 게다가! 급진적이었던 한 무리의 시네필들이 걸어온 길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영화에 진지하게 굴려는 사람에게 내가 속한 이 시대는 어떻게 나오는가? 애석하게도 저자 에밀리 비커턴 역시 지금의 '카이에'를 지지하지 않는다. 어쩌면 '카이에'의 마지막 황금기를 이끌었던 세르주 다네가 물러나고 그와 공동 편집장이었던 세르주 투비아나가 단독 편집권을 차지한 뒤의 '카이에'는 가벼워졌고 유해졌다. 특유의 고집과 싸우고자 하는 의지, 편파적인 사랑과 지지로 똘똘뭉친 돌파력은 지금의 '카이에'에서 보기 힘들다고 한다. 그래도 비커턴이 지금의 '카이에'(이건 고유명사다)에 대는 잣대를 앞으로의 '카이에'(이건 일반명사다)까지 던지진 않는다. 그녀는 불사조의 신화를 떠올리며 이렇게 말한다.
"<카이에>는 현재 죽은 태양일지 모르지만, 우리에게 영화의 과거와 미래를 이해하기 위한 가장 풍부한 원천을 남겼다. <카이에>의 잿더미에서 1,000명의 대천재들이 다시 태어날 수 있다." (222면, '맺음말')
히치콕은 알지만, 하워드 훅스는 모르고, 장 뤽 고다르는 알지만 자크 리베트는 헛갈린 사람에게 이 책은 좀 난처하다. 약사(略史)의 미덕을 지키기 위해 친절하게 풀어주는 설명은 거의 생략됐기 때문이다. 대신 집중적으로 파헤쳐 정리한 듯한, 그래서 외워두고 싶은 문장들은 곳곳에 있다. 집단 '카이에'보단 그 안의 각자의 빛나는 지점을 돋아낸 그것들은 대부분이 긴 편이다.
바쟁은 엄격한 질서와 자발성, 그 둘을 규정하는 자유와 속박의 혼재에 매료되어 마치 자신이 집에서 키우는 동물을 돌보며 느끼는 매혹과 같은 감정을 갖고 영화를 보았다. “그의 영화 사랑법은 영화를 통한 사랑법인데 그것은 마치 그가 앵무새나 카멜레온, 뱀 등 인간을 포함한 모든 자연세계의 생명체를 사랑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바쟁의 글은 그가 영화 앞에서 경험하는 이 같은 폭로의 느낌을 전달하고 있다. 즉 영화는 그에게 인생과 예술에 대해 가르침을 주었고, 그는 이제 막 무언가를 알게 된 학생이 그 새로운 지식을 즉시 다른 사람과 나누고 싶어 하는 흥분된 열정으로 글을 썼다. (52면, '황색 시대: 1951-1959')
다네와 투비아나는 모두 1973년 이후 ≪리베라시옹 Libération≫에 비평을 써왔는데 이는 이들이 비평가의 역할을 보는 방식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다네는 이 경험에서 많은 것을 얻었는데, 마감 시한이 빠른 데다 독자들이 비전문가이기 때문에 분석해서 누구를 대상으로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가라는 질문들을 좀더 정기적으로 그리고 보다 절박하게 제기해야 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다네는 이러한 형식으로 글을 쓰면서 진공 상태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이데올로기적 투쟁을 보다 쉽게 상상할 수 있었다. 그는 (자신이) 구체적인 적―”반동적이며 파시스트적인 영화”―에 대항해 싸우는 실제 투쟁의 일부가 되는 것을 느꼈으며, 이 투쟁에 글을 쓰며 참여할 때 저널리스트들은 그 대상, 즉 독자를 고려해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145면, '다네의 시대: 1974-1981')
이 책(지금 독서일기 쓰는 비커턴의 책 또는 카이에'의 역사라는 추상적인 책)에서 유일하게 아름답다고 느낀 것은 영화 안에서 이루어지는 우정의 이야기들이었다. '카이에' 1세대에게 영화가 가족과 교육을 대신했다는 대목이나 들뢰즈나 푸코 등 동시대의 지식인들의 영화 사랑으로 뛰어나고 힘이 있었으며 역사적인 공동 창작물을 남긴 에피소드가 그렇다. 정치로 뜨겁기도 했고, 이론에 경도돼 아카데믹해지기도 했다가 이제는 자본 '안에서'(그건 창간호 때부터 주어진 조건이었다. 문제는 한창 때와 달리 지금의 '카이에'가) 그냥 순응하며 살기로 이어져 오기까지 '카이에'의 역사는 단순하지 않다. 아직 단 한 권의 '카이에 뒤 시네마'도 본 적이 없는 나는, 비커턴의 안내를 받으며, '카이에'의 지속이 아니라 그 '정신'의 지금의 당위성과 가능성 그리고 잠재성을 진지하게 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