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여름 밤의 마법 아이세움 그림책 저학년 13
패트리샤 폴라코 글 그림, 서애경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줄거리는 간단하다. 가족 모임을 하는 자리에 모인 많은 아이들과 어른들이 즐거운 한때를 보낸다. 아직은 아이인 주인공에게 아이와 아이, 어른과 아이 사이에서 피어나는 활기와 웃음, 사랑이 큰 즐거움과 추억으로 남고, 그 즐거움과 추억은 주인공이 어른이 되어도 사라지지 않은 채 다음 세대 아이들에게 전해진다. 가족이기에 맛볼 수 있는 행복과 그 이어짐을 지은이가 겪은 것을 바탕으로 그려낸 것이다.

그런데 결정적으로 이 책은 감정이입이 잘 되지 않는다. 그것은 아마도 ‘넘치는 감정’ 때문이 아닐까 한다. 이야기는 처음부터 끝까지 활기와 웃음, 애정, 행복한 마음으로 넘쳐흐른다. 그런데 그 정도가 좀 지나치다 보니 장면장면이 내 것이 되지 못하고 ‘그렇게 사는 사람들이 있나 보다’, ‘그런데, 그런 사람들이 진짜 있을까?’ 하는 생각이 만들어낸 거리감만 쌓인다.

말썽피우는 아이, 성질 더러운 어른, 차분한 성격의 인물은 하나도 없이 모두 활기와 웃음으로만 가득하다니,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중산층 이상의 경제적 배경’ 더하기 ‘훌륭한 교육(훌륭한 사회)’ 더하기 ‘한없는 가족의 사랑’ 더하기 ‘활기찬 천성’ 더하기 ‘그 천성의 완벽한 유전’ 더하기……, 너무 많은 조건들이 채워져야 가능한 모습 아닐까? 이야기 자체도 그리 재미있지는 않다. 중간에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도 나는 재미가 없는데, 이야기에 나오는 아이들은 참 재미있어 한다.

아쉬움을 주는 요소는 또 있다. 내용을 보면, 음식을 마련해오고 차리는 사람들, 그러니까 앞치마를 두른 사람은 대부분 여자다. 아이들에게 재미난 이야기를 들려주는 어른들도 대부분 여자다. 야구 경기를 하는 사람들은 한 팀이 아예 다 남자다. 음식을 만들고 차리기 좋아하는 남자 어른이나 야구를 좋아하는 여자 어른은 원래 없는 건가? 남녀의 성 역할이 어느 정도는 구분돼 있어야 가족의 행복이 제대로 꽃피는 것일까?

지은이가 소중한 자기 경험을 보편화하지 못하고 자기 추억 속에서 추억이기에 가능한 즐거움만 뽑아 이야기로 펼쳐보인 것 같다. 나도 당연히 이야기 속에 나오는 가족의 사랑을 바라지만, 그것이 그렇게 즐거움만으로 채워지는 건 왠지 낯간지럽다. 실제로는 재미도 별로 없을 것 같고. 아, 그림도 그리 정감 있게 구체적으로 표현되지는 못한 것 같고, 번역 또한 아주 좋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문체에서 간혹 지루함이 베어나고, 생생한 장면이 잘 그려지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