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한 의자나무
량 슈린 글 그림, 박지민 옮김 / 북뱅크 / 2002년 9월
평점 :
제멋대로 자기밖에 모르고, 누군가와 함께 지내고 친해지기를 싫어하는 나무. 거인 에이트가 그 나무에게 다가간다. 그리고 상냥하게 말을 걸고, 그 나무에 기대앉는다. 그 뒤로 나무는 변한다. 가지를 늘이고 꽃을 피우며, 새와 다람쥐를 맞는다. 그러다 땅 속의 지렁이와 개미까지 그 나무를 돕기에 이른다. 나무는 결국 모두에게 행복을 주는 존재가 되어, 나무를 찾는 모두에게 좋은 친구가 되어준다.
어찌 보면 무척 단순한 이야기다. 또 칭찬이나 관심이 한 존재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이야기는 꽤 흔한 편이다. 하지만 이 그림책은 그리 흔해 보이지 않는다. 주제를 드러내기 위해 나무와 그 주변의 여러 존재들을 잘 살폈다. 그들의 특성과 바람 따위를 잘 살펴서, 그것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그래서 그런지 이야기가 즐겁다.
또 그림이 꽤 특색 있다. 주인공 나무는 어느 정도 입체적으로 보이는데, 나머지 배경이나 등장하는 여러 동식물은 거의 평면적이다. 그런데 그런 그림이 공간감을 살린 그림을 그리지 못해 나온 것 같아 보이지는 않는다(정확히는 모르는 거지만). 그 평면적인 그림이 상상력을 제안하지 않고, 오히려 다채롭고 다정하며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색감과 그림으로 상상력을 북돋는다. 그림의 배치나 면 분할도 독특하여 한 몫을 한다.
어찌 보면 다채로운 색깔 사용이 그리 세련돼 보이지는 않고 또 이국적으로 보이는데, 그건 아마 타이완 사람이 쓰고 그린 그림책이어서 그런 것도 같다. 전체적으로 책에서 어떤 명랑한 힘 같은 게 느껴지는데, 그 까닭도 지은이에 있을까? 아마 그건 선과 색의 쓰임에서 나온 것 같기도 하다. 선이 단순하고 직선이 많으며 선명하고, 색도 무척 분명하고 강하다(그렇다고 날카롭고 무겁게 보이지는 않는다). 그래서 그런지 무엇보다도 아이들이 즐겁게 볼 그림 같다.
아, 이 책이 관심을 갖게 하는 이유는 아까 말한 대로 타이완 사람의 그림책이라는 점일 거다. 그것도 흔한 건 아니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