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여기 필자 '나의 서재'- 마이 페이퍼 - '영어공부에 대한 단상'이라는 글에 나오는 한 영어 사이트에 기초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 목사로 계시는 구학관 박사님이 홍익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실 때 운영하였던 무료 영어교육 사이트 "영어 영문법 공개강의실(www.hongik.ac.kr/~hkuh)"이 그것인데, 더 이상 운영은 되지 않으므로 몇 년간 새로 올라오는 강의는 없어도, 이미 올려진 강의는 잘 볼 수 있었는데, 지난 7월부터 무슨 이유에선지 접근이 되지 않고 있다. 필자한테 가끔 문의하시는 분이 있어, 그 중 영어의 특수구문인 '도치(Inversion)'에 관해 필자가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물론 많은 것은 구 박사님의 "도치 구문"이라는 글에 빚지고 있지만)을 올리기로 하였다. 다른 참고한 책은 글 말미에 적어 두었으며, 이 글의 의도가 원래 구 박사님의 강의실 개설 취지와 부합하는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1. 도치(Inversion: 倒置)란?
 - '도치'란 무엇을 '뒤집어 놓았다'는 말이다. 영어 어순인 '주어 + (조)동사'가 뒤집어져
 '(조)동사 + 주어'형태가 되는 것을 도치, 그렇게 도치가 일어난 문장을 '도치문'이라 한다. 다른 문장성분이 자리가 바뀌는 것은 전치 또는 후치라 하며 이는 도치가 아니다.
 - 주어 조동사 도치(SAI: Subject-Auxiliary Inversion)
 - 주어 동사 도치(SVI: Subject-Verb Inversion)의 두 종류가 있으며,
 - 도치가 일어나는 사유, 형태가 다르므로 하나로 묶어서 취급할 수는 없는 문법현상이다.

2. 주어 조동사 도치(SAI)
 - 문장 종류를 표시하든지 일부 요소의 강조가 있을 때 쓴다.
 - 이 때는 동사구 중 제일 앞의 운용소 조동사만 주어 앞으로 나간다. 'may have been doing'과 같이 4개의 동사형태가 합쳐서 하나의 동사구가 된 경우 제일 뒤쪽인 'doing'이 본동사로 '하다'는 의미를 주며, 앞에서부터 3개는 모두 조동사인데, 차례로 서법 조동사, 완료상 조동사, 진행상 조동사이다. 이 조동사 중 가장 앞에 있는 것을 '운용소 조동사(operator)'라고 하는데, 의문문, 부정문 만들기, 도치, 부사의 위치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be'동사는 문법적으로는 조동사처럼 쓰인다.
 - 조동사가 없으면 '가조동사(dummy auxiliary)'인 'do'를 쓴다.
(1) 의문문
     Do you know him?
     He's the new secretary, isn't he?
(2) 감탄의문(수사의문)
     Am I happy! ( = I am not happy at all.)
     Hasn't Mary grown! ( = Mary has grown a lot.)
(3) 기원문(Optatives)
     May God bless you! ( = God bless you!으로 may  생략도 가능)
     May the King live long! ( = Long live the King!)
(4) 부정의 명령문
     Don't you ever do that again.
     Don't anybody move.
(5) 가정법에서 if 생략시
     Were I rich, I could be happy. ( = If I were rich, ~ )
     Had I known her earlier, I could have loved her. ( = If I had known her, ~ )
(6) 부정 요소의 전치 구문
 - not, never, no, nothing, hardly, scarcely, rarely, seldom, in no way,
under no circumstances등 부정의 뜻을 가진 표현이 강조를 위해 문장 첫 머리에 나와
문장 전체를 수식할 때 반드시 도치. 또, 문두에 나오는 부정어가 목적어이면 도치해야 하지만, 주어일 경우에는 도치하지 않는다.
 - 위와 같은 부정 표현이라도 문두에 안 나오고 정상 어순이면 도치할 필요가 없는 것.
 - only의 경우는 optional이지만 도치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Never has John been so miserable.    
     Nothing did I see that I liked. (여기서 nothing은 see의 목적어이므로 도치 가능)   
     Not all economists agree with you. (주어이므로 도치 불가)    
     Not a word passed his lips. (주어이므로 도치 불가)    
     I don't like gambling. Neithe do I.    
     Only after his father started to eat, did he go to work.    
     (여기서는 도치 없이 써도 되지만 통상 도치하는 경우가 많다.)    
(7) 비교의 도치 구문    
  - 문어체 격식적 표현인 비교의 as, than 구문에서 주어와 조동사의 도치가 가능(optional).    
  - 비교절의 주어가 대명사이면 도치가 허용되지 않는다.     

