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훨훨 간다 ㅣ 옛날옛적에 1
김용철 그림, 권정생 글 / 국민서관 / 2003년 4월
평점 :
‘훨훨 간다’? 제목만 봐서는 도대체 뭔지 모르겠다. 심드렁한 얼굴로 문을 나서는 할아버지에게 눈동자도 보이지 않는 웃음으로 인사를 하는 할머니. 표지 그림, 그것도 참 모를 일이다. 웬 둥그런 우물 안에서 누가 날뛰는 것 같은 모양. 뒤표지 그림, 그것도 참 모를 일이다.(사실 우물이 아니었다.) 그렇게 이 책은 궁금함이 책을 열게 한다. 아, 또 하나, 진짜 ‘제대로’ 표현된 표지의 할아버지 할머니 표정 또한 책을 훌훌 넘겨보게 만든다.
이 책은 사이좋게 지내는 할아버지 할머니의 집에 누군가 찾아오는 이야기다. 그런데 그 찾아온 이가 ‘훨훨 (날아서) 간다’. 새도 아니고 연도 아닌데 ‘훨훨’ 소리가 나는 듯 그 모양새 그대로 나갈 수밖에 없게 되어 있다.
우선 이 책을 사볼 사람들에게 이 책은 “재미있어요!” 하고 외치고 싶다. 그리고 또 하나 “이 책 그림이 아주 제대로예요!” 하고 외치고 싶다. 정말 그 느낌 그대로 ‘킥킥킥’ 웃으며 ‘으응~’ 하며 글을 읽고 그림을 본다. 할아버지 할머니의 정겨운 표정과 둘 사이에 흐르는, 뚝뚝 떨어질 듯한 애정이 사람 사이가 어땠으면 좋겠는지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래서 책 자체가 정겹고, 뽀얀 종이에 정성을 다해 그렸을 정감 어린 색감의 그림이 화가에 대한 애정을 느끼게 해준다. 그림 그리느라 수고 많으셨다고, 참말 잘 그리셨다고 말씀드리고 싶다.(물론 이 책을 이렇게 만들어낸 편집자들도 수고가 참 많았을 거다. ^^) 그러고 보니 이 책, 애정으로 똘똘 뭉친 책이다. 하긴, ‘훨훨’ 날아서 집을 나간 그 사람에게도 우리는 정을 느낄 판이니까. 아휴, 지금 다시 펼쳐 보니까 그 사람의 얼굴 표정 또한 압권일세.
글이 별로일 가능성이 많은 그림책에서, 글이 재미있고, 그림이 그 글을 이렇게 잘 살려줄 때, 그때 그림책의 진가가 들어나는 것 같다. 아이들과 함께 글을 읽고 등장인물의 표정을 읽는 것이 진정 즐거운 일이 될 거다.(아이들이 이 책의 이야기 속에 나오는 또 다른 이야기에 얼마나 감정이입될지는 미지수지만.) 기분이 ‘훨훨’ 날 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