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The 100 greatest non-fiction books


Art

The Shock of the New by Robert Hughes (1980)
Hughes charts the story of modern art, from cubism to the avant garde


The Story of Art by Ernst Gombrich (1950)
The most popular art book in history. Gombrich examines the technical and aesthetic problems confronted by artists since the dawn of time










Ways of Seeing by John Berger (1972)

A study of the ways in which we look at art, which changed the terms of a generation's engagement with visual culture



Biography

Lives of the Most Excellent Painters, Sculptors, and Architects by Giorgio Vasari (1550)
Biography mixes with anecdote in this Florentine-inflected portrait of the painters and sculptors who shaped the Renaissance















The Life of Samuel Johnson by James Boswell (1791)
Boswell draws on his journals to create an affectionate portrait of the great lexicographer

The Diaries of Samuel Pepys by Samuel Pepys (1825)
"Blessed be God, at the end of the last year I was in very good health," begins this extraordinarily vivid diary of the Restoration period

Eminent Victorians by Lytton Strachey (1918)

Strachey set the template for modern biography, with this witty and irreverent account of four Victorian heroes









Goodbye to All That by Robert Graves (1929)
Graves' autobiography tells the story of his childhood and the early years of his marriage, but the core of the book is his account of the brutalities and banalities of the first world war

The Autobiography of Alice B Toklas by Gertrude Stein (1933)
Stein's groundbreaking biography, written in the guise of an autobiography, of her lover





Culture


Notes on Camp by Susan Sontag (1964)
Sontag's proposition that the modern sensibility has been shaped by Jewish ethics and homosexual aesthetics















Mythologies by Roland Barthes (1972)
Barthes gets under the surface of the meanings of the things which surround us in these witty studies of contemporary myth-making

 


Orientalism by Edward Said (1978)
Said argues that romanticised western representations of Arab culture are political and condescending


Environment

Silent Spring by Rachel Carson (1962)
This account of the effects of pesticides on the environment launched the environmental movement in the US


The Revenge of Gaia by James Lovelock (1979)

Lovelock's argument that once life is established on a planet, it engineers conditions for its continued survival, revolutionised our perception of our place in the scheme of things


History

The Histories by Herodotus (c400 BC)
History begins with Herodotus's account of the Greco-Persian war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by Edward Gibbon (1776)
The first modern historian of the Roman Empire went back to ancient sources to argue that moral decay made downfall inevitable


The History of England by Thomas Babington Macaulay (1848)
A landmark study from the pre-eminent Whig historian

Eichmann in Jerusalem by Hannah Arendt (1963)
Arendt's reports on the trial of Adolf Eichmann, and explores the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mechanisms of the Holocaust


The Making of the English Working Class by EP Thompson (1963)
Thompson turned history on its head by focusing on the political agency of the people, whom most historians had treated as anonymous masses



Bury My Heart at Wounded Knee by Dee Brown (1970)
A moving account of the treatment of Native Americans by the US government


Hard Times: an Oral History of the Great Depression by Studs Terkel (1970)
Terkel weaves oral accounts of the Great Depression into a powerful tapestry






[번역본 없음]





Shah of Shahs by Ryszard Kapuściński (1982)

The great Polish reporter tells the story of the last Shah of Iran


The Age of Extremes: A History of the World, 1914-1991 by Eric Hobsbawm (1994)
Hobsbawm charts the failure of capitalists and communists alike in this account of the 20th century

We Wish to Inform You That Tomorrow We Will Be Killed with Our Familes by Philip Gourevitch (1999)

Gourevitch captures the terror of the Rwandan massacre, and the failur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ostwar by Tony Judt (2005)
A magisterial account of the grand sweep of European history since 1945



Journalism

The Journalist and the Murderer by Janet Malcolm (1990)
An examination of the moral dilemmas at the heart of the journalist's trade










The Electric Kool-Aid Acid Test by Tom Wolfe (1968)
The man in the white suit follows Ken Kesey and his band of Merry Pranksters as they drive across the US in a haze of LSD


Dispatches by Michael Herr (1977)

A vivid account of Herr's experiences of the Vietnam war











[번역본 없음]



Literature

The Lives of the Poets by Samuel Johnson (1781)
Biographical and critical studies of 18th-century poets, which cast a sceptical eye on their lives and works

An Image of Africa by Chinua Achebe (1975)
Achebe challenges western cultural imperialism in his argument that Heart of Darkness is a racist novel, which deprives its African characters of humanity


The Uses of Enchantment by Bruno Bettelheim (1976)
Bettelheim argues that the darkness of fairy tales offers a means for children to grapple with their fears



