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티카
베네딕트 데 스피노자 지음, 황태연 옮김 / 피앤비 / 201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자발적 유배자의 신학:
「에티카」(황태연 옮김, 피앤비)
기하학적 구성의 틀 안에서 제한된 어휘로만 축조된 이 책은 고갈되지 않는 태풍을 머금고 잇는 것 같다. 스피노자의 이 글은 난해하지는 않지만 전경을 담은 투시도를 그려서 읽지 않으면 도구적 인용으로만 쓸모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명명백백한 목적의식이 있기 때문에 그 원인의 빛 아래서 세부적인 것들의 유기성을 배우고 안으로 끌어들이지 않으면 같잖은 쓸모의 책으로 남을 뿐이다. 스피노자의 목적의식은 직관으로 풀어 말할 수 있는 제 3종의 인식(가장 높은 단계의 지식)에서 필연적으로 생기는 '신에 대한 지적 사랑(amor Dei intellectualis)'에 있다.
들뢰즈의 『스피노자의 철학』(민음사)의 제사로 소설을 인용하는데, "얼마 후 몇 쪽을 읽게 되었고, 그 다음에는 마치 돌풍이 등을 밀고 있기라도 하듯 멈출 수 없었습니다. 당신에게 말씀드리지만, 제가 모든 것을 이해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생각에 접하게 되자마자, 우리는 마치 요술쟁이 빗자루를 타게 되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하게 됩니다. 나는 더 이상 이전과 동일한 인간이 아니었습니다."(강조는 인용자)은 마참하다. 내게 스피노자의 진가를 포괄적으로 인식시켜 준 매튜 스튜어트의 『스피노자는 왜 라이프니츠를 몰래 만났나』(교양인)에는 "언뜻 보기에 그의 『에티카』는 고색창연한 용어들과 가까이 다가가기 어려운 추상적인 개념들이 난무하는 고통스러운 가시덤불이다. 그러나 그러한 언어적인 장벽을 관통해 들어감으로써 얻게 되는 보상은 엄청나다. 미적인 체험도 결코 적지 않은 유혹이다. 왜냐하면 정의, 공리, 그리고 명제들로 이루어진 복잡한 거미줄은 어떻게 보면 산문체로 써진 시가이자, 눈부신 지성의 조각품"이라고 써 있다.
스피노자의 신은 "아무도 사랑하지 않고,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이성적인 신인데, 스피노자의 신에게 은총이나 인격은 거추장스러운 것이고, 오류이며 착각이다. 그것은 고래로 사람들이 신에 대한 사유의 시작점을 신 자체가 아닌 인간으로 잡았기 때문에 벌어진 일인데 스피노자는 그것을 바로 잡고자 한다. 이것이 불경했기 때문에 그는 파문 당하고 사회적으로 유폐됐지만, 나는 그의 신이 비정한 신으로 비추이지 않는다. 어쩌면 그것이 왜 이 책의 제목이 '윤리학'이고 윤리가 신을 사유하는 것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밝히는 지점일 것이다.
여기서는 매튜 스튜어트의 도움을 받아볼 수 있겠다. "의인화된 신 개념에 대한 스피노자의 완강한 거부에서 우리는 그의 형이상학과 정치학의 깊은 연결 관계를 엿볼 수 있다. 『신학정치론』에서 처음 전개한 정치적인 분석에 따르면, 정통의 신 개념은 전제정치의 대들보 중 하나이다. 신학자들은 미신에 갇힌 군중의 복종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심판하고, 처벌하는, 무서운 신에 대한 믿음을 조장한다고 스피노자는 말한다."(300) 이를 통해 신(성)에 대한 개념과 사유를 그 안에서 초극하여 그 외연을 넓히는 일은 유물론적 무대인 정치와 결코 밀접하다. 지금 와서 나는, 물리계와 물질계의 우리의 이 생활-현실에서 신의 자리는 손톱 끝과 같다고 본다. 연한살과 헤어져 하얗게 죽어 이제는 깎아버려야 할 그만큼의 손톱 말이다.
매튜 스튜어트의 전기에 따르면 "스피노자의 철학은 일상의 삶이 무익하다는 느낌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에서 비롯된다."라고 하는데, 그런 면에서 철학 역시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고 니체가 말했다시피 모든 철학은 개인적 수기일 뿐이다. 하지만 니체가 철학을 비하하려고 했던 것은 아니지 않을까? 철학이 복권되고자 한다면 철학은 진리가 되기를 그쳐야 한다. 비참해진 뒤에야 철학은 장수할 수 있다. 비참은 산 자의 주제이지 죽은 자 또는 노예의 문제가 아니다. 그래서, 학제 연구에 갇힌 오늘날의 철학은 비참하지도 않다. 니체의 지적에서나 그 근원에서나 철학은 동시에 철학자이다. 나는 그런 철학(자)들에게만 끌린다. 스피노자나 소크라테스, 그 이전의 철학자들(그들은 글을 쓰지 않았기에 철학 자체가 될 수 있었다) 등이 그렇다.
나는 앞서, 스피노자에게는 은총이 없다고 했는데, 그에게도 은총의 희구는 있다. 다만 우리에게 익숙한 기독교적 신의 은총이 없을 뿐이다. "스피노자가 기술한 바니타스(Vanitas, 허무)의 감정은 단지 덧없는 불만족의 느낌이 아니다. 마니타스는 그것이 도저히 견딜 수 없는 지경이 되었을 때, 다시 말해, 스피노자가 그랬듯이, 자신이 '치명적인 질병으로 고통 받고 있어서 ... 만일 치료를 받지 않으면 죽음이 확실히 예견된다.'고 뼈에 사무치게 느낄 때, 비로소 철학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바니타스는, 절대적 무로 굴러 떨어질지 모를 가능성, 즉 아무런 의미 없이 무의미한 종말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우리 삶과의 비참한 조우이다."(매튜 스튜어트, 98) "철학은 절대적으로 확실하고 영구적인, 신성한 행복의 기반을 찾고자 하며, 또한 그래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주저인 『에티카』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그의 완성된 철학의 주된 목적, 그러나 실제로는 유일한 목적은 바로 이런 종류의 은총이나 구원을 성취하는 것이다."(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