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림트의 <성취>
멀 성취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아마도 사랑이 아닐까 한다. 사랑은 쟁취하는 거니..
클림트의 그림에서
사각형은 남성성을 원형은 여성성을 상징한다고 한다.
그래서 옷의 문양을 보면서 남녀를 구별한다고..
혹시 내가본 작품만으로 미루어볼때
화가인 클림트는 남성에게는 별 관심이 없는듯하다
남성의 표정은 묘사가 되어있지 않으니 말이다.
하긴 고개를 숙이고 있으니 알턱이...-_-;
그치만 여성은 역시나 여기서도
약간은 상기된 볼에
정말 평온한듯 눈을 감고 있다.
....부러울 정도로....-_-;;;
클림트의 <다나에>
다나에는 메두사를 죽인 페르세우스의 어머니로
외손자로인해 죽는다는 신탁을 받은 아버지에 의해
출입구 없는 탑 안에 갇혀있다가
황금비로 변한 제우스와 접하여
페르세우스를 낳았다고 한다.
지금 장면은 (머 설명안해도 알겠지만)
황금비로 변한 제우스와 관계하는 장면.
신화그림만을 모아둔 싸이 사진첩에서 스크랩해둔 그림
분명히 여성한사람만 나오는 그림인데.묘하게 민망한 느낌을 준다...*-_-*
덧붙여 이그림에 붙어있는 글을 붙여 봅니다....
'다나에' 오스트리아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의 1907년 그림
황금비가 다나에의 몸을 타고 내리는 것을 아름답게 표현하였다.
다나에의 다리 사이에 그려진 황금빛 줄기들은 제우스가 변한 빛물을 상징한 것이고,
다나에의 표정이라든가, 무언가를 감싸쥔듯한 오른쪽 손 모양,
왼손의 위치등이.. 다나에가 지금 하고 있는 행동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지 않을까...
그리고. 다나에의 엉덩이 쯤에 그려져 있는 검정 사각형이 클림트의 그림에서 남성성으로 형상화 되어 자주 나타났던 상징이다. 클림트의 키스를 보면, 남자의 옷은 사각형의 무늬가 나열되어 있고, 여성의 경우 동심원들과 원형태의 무늬들이 나열되어 있는것 처럼.... 황금빛물로는 변했지만, 아직은 남아 있는 제우스의 남성성을 나타낸듯 하다. 반대로 다나에의 등쪽에 펄럭이는 엷은 천에는
동그란 무늬들이 그려져 있다.이건 여성의 난자를 나타낸 듯...
암튼 클림트의 그림은 묘한 에로티시즘이 있다.
묘한 에로티시즘에 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