Mathematics

Godel, Escher, Bach: An Eternal Golden Braid by Douglas Hofstadter (1979)
A whimsical meditation on music, mind and mathematics that explores formal complexity and self-reference


Memoir

Confessions by Jean-Jacques Rousseau (1782)
Rousseau establishes the template for modern autobiography with this intimate account of his own life


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 an American Slave by Frederick Douglass (1845)
This vivid first person account was one of the first times the voice of the slave was heard in mainstream society


De Profundis by Oscar Wilde (1905)
Imprisoned in Reading Gaol, Wilde tells the story of his affair with Alfred Douglas and his spiritual development










The Seven Pillars of Wisdom by TE Lawrence (1922)
A dashing account of Lawrence's exploits during the revolt against the Ottoman empire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01062771


The Story of My Experiments with Truth by Mahatma Gandhi (1927)
A classic of the confessional genre, Gandhi recounts early struggles and his passionate quest for self-knowledge


Homage to Catalonia by George Orwell (1938)
Orwell's clear-eyed account of his experiences in Spain offers a portrait of confusion and betrayal during the civil war


The Diary of a Young Girl by Anne Frank (1947)
Published by her father after the war, this account of the family's hidden life helped to shape the post-war narrative of the Holocaust


Speak, Memory by Vladimir Nabokov (1951)
Nabokov reflects on his life before moving to the US in 1940


The Man Died by Wole Soyinka (1971)
A powerful autobiographical account of Soyinka's experiences in prison during the Nigerian civil war

The Periodic Table by Primo Levi (1975)
A vision of the author's life, including his life in the concentration camps, as seen through the kaleidoscope of chemistry


Bad Blood by Lorna Sage (2000)
Sage demolishes the fantasy of family as she tells how her relatives passed rage, grief and frustrated desire down the generations

Mind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by Sigmund Freud (1899)
Freud's argument that our experiences while dreaming hold the key to our psychological lives launched the discipline of psychoanalysis and transformed western culture







Music

The Romantic Generation by Charles Rosen (1998)
Rosen examines how 19th-century composers extended the boundaries of music, and their engagement with literature, landscape and the divine

Philosophy

The Symposium by Plato (c380 BC)
A lively dinner-party debate on the nature of love


Meditations by Marcus Aurelius (c180)
A series of personal reflections, advocating the preservation of calm in the face of conflict, and the cultivation of a cosmic perspective


Essays by Michel de Montaigne (1580)
Montaigne's wise, amusing examination of himself, and of human nature, launched the essay as a literary form









The Anatomy of Melancholy by Robert Burton (1621)
Burton examines all human culture through the lens of melancholy







[번역본 없음]


Meditations on First Philosophy by René Descartes (1641)
Doubting everything but his own existence, Descartes tries to construct God and the universe



Dialogues Concerning Natural Religion by David Hume (1779)
Hume puts his faith to the test with a conversation examining arguments for the existence of God


Critique of Pure Reason by Immanuel Kant (1781)
If western philosophy is merely a footnote to Plato, then Kant's attempt to unite reason with experience provides many of the subject headings









Phenomenology of Mind by GWF Hegel (1807)
Hegel takes the reader through the evolution of consciousness


Walden by HD Thoreau (1854)
An account of two years spent living in a log cabin, which examines ideas of independence and society








On Liberty by John Stuart Mill (1859)
Mill argues that "the only purpose for which power can be rightfully exercised over any member of a civilised community, against his will, is to prevent harm to others"



Thus Spake Zarathustra by Friedrich Nietzsche (1883)
The invalid Nietzsche proclaims the death of God and the triumph of the Ubermensch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by Thomas Kuhn (1962)
A revolutionary theory about the nature of scientific progress







Politics

The Art of War by Sun Tzu (c500 BC)
A study of warfare that stresses the importance of positioning and the ability to react to changing circumstances


The Prince by Niccolò Machiavelli (1532)
Machiavelli injects realism into the study of power, arguing that rulers should be prepared to abandon virtue to defend stability


Leviathan by Thomas Hobbes (1651)
Hobbes makes the case for absolute power, to prevent life from being "nasty, brutish and short"


The Rights of Man by Thomas Paine (1791)
A hugely influential defence of the French revolution, which points out the illegitimacy of governments that do not defend the rights of citizens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by Mary Wollstonecraft (1792)
Wollstonecraft argues that women should be afforded an education in order that they might contribute to society


The Communist Manifesto by Karl Marx and Friedrich Engels (1848)
An analysis of society and politics in terms of class struggle, which launched a movement with the ringing declaration that "proletarians have nothing to lose but their chains"









