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o 2009-01-18  

 

선생님! 바쁘신데 제가 계속 질문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호기심이 생기면 못참는 성미라서 또 질문을 드립니다.

Comprehensive Grammar  p. 1255 내용을 보면

1. the office at which he works

2. the office which he works at

3. the office that he works at 

4. the office he works at

5. the office where he works

위 표현은 맞는 표현으로 나왔고,

With a general antecedent, such as place, we may find the following patterns, which however are not acceptable to all speakers:

(?) That`s the place she stays when she`s in London. 
                             she works 
                             she studies
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아래 표현은 충분히 인정된다고 되어있습니다.

That`s the place she stays at when she`s in London.
                        she works at  
                        she studies at

그렇다면
3번 예의 that은 관계대명사이고,
4번 예는 목적격관계대명사 that 또는 which의 생략이라는 말이 됩니다.

위 내용을 종합해 보면 [관계부사where는 관계부사대용어that으로 대체할 수 없다.
그리고 관계부사where는 생략할 수 없다.]는 결론처럼 보입니다.

즉 the office that he works (X)
    the office he works (X)

이 결론이 맞는 것인지요?


최근에 선생님들 사이에 엄청난 논란이 되었던 내용입니다. 

http://cafe.naver.com/maljjang2.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63162

 
 
thirsty 2009-01-22 1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관계부사의 생략 또는 that으로의 대체에 관한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1) 다른 관계부사 when 등과는 달리, 관계부사 where을 that으로 대체하는 데는 제한이 더 많다. 또 모든 관계부사를 that으로 대체하는 것은 informal이다.
(2) 관계부사 where은 생략할 수 있지만, 다른 모든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와 마찬가지로 생략하는 것은 informal이다. (일단 생략하고 나면 그것이 where의 생략인지, that의 생략인지 따진다는 것은 의미가 있을까요?)
(3) 관계부사 자체가 '전치사+관계대명사’구조보다는 informal이다.

the time when은 the time that으로 대체해도 되고, 선행사를 생략하고 when만 써도 되며, when을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the day when, the year when 같은 것도 the day that, the year that로 바꿀 수 있습니다.

반면 the place where은 informal하게 the place that으로 바꿀 수 있지만, the world where 같은 것은 the world that으로 바꿀 수가 없습니다. 비록 informal이지만 이 where을 that으로 바꾸려면 그 선행사가 반드시 ‘place’이든지 아니면 ‘-where’이든지 둘 중 하나라야 합니다. 그만큼 제한이 있다는 거지요. (Michael Swan, Practical English Usage, 2nd edition, 477.3(p. 494) 참고.) 한편 the way (how/that), the reason (why/that) 같은 것도 마찬가지로 that으로의 교체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the way how로 다 쓰면 틀린다는 것은 알고 계시지요?

이 부분을 새로 나온 다른 CGEL(the Cambridge Grammar of English Language)은 이렇게 해설합니다. (Rodney Huddleston et al, 2002, p.1053)

when, why 등에 의해 도입되는 관계사절은 that 또는 생략이라는 대안(optional counterparts)이 있다.
I haven’t seen them since the day [when/(that) Kim was born].
That’s the reason [why/(that) she resigned.]
반면에 where로 시작되는 관계사절은 선행사가 place와 같은 대단히 일반적인 명사가 아니면 that으로의 대체 또는 생략을 할 수 없다.
This is much better than the hotel where we stayed last year. (여기서는 that으로의 교체 또는 생략할 수 없다.)
This is much better than the place [where/(?that) we stayed last year. (여기서 that앞의 물음표는 일부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의심스런 용례라는 뜻이며, 이 경우에는 the place we stayed last year 이라고 생략(bare relative)하는 편이 오히려 낫다.)

Both CGEL’s에서 ‘not acceptable to some people’의 뜻으로 쓰인 ‘?’가 Swan의 책에서는 informal로 표시된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위 모든 문장을 전치사+관계대명사로 바꿀 수는 있지요. 그 편이 오히려 formal입니다.

지금까지 설명에 비추어 보면, 말씀하신 결론 중에

the office that he works (X)
the office he works (X)”

위 둘은 맞는 이야기지만, 일반화한 내용인 [관계부사 where은 관계부사 대용어 that으로 대체할 수 없다. 그리고 관계부사 where는 생략할 수 없다.]는 very formal일 때만 그렇고, 선행사에 제약이 있긴 하지만 informal일 때는 사정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교과서나 참고서는 이 formal, informal을 전혀 구별하지 않으니, 어느 것을 맞고 틀린다고 하기가 난감하지요. 비슷한 예로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생략하는 것은 생략하지 않는 것보다 more informal인데, 생략한 것을 틀린다고 하는 우리나라 영문법 책은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언급하신 사이트는 로그인이 필요하여 접속하지 못했습니다만, 추가로 인용해 주신 장문은 본 서재의 목적과는 거리가 있어 삭제하였습니다.

삭제한 부분은 영어 교육에 있어서의 라벨 문제, 대상자 수준에 따른 추상화와 생략의 정도 문제, 거기다가 논쟁하는 사람들의 아집이 끼어들었을 뿐, 지금 설명과는 다른 새로운 내용도 없습니다. 즉, 싸울 게 없는데 싸우고 있는 꼴이지요.

서재 주인의 의견으로는 이것이 대입 영어에서 논란이 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대학교 학부 고학년이나 대학원의 전문적인 영문법 강의 또는 전문적인 문법가들 사이에서나 논의가 되는 것이 맞겠지요.

이는 근본적으로 우리나라 영어 교육이, 목적과 수준에 대한 사회적 또는 교육적 합의가 없었다는 데서 오는, 일장의 희극이라 할까요.

한 가지 위험하다고 생각되어 언급을 하고 싶은 점은, 영문법을 교육한다고 하면서 권위자들을 무시하고 개인적, 임의적인 경험을 들이대는 부분입니다. 우리나라의 영어 강사가, 어떤 영어의 용례나 문법사항을 도대체 몇 명의 영어권 화자를 상대로 조사하여 통계를 냈기에, 감히 그걸 주장의 근거로 삼을 수 있단 말입니까?

이는 corpus를 중심으로 하는 현대 기술문법자들(예를 들어 Quirk나 Huddleston 같은)의 연구기법을 전혀 모르는 데서 오는 무지, 오만, 편견에 지나지 않으며, 매우 위험한 발상이라고 하겠습니다.)

toto 2009-01-19 16: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는 근본적으로 우리나라 영어 교육이, 목적과 수준에 대한 사회적 또는 교육적 합의가 없었다는 데서 오는, 일장의 희극이라 할까요.]라는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