     She respects him far more than does her son. (or her son does.)    
     She traveled a great deal, as did most of her friends. (or most her friends did.)    
     John is as tall as I am. (NOT as am I)    
(8) so/neither/nor를 사용한 술어 생략 구문    
  - 주어가 대명사인 경우까지 포함해서 항상 도치함(mandatory)    
     I can't swim. Neither(Nor) can I.
     He is an honest man. So is his brother.
(맞장구를 의미하는 so-구문과는 다르다. 이 때는 정상어순)
     "It's raining," "So it is!"
(9) 강조 요소의 뒤에서
 - so, such, especially, well과 같은 강조 요소가 문두에 왔을 때 주어 조동사 도치
     So absurd did he look that everyone stared at him.
     ( = He looked so absurd that everyone stared at him.)
     Especially did we enjoy the life of the beaches.

3. 주어 동사 도치(SVI)
 - '주어 + 동사 + 보어(SVC)' 구문과 '주어 + 동사 + 부가어(SVA)' 구문에서 보어와 부가어는
의미상 필수 성분인데, 이들 구문에 쓰인 동사(연결동사: linking verb, copula - be, sit, stand, lie, hang, go, come, become, seem, look 등)에 정보량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목적상 이 보어와 부가어를 문두에 놓을 때, '주어 + 동사'의 정상 어순을 유지하면 문미에 동사가 오게 되고, 문미에 최신 정보나 중요 정보를 놓은 영어의 특성상 동사에 초점이 맞추어져 우스꽝스러운  뜻이 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주어-동사 도치가 일어난다.       
 - 따라서 앞으로 나가는 정보(보어와 부가어)는 주로 구정보이고, 더 가까이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된 친숙한 정보이다.       
 - 대명사는 중요 정보, 최신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대명사가 주어일 때는 도치하지 않는다.       
 - 여기서도 그런 보어와 부가어가 문두로 나가지 않으면 도치할 필요가 없지만,   
문두로 나갈 경우에는 반드시 도치가 일어나야 한다.       
 - 주어 조동사 도치와는 달리 동사구 전체가 주어 앞으로 이동한다.       
(1) 장소 부사 뒤       
     On the bed was lying a young girl. (도치를 안하면 on the bed가 중요해진다.)       
(2) 방향 부사 뒤       
     Down came the rain.       
     Here she comes. (Here comes she가 틀리는 이유는 대명사는 중요정보가 아니기 때문)       
     The milkman is here. (여기 있다)       
     Here is/coms the milkman. (드디어 왔다)       
     Here comes the sun.  (Beatles 노래 제목)     
     Here~'s Johnny. (소개의 뜻. 예전의 Johnny Carlson Show 소개 멘트)
     There goes my baby. (화자의 실망을 나타내는 표현. 아! 내 사랑이 저기 떠났구나. Simon and Garfunkel의 노래 "Bye bye love" 가사에 보면 "There goes my baby with someone new. She sure looks happy, I sure am blue..."라고 나오는 것이 바로 이 것이다.)
     There my baby goes. (그냥 '내 사랑이 저기 간다'는 뜻)

- 위 1, 2의 도치에는 동사의 성격 제한이 있는데 존재를 나타내는 동사(existential verb: exist, be, lay, sit 등), 또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movement verb: come, go 등)라야만 한다. 예를 들어 Outside the house were two women talking 같은 문장은 틀리는데, 여기서 were는 존재를 나타내는 동사가 아니라 be talking이라는 진행형에 불과하며 그 본동사는 talking이기 때문이다.
(3) 분사 뒤
     Speaking at today's lunch will be our local congressman.
     (주어 조동사 도치로 착각하여 wii our local congressman be라고 하면 틀린다.)
(4) 비교 표현 뒤
     Still more remarkable has been the country's economic growth.
     More important to me was her safety in the accident.
     Equally inexplicable was his behavior toward his son.
(5) 허사 'there' 뒤
     There is a policeman at the door.
     (A police man is at the door.)
(6) 형용사 보어 뒤
     Happy are the meek; for they shall inherit the earth.
     Particularly memorable was her protruded chin.
(7) 직접 화법의 피전달문 뒤(Optional)
     "It's such a long day," said Tom. (이 경우는 Tom said도 가능. said I는 틀림.)
(8) 긴 주어를 피할 때(Optional)
     The man who can say that he is content with his life is happy.
     Happy is the man who can say that he is content with his life.
(9) 준분열 구문(pseudo-cleft)  (* 나중에 별도로 소개할 기회가 있을 것이다.)
     (To) France was where he went.
     (Where he went was (to) France.)

 

(참고 문헌)

1. Sidney Greenbaum & Randolph Quirk, A Student's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Pearson Education

2. Martin Hewings, Advanced Grammar in U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I.S. Yang, Grammatical Rules of English, Hankook Publishing Co.

4. English Special Constructions(영어특수구문), 정인식, 시스템영어사

5. 조용남, 실용 영문법 100문 100답, 삼영서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