The Souls of Black Folk by WEB DuBois (1903)
A series of essays makes the case for equality in the American south

The Second Sex by Simone de Beauvoir (1949)
De Beauvoir examines what it means to be a woman, and how female identity has been defined with reference to men throughout history









The Wretched of the Earth by Franz Fanon (1961)
An exploration of the psychological impact of colonialisation









The Medium is the Massage by Marshall McLuhan (1967)
This bestselling graphic popularisation of McLuhan's ideas about technology and culture was cocreated with Quentin Fiore


The Female Eunuch by Germaine Greer (1970)

Greer argues that male society represses the sexuality of women


Manufacturing Consent by Noam Chomsky and Edward Herman (1988)
Chomsky argues that corporate media present a distorted picture of the world, so as to maximise their profits



Here Comes Everybody by Clay Shirky (2008)
A vibrant first history of the ongoing social media revolution



Religion

The Golden Bough by James George Frazer (1890)
An attempt to identify the shared elements of the world's religions, which suggests that they originate from fertility cults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by William James (1902)
James argues that the value of religions should not be measured in terms of their origin or empirical accuracy


Science

On the Origin of Species by Charles Darwin (1859)
Darwin's account of the evolution of species by natural selection transformed biology and our place in the universe


The Character of Physical Law by Richard Feynmann (1965)

An elegant exploration of physical theories from one of the 20th century's greatest theoreticians



The Double Helix by James Watson (1968)
James Watson's personal account of how he and Francis Crick cracked the structure of DNA



The Selfish Gene by Richard Dawkins (1976)
Dawkins launches a revolution in biology with the suggestion that evolution is best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ene, rather than the organism










A Brief History of Time by Stephen Hawking (1988)
A book owned by 10 million people, if understood by fewer, Hawking's account of the origins of the universe became a publishing sensation


Society

The Book of the City of Ladies by Christine de Pisan (1405)
A defence of womankind in the form of an ideal city, populated by famous women from throughout history











Praise of Folly by Erasmus (1511)
This satirical encomium to the foolishness of man helped spark the Reformation with its skewering of abuses and corruption in the Catholic church



Letters Concerning the English Nation by Voltaire (1734)
Voltaire turns his keen eye on English society, comparing it affectionately with life on the other side of the English channel

Suicide by Émile Durkheim (1897)
An investigation into protestant and catholic culture, which argues that the more vigilant social control within catholic societies lowers the rate of suicide









Economy and Society by Max Weber (1922)

A thorough analysis of political, economic and religious mechanisms in modern society, which established the template for modern sociology


A Room of One's Own by Virginia Woolf (1929)
Woolf's extended essay argues for both a literal and metaphorical space for women writers within a male-dominated literary tradition



Let Us Now Praise Famous Men by James Agee and Walker Evans (1941)
Evans's images and Agee's words paint a stark picture of life among sharecroppers in the US South


The Feminine Mystique by Betty Friedan (1963)
An exploration of the unhappiness felt by many housewives in the 1950s and 1960s, despite material comfort and stable family lives









In Cold Blood by Truman Capote (1966)

A novelistic account of a brutal murder in a town in Kansas, which propelled Capote to fame and fortune


Slouching Towards Bethlehem by Joan Didion (1968)
Didion evokes life in 1960s California in a series of sparkling essays

 [번역서 없음]









The Gulag Archipelago by Aleksandr Solzhenitsyn (1973)
This analysis of incarceration in the Soviet Union, including the author's own experiences as a zek, called into question the moral foundations of the USSR


Discipline and Punish by Michel Foucault (1975)
Foucault examines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s systems of incarceration


News of a Kidnapping by Gabriel García Márquez (1996)
Colombia's greatest 20th-century writer tells the story of kidnappings carried out by Pablo Escobar's Medellín cartel











Travel

The Travels of Ibn Battuta by Ibn Battuta (1355)
The Arab world's greatest medieval traveller sets down his memories of journeys throughout the known world and beyond


Innocents Abroad by Mark Twain (1869)
Twain's tongue-in-cheek account of his European adventures was an immediate bestseller


Black Lamb and Grey Falcon by Rebecca West (1941)
A six-week trip to Yugoslavia provides the backbone for this monumental study of Balkan history


Venice by Jan Morris (1960)
An eccentric but learned guide to the great city's art, history, culture and people


A Time of Gifts by Patrick Leigh Fermor (1977)
The first volume of Leigh Fermor's journey on foot through Europe - a glowing evocation of youth, memory and history

Danube by Claudio Magris (1986)
Magris mixes travel, history, anecdote and literature as he tracks the Danube from its source to the sea












China Along the Yellow River by Cao Jinqing (1995)
A pioneering work of Chinese sociology, exploring modern China with a modern face

The Rings of Saturn by WG Sebald (1995)
A walking tour in East Anglia becomes a melancholy meditation on transience and decay

이게 소설이 아니었다고? 그러니 더 그럴 듯하네. 

