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과 아만 - <호동거실> 평설
박희병 지음 / 돌베개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이 책을 비롯해 이언진과 그의 스승 이용휴 그리고 조선시대 말 지식인사회의 지층과 위상을 곡진하게 살핀 좋은 서평은 이미 파란여우 윤미화 씨가 그녀의 홈페이지에 시리즈로 쓴 것이 있습니다. 저는 저의 독후감(感)을 헐겁게 적을 뿐이니 관심이 있으신 분은 파란여우의 글을 읽어주세요(http://pporoo.khan.kr/69). 

 

 저자 박희병 교수는 <연암을 읽는다>(돌베개)로 먼저 만났는데, 연암의 원문 읽는 맛을 배가시키는 좋은 해설서였습니다. <저항과 아만>은 저자에 대한 신뢰로 선택한 책이기도 합니다. 이번 책은 우상 이언진의 시집 <호동거실>을 평설하는 책입니다. 서문격인 '독호동거실법'에도 나오지만 연암은 우상과 동시대인으로 <연암집>엔 '우상전'이라는 짧은 글이 있습니다. 저 역시 한때, 연암을 받들어 그의 <연암집>을 성경처럼 1일 1편 1독하며 지냈던 적이 있는데, 연암과 우상의 관계가 사뭇 안타까와 계속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우상은 자신의 글을 (당대 이미 유명세 떨친 문장가였던) 연암만큼은 이해해주리라 생각해 글 몇편을 보냈지만 연암은 악평만 더해 우상에게 울화를 남겼습니다.

 

 연암이나 우상 모두, 가계가 궁한 것이야 서로 비교우위를 점할 수준이 아니었지만 연암은 엄연히 노론계층의 이름 있는 집안 자제였던 반면 우상은 아무리 발버둥쳐도 신분적 제약을 벗어날 수 없는 중인층이었습니다. 정조의 문체반정 때, 유해한 문장에 첫 손 꼽혔던 연암이니만큼 그 역시 소수였지만 아무래도 우상에 비할 바는 아니었습니다. 연암의 문장이 기발하고 힘이 넘친다 해도 그의 사상적 경향 역시 급진적인 건 아니었습니다. 제가 예의 <연암집>을 읽을 때, 적잖이 놀랐던 건 그의 당파적 글이 갖는 정치적 보수주의의 때문이었죠. (물론, 그의 글 몇편에 푹 빠져서 멋대로 연암상을 그려놓았던 제가 순진했던 거죠.) 그렇기 때문에 (마지막 시편을 평설하며 꼼꼼히 따져보이지만,) 연암이 우상을 온전히 이해하는 데는 무리가 있었겠죠. 연암이 그 정도였다면 이언진을 대하는 당시의 몰이해와 비판은 어마어마했을 겁니다.

 

 아만(我慢)은 "불교 용어로, 자기를 믿으며 스스로 높은 양하는 교만을 이"르는 부정적 말이지만 "이언진에게서 느껴지는 아만은 자의식 내지 주체의식이 아주 큰 것"입니다. 스스로를 이백과 동급에 놓거나 부처 또는 신선이라 밝히는 과언을 나르시시즘에 빠진 얼뜨기 예술가의 망상으로 볼 수는 없습니다. 차라리 "이언진이 지녔던 넘쳐흐르는 주체성과 강한 주체에 동반되는 그의 그늘까지 포괄"한다고 보는 게 온당할 것입니다.

 

 독자는 이언진의 무거운 정신을 담은 낯선 한문시를 정으로 돌을 깨고 다듬듯 읽는 법을 배워야 할 것입니다. 쉬운 번역어로는 심부의 들끓는 투쟁의 흔적을 바로 느끼기도, 알기도 힘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첫 발부터 직행할 수는 없고 해설자의 글을 잘 따라가는 게 우선해야 하겠죠.

 

 

  덧 - 연암 박지원은 시를 별로 남기지 않은 것이 특이하죠. 이 책을 거의 다 읽어갈 때, 연암이 쓴 시 '총석정에서 해돋이를 구경하다'(<연암집 제4권 - 영대정잡영> 수록)가 다시 읽고싶어지더군요. 오늘은, 그 글을 다시 읽어봐야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