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칼 키냐르는 소설 아닌 소설을 씁니다. 그에게 장르적 관습은 아무리 헐거워도 불필요한 틀일 뿐입니다. 그는 왜 특정 형식을 취해야 하느냐 반문하는 동시에 왜 다양한 형식을 자유롭게 취하면 안 되느냐 반문합니다. 그렇게 키냐르만의 문체와 형식이 탄생했습니다. 『로마의 테라스』는 그 특유의 형식은 여전하지만 개 중엔 소설의 상식에 가장 가까운 작품입니다.
이야기 주인공의 이름은 몸므. 직업은 판화가며 17세기에 생몰했습니다. 질산에 맞아 화상 입은 얼굴은 매우 흉측합니다. 이건 몸므가 여러 스승을 거쳐 판화가로 독립하는 이야기와 한 여자를 만나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입니다. 핵심은 사랑에 있습니다. 키냐르의 모든 글은 사랑을 질료로 삼은 담론들입니다. 키냐르는 이 책에 대해 “사랑하던 여자의 아들을 친자로 인정하지 않았던 한 남자의 이야기”라고 간단 명료하게 말했다는데, 질문을 한 기자는 키냐르를 무례하게 여겨 화를 냈다지만 활자로만 내용을 접한 저로선 적절하고 명쾌한 대답인 것 같습니다. 끝을 말하자면 몸므는 친자로 인정하지 않은 남자의 손에 죽습니다.
그는 사랑의 흔적에서 끝까지 자유롭지 못했습니다. 많은 사람들 어쩌면, 모든 사람이 그렇죠. 서로를 모르는 상황에서 몸므는 바닥에 누워있었고 아들은 그 위에 앉아 칼을 들어 그의 목을 겨누고 있습니다. 몸므의 영혼에 새겨진 사랑의 흔적은 손끝으로 전해졌고 그 손은 무수한 철판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그것은 성경 이야기, 역사, 성 행위 등을 담고 있지만 몸므는 단 하나, 그가 “늘 꿈꾸던 포옹의 자세를 취한” 한 여자의 육체를 그렸을 뿐입니다. 그리고 몸므는 그녀가 낳은 아들의 손에 죽임 당합니다.
비극적 죽음을 그리는 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자칫하면 이야기의 흐름을 무시하고 남발한 무대장치 때문에 설득력을 잃고 진부해집니다. 그것은 재능과 타협의 문제입니다. 최초의 영감에 피와 살을 입히는 과정에서 조급해하지 말고, 쉬운 길과 타협해선 안됩니다. 그렇게 완성된 작품엔 운명의 힘이 있는데, 그대로 완벽하기 때문에 단 하나도 바꿀 수 없는 힘입니다. 『로마의 테라스』는 그런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