Passage to Juneau by Jonathan Raban (2000)
Raban sets off in a 35ft ketch on a voyage from Seattle to Alaska, exploring Native American art, the Romantic imagination and his own disintegrating relationship along the way

Letters to a Young Novelist by Mario Vargas Llosa (2002)
Vargas Llosa distils a lifetime of reading and writing into a manual of the writer's craft















2019. 12. 23. 업데이트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10-11 19: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적어뒀다가 잊을 만하면 한번씩 다시 읽어보자. 





p. 84~ 


... 뇌는 위협에 대한 적응 기제를 하나만 가진 게 아니다. 이 경우 샌디는 너무나 작고 무기력하며 위협에 지나치게 압도되어 맞서 싸우지도, 도망치지도 못했다. 이런 경우 심장 박동 수를 올려 근육이 어떤 행동을 하도록 준비하면 상처를 입을 때 출혈이 더 커져서 오히려 생명이 위험해진다. 놀랍게도 사람의 뇌는 이런 상황에 대한 적응 기제도 준비해 놓았다. '해리 반응'이 그것으로, 트라우마 관련 증상을 이해할 때 꼭 알아야 하는 현상이다. 

해리는 매우 원시적인 반응이다. 초기 생명체(또는 고등 동물종의 새끼)의 경우 스스로 위급 상황을 피할 힘이 거의 없다. 그러므로 누군가가 자신을 공격하거나 해칠 때 대응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기본적으로 조용히 쓰러져서 가능한 한 몸을 작게 웅크리고 기적을 바라며 도와 달라고 우는 것이다. 이런 반응은 가장 원시적인 뇌 조직인 뇌간과 그 인접 부위에서 나온다. 싸우지도, 도망가지도 못하는 영아나 유아의 경우 극도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해리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다. 남자보다는 여자에게 좀 더 자주 나타나고, 해리 상태가 지속되며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을 악화시킨다. 

해리 상태에 들어간 사람의 뇌는 일단 상해에 대비한다. 팔다리에 혈액공급이 줄어들고 심장 박동도 느려져서 부상을 당해도 혈액 손실이 적게 한다. 뇌에 존재하는 자연상태의 헤로인과 같은 물질인 오피오이드가 쏟아져 나와 몸의 긴장을 풀고 고통을 없애 주며 마음을 평온하게 안정시킨다. 또한 벌어지고 있는 일에 심리적 거리감을 부여한다. 

해리 반응도 과각성 반응처럼 각 단계들이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보통 상태는 백일몽을 꾸는 것과 유사하며, 잠에서 막 깨어나는 순간이 해리의 중간 정도 형태다. 최면에 걸린 것 같은 무아지경도 있다. 

하지만 극단적인 해리 현상을 겪으면 현실과 완전히 단절된 채 자신의 내부로만 침잠한다. 생각을 관장하는 뇌 영역은 계획 활동을 중단하고 짐승과 같은 생존 본능으로 자기 자신만을 보호한다. 시간은 느려지고 벌어지고 있는 모든 일이 '비현실적'으로 느껴진다. 호흡도 느려진다. 고통이나 공포감조차 사라진다. 감정이 없어지고 무감각해지며 심지어 눈앞에서 벌어지는 일이 영화의 한 장면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트라우마를 겪을 때에는 대부분 이런 주요 반응들이 복합해서 나타난다. 사실 많은 경우 트라우마 사건이 벌어지는 도중 중간 정도의 해리 현상을 일으키면 집중력이 떨어지고 지속적인 과각성 반응이 동반된다. 전투에 나선 병사가 '마비'되어 로봇처럼 변하면 공황에 빠지지 않고 효과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한두 가지 패턴만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나타난 패턴이 반복적으로 오랫동안 활성화되면 트라우마의 강도, 지속성, 패턴 등으로 인해 이런 반응을 중재하는 뇌에 '사용 의존적' 변화가 발생한다. 그 결과 뇌가 과잉 반응하고 과민해져서 오랜 시간이 지난 후까지 감정, 행동 및 인지 장애를 야기한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로 인한 수많은 증상은 사실상 외상을 입힌 기억에 대한 해리나 과각성 반응과 관련되어 있다. 이 반응들은 외상이 가해지는 당시에는 우리를 보호해주지만 이것이 지속되면 삶의 다른 영역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여 일탈을 조장한다. 


... 안타깝게도 일반 교실의 학습 환경에서는 해리나 과각성 반응의 증상이 집중력장애, 과잉행동 또는 반항성 장애와 대단히 유사하게 나타난다. 해리 반응이 심각한 아동은 주위 상황에 전혀 집중하지 못한다. 마치 백일몽을 꾸거나 '정신을 놓은' 듯하며 수업은 물론 주위 세상에 대해 완전히 무관심하다. 과각성을 보이는 아동은 수업 내용 자체가 아닌 선생님이 내는 소리의 미묘한 음정이나 다른 학생의 몸짓 등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과잉행동이나 집중력결핍 진단을 받곤 한다.

싸우거나 달아나는 반응이 야기하는 공격성과 충동성도 반항이나 적대감으로 오인된다. 사실 이것은 아이가 계속해서 되새기는 과거 트라우마 상황에 대한 반응의 잔존물이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사슴에게 갑자기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비추었을 때처럼 순간 동작을 멈추는 '동결freezing'  반응도 반항적 거부로 오해하는 교사가 많다. 해리 반응을 보일 때는 아이에게 어떤 명령을 해도 전혀 응답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모든 ADD가 과잉 행동이나 반항성을 보이는 것은 아니고 모든 반항성 장애가 트라우마와 관련된 것은아니지만, 트라우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이런 진단을 받게 된 증상의 원인이 트라우마로 밝혀지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p. 91~


... 스트레스를 통제할 수 있는 쥐의 경우 건강한 변화가 관찰되지만 스트레스를 통제할 수 없는 쥐는 조절기능이 약화되고 저하되었다. 전기충격을 조절할 수 없는 쥐는 대부분 궤양이 생기고 몸무게가 줄며 면역체계가 손상되어 여러 질병에 노출되었다. 조건을 바꾸어 전기충격을 통제할 수 있게 해줘도 스트레스를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오랫동안 방치되었던 쥐는 공포감에 휩싸여 어떻게 해야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낼 용기도 내지 못했다. 

낙담한 사람에게서도 비슷한 사기저하와 체념현상을 볼 수 있다. 유년기에 통제할 수 없는 스트레스상황을 너무 많이 경험하면 우울증에 시달릴 위험이 높다. 당연히 우울증에 외상후스트레사장애가 동반되는 경우도 많다. 

이런 통제와 습관, 통제 부족과 감작사이의 연결고리로 인해, 트라우마로부터 회복되려면 희생자가 예측 가능하고 안전한 상황으로 돌아와야만 한다. 뇌는 기본적으로 트라우마를 확인하고 이해해서 내성이 생기도록 한다. 심적으로 완전히 무기력한 트라우마 기억을 어느 정도 통제할 수 있는 기억으로 바꾸는 것이다. 


..... 아이의 뇌는 이런 재연을 통해 트라우마를 예측가능하고 희망적인 것으로 대체해나가며 궁극적으로 뇌를 지루해지게 만든다. 핵심은 

패턴과 반복이다. 패턴화한 반복 자극을 받으면 내성이 생기는 반면 혼란스러운 무작위 신호에 시달리면 극도로 과민해진다. 

사람의 뇌는 마음의 평정을 되찾기 위해 작은 '용량'의 회상을 끝없이 반복하여 과민해진 트라우마 관련 기억을 달래고 진정시킨다. 그러면 감작되었던 뇌에 내성이 생긴다. 많은 경우 이 방법은 아주 효과적이다. 사람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트라우마 상황을 겪은 직후에는 계속해서 당시 상황을 회상한다. 어떤 일이 벌어진 건지 계속 생각하고 의도하지 않아도 자꾸만 불현듯 회상하게 되며 꿈에까지 트라우마 사건이 재연된다. 또한 주변의 친구나 연인에게 그 사건에 대해 반복하여 하소연한다. 아이는 놀이, 그림이나 일상의 관계에서 트라우마 상황을 반복적으로 재연한다. 하지만 경험이 너무나 강렬하고 압도적이면 트라우마 관련 기억을 모두 둔감하게 만들기는 어려워진다. 


p. 111~


뇌는 순차적으로 생애 첫 몇 년 동안 대단히 급격하게 발달하기 때문에 특히 유아의 뇌가 트라우마에 영구적으로 손상될 가능성이 크다. 뇌가 아직 발달단계이기 때문이다. 미성숙한 뇌는 사랑의 감정이나 언어 등의 습득에 기적과도 같은 적응력을 보이지만 마찬가지로 부정적인 경험에 대해서도 대단히 쉽게 영향을 받는다. 3개월된 태아가 특정 독서에 매우 취약한 것처럼 아동기에 겪은 트라우마는 영구적 손상을 남길 가능성이 높다. 즉 트라우마를 경험한 시기가 언제냐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직 말을 배우지 못한 유아가 고통스러운 성적 학대를 반복적으로 당하면 이후 모든 종류의 신체 접촉을 혐오하고 인간관계와 친밀감 형성에 광범위한 문제를 겪으며 지속적인 불안감에 시달린다. 하지만 동일한 학대라도 열 살짜리 아이가 겪으면 당시의 구체적 상황에 대한 공포감이 형성되며 특히 학대와 관련된 장소, 살마, 방법을 고의적으로 피하는 행동을 보인다. 이 경우 어떤 암시로 인해 괴로웠던 기억이 되살아나면 불안감이 마구 증폭되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약해진다. 좀 더 연령대가 높아지면 대뇌 피질에서 중재하는 수치심이나 죄책감이 뒤섞인 가정을 경험한다. 유아기에는 이 영역이 미성숙 상태기 때문에 이 시기에 학대를 경험하고 더 자라기 전에 중단되면 이런 감정과 관련된 증상은 줄어든다. 

하지만 어떤 연령대라도 공포에 질리는 상황에 맞닥뜨리면 대뇌피질의 제일 위쪽 영역이 가장 먼저 기능을 중단한다. 먼저 계획하는 능력을 잃고 배고픔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두 가지 다 즉각적인 생존에는 크게 상관없기 때문이다. 극심한 위협을 당하면 생각을 못하게 되거나 심지어 언어구사력을 상실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그저 본능에 따라 반응한다. 공포감이 오래 지속되면 뇌 자체가 만성적이거나 심지어 영구적으로 변형된다. 지속적인 공포로 뇌에 변형이 일어나면 특히 아기처럼 피해자의 나이가 어릴수록 세상에 대해 더 충동적, 공격적이면서 사려 깊지 못하고 배려가 없는 사람으로 자랄 수 있다. 

이는 뇌의 체계가 사용의존적 방식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근육과 마찬가지로 뇌 체계 역시 스트레스 반응이 자꾸 활성화할 수록 더 많이 변형되고 기능 장애의 위험도 더 높아진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통제하고 조절하는 피질부가 적게 사용될수록 변형되는 정도도 경감된다. 만성적 공포와 스트레스에 노출된 사람은 마치 제동 장치가 약해진 차에 더 강력한 엔진을 추가 장착한 것과 비슷한 상태가 된다. '기계'의 위험한 폭주를 막아 줄 안전장치를 풀어 버린 것과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세상에 대한 기억으로 형성되는 뇌의 사용 의존적 탬플릿처럼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큰 변형은 인간 행동을 심각하게 제한한다. .... 


p. 149~ 

아기는 처음부터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를 지닌 채 태어나며 이것은 뇌의 가장 원시적인 부분인 기저부에 자리 잡고 있다. 영아의 뇌는 올바르지 못한 신체 내부의 신호나 외부 자극을 스트레스 요인으로 받아들인다. 영양분이 필요할 경우에는 '배고픔', 탈수 상태에서는 '목마름', 외부의 위협을 인지하면 '두려움' 이 스트레스 요인이다. 이 요인이 해결되면 영아는 즐거움을 느낀다. 바로 이것이 신경 생물학에서 스트레스 반응이 뇌의 즐거움과 보상 영역은 물론 고통, 불편함, 두려움을 대표하는 영역과도 상호 연관된다고 하는 이유다. 즉 스트레스 요인이 줄어들어 생존 능력이 향상되면 즐거움을 경험하게 되고 위험이 커지는 경험은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영아는 즉시 누군가가 먹여 주고 안아 주고 쓰다듬어 주고 부드럽게 흔들어주는 것이 즐겁다는 것을 깨닫는다. 주의 깊게 양육되어 배가 고프거나 두려울 때마다 누군가가 일관성 있게 돌봐 준다면 아기는 금방 먹이거나 달래줌으로 얻는 즐거움과 위안을 사람의 관계와 연관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이런 평범한 유아기를 보내면 돌봐 주는 보호자와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고 그 관계에서 큰 행복을 얻을 수 있다. 즉 아기의 건강이 증진되고 이후 인간관계에서 즐거움을 느끼게 하려면 아기가 울 때마다 반복하여 적절하게 요구를 들어주어야 한다. 

관계나 쾌락을 중재하는 뇌 신경계는 모두 스트레스 반응 기전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랑하는 사람과의 상호 작용이야말로 가장 뛰어난 스트레스 조절 매커니즘이다. 처음에는 보호자가 아기를 먹여 줌으로써 먹을 것을 구할 수 없다는 두려움과 공포를 다스려 주지만 시간이 지나면 아이 스스로 이런 심리적 스트레스를 다스릴 수 있게 된다. 즉 보호자로부터 감정과 요구에 반응하는 방법을 배운다. 배고프면 먹여 주고 무서우면 달래 주며 감정적, 육체적으로 필요한 것을 지속적으로 적절하게 채워 주면 아기는 점차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고 위로할 수 있게 되어 이후 일상의 부침에 대처할 힘을 키워나간다. 

서너살 꼬마가 넘어져  무릎이 까지면 반사적으로 엄마를 쳐다본다. 엄마가 걱정하는 기색이 없으면 아이도 울지 않지만 엄마의 얼굴에 두려움이 떠오르면 아이도 당장 울음을 터뜨리기 마련이다. 보호자가 아이에게 감정적 자기 조절을 가르치는 복잡한 과정의 한 예다. 물론 아이마다 유전적으로 스트레스 요인이나 자극에 대한 민감도는 다르지만 이런 유전적 강점이나 취약성은 아이가 갖는 첫 인간관계를 좀 더 부각시키거나 무디게 만드는 정도에 그친다. 성인을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친밀한 사람이 함께하고 사랑하는 사람의 목소리와 얼굴을 보고 들으면 스트레스 반응 신경계의 활동이 실질적으로 조절되어 스트레스 호르몬을 제어하고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람의 손을 잡기만 해도 어떤 스트레스 조절 약을 먹은 것보다 더 큰 효과가 있다. 






p. 188


처음 마리아가 산책에 나서면 레온은 아기 침대에 누워 엄마를 찾으며 울었다. 하지만 울어도 오는 사람이 없다는 걸 깨닫자 곧 울음을 멈추었다. 아기는 돌보는 손길도 말을 걸어주는 사람도, 뒤집거나 기어도 칭찬하는 목소리 하나 없이 침대에 홀로 누워 시간을 보냈다. 당연히 세상을 탐색할 만한 공간도 거의 허용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시간 동안 언어를 배울 수도 없었고 새로운 볼거리도 관심도 받지 못했다. 레온의 경우도 사람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끼는 뇌 영역 발달에 꼭 필요한 자극이 박탈되었다는 면에서 로라와 버지니아의 사례와 유사하다. 아무리 울어도 응답이 없었고 따뜻한 사랑과 육체적 접촉도 전무했다. 하지만 버지니아의 경우 자주 옮겨 다녀야 했지만 어쨌든 위탁 가정의 지속적인 보호를 받았고, 로라는 충분한 신체적 자극을 받지는 못했지만 엄마가 옆에서 항상 지키고 있었다. 이에 반해 레온의 아기 시절은 잔인할 정도로 변덕스러웠다. 마리아가 집에 있을 때는 아기를 충실하게 돌보았지만 평일 낮이 되면 집에 버려두고 온종일 돌아오지 않았다. 앨런이 집에 있을 때에는 아기와 놀아주었지만 늦게까지 퇴근하지 못할 때가 많았고 많은  경우 집에 돌아온 후에도 너무 지쳐 아기와 놀아줄 수 없었다. 이런 식의 전면적인 유기를 포함한 일관성 없는 육아 환경은 아이에게 가장 나쁜 영향을 미친다. 뇌가 적절하게 발달하려면 패턴화할 수 있는 반복적인 자극이 꼭 필요하다. 공포나 외로움, 불편함, 배고픔 같은 욕구가 언제 해결될지 예측할 수 없으면 아기의 스트레스 체계는 뇌성 마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언제나 높은 수준으로 유지된다. 공포나 욕구에 대해 일관성 있게 애정어린 응답을 받지 못하자 레온은 인간관계와 스트레스 해소 사이에 정상적인 연결 고리를 만들어내지 못했고 믿을 사람은 자기 자신뿐이라는 것을 배웠다. 

이런 어린 시절의 결핍은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을 때 끝없이 떼를 쓰거나 공격적이거나 냉담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절실히 필요했던 유아기에 아무리 노력해도 사랑이나 관심을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이제는 사람을 후려치거나 때리거나 물건을 훔치고 때려 부쉈다. 벌을 받아도 분노만 더 키울 뿐이었다. 벌을 받은 후에는 더욱 나쁘게 행동하여 자신이 '못된 사람'이며 동정할 가치가 없음을 주변에 확인시켰다. 이런 악순환으로 인해 시간이 갈수록 레온의 비행은 단순한 친구 괴롭히기에서 중범죄로 급속도로 발전했다. 

...

레온도 대뇌 피질의 인식 기능은 정상적으로 발달되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행동을 유심히 지켜보고 기억했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자 필요할 경우 적절한 행동을 흉내 낼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을 통해 다른 사람을 마음대로 조종하여 원하는 것을 얻어냈다. 하지만 대뇌 변연계와 상호 관계 신경망이 미성숙했기 때문에 그의 인간관계는 언제나 얕고 얄팍했다. 그에게 다른 사람이란 그저 자기를 방해하거나, 원하는 것을 제공해주는 개체일 뿐이었다. 그는 유전적 소인 없이 전적으로 환경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소시오패스의 전형이었다. 정신의학적 진단으로는 반사회적인격장애ASP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라 한다. 형 프랭크와 같은 방식으로 양육되었다면 그도 분명 정상적으로 자라나서 살인이나 강간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p. 358~


피터 가족을 진료하던 당시 우리는 피학대 아동에 대한 신경 순차법neurosequential 연구에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었다. 유아 트라우마와 방임의 피해자는 실제 나이가 아닌 손상이나 결핍을 경험했던 연령에 맞는 자극이 필요하다. 즉 실제 나이는 일곱 살이라도 아기일 때처럼 안아 주거나 부드럽게 흔들어 달래야 할 수 있다. 보호자나 의료인은 끝없는 존중과 배려 속에서 이런 발달 관계에 적합한 강화와 치료 자극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징벌과 강제를 동원한 고압적인 치료는 상태를 더 악화시킬 뿐이다. 여기에 음악, 춤, 마사지 치료를 병행하여 스트레스 반응 통제에 필요한 뇌 기저부의 주요 신경 전달 물질계를 자극하고 조직화했다. 이 영역은 영아기에 급속도로 중요한 발달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유년기 트라우마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해리나 과각성 반응을 보이는 경우에는 약물 치료도 함께 했다. 

하지만 치료에 관계의 지속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은 깨달았으면서도 아이의 성장에 또래 집단에서의 관계가 얼마냐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잘 알지 못했다. 

피터의 과거 이력은 나에게 두뇌 발달에 인간관게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지 깨닫게 해주었다. 피터는 세 살까지 어른의 관심을 전혀 받지 못했다. 고아원은 아기 창고나 다름 없었다. 크고 밝은 방에는 완벽하게 깨끗한 요람 60개가 가지런히 놓여 있었고 보호 두 명이 요령 있게 침대를 오가며 60명의 아이들을 먹이고 기저귀를 갈아주었다. 아기가 어른을 접하는 시간은 대략 8시간당 15분 정도에 불과했던 셈이다. 이렇게 짧은 시간에 아기에게 말을 걸거나 안아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실제로 직원들은 바쁘게 우유를 먹이고 기저귀를 갈아 주었을 뿐, 요람을 흔들거나 안아서 달래 줄 시간은 거의 없었다. 심지어 걸음마를 하는 아이들조차 밤낮으로 요람에 갇혀 있어야 했다. 



p. 401~ 


뇌는 지속적인 반복과 노출을 통해 오랜 시간을 두고 천천히 발달하며 각 순간마다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패턴을 강화한다. 일단 패턴이 시작되면 홈이나 자국처럼 남아 유사한 행동을 더 쉽게 만들어주고 반복될수록 이런 경향을 더 강해진다. 사회적 뇌의 거울 시스템은 행동 전염을 일으킨다.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스포츠나 피아노, 친절 등을 연습할 때는 멋진 기능이지만 반복되는 것이 위협에 대한 충동성이나 공격적 반응이라면 문제가 된다. 나는 레온을 다시 생각한다. 그는 처음에는 반복적으로 방임되는 것으로 시작했지만 이후 그 자신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작은 의사 결정을 거듭하여 나쁜 행동이 쉽게 늘어나고 좋은 선택은 점점 더 멀어져 갔다. 

이런 뇌의 특성으로 인해 거의 대부분의 경우 개입 시기가 빠를수록 좋다. 물론 이 경우 올바른 개입이어야 한다. 레온의 경우 그를 도우려는 시도 대부분이 실제로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아이들이 비행을 저지르면 처음에는 이들을 벌주고 권리를 빼앗으려는 충동에 사로잡히곤 한다. 우리는 아이들을 '버릇이 없거나' '제멋대로' 행동하는 짜증나고 부담스러우며 공격적인 존재로 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런 형태는 보통 아이가 너무 풍족하거나 기분이 좋아서가 아니라 요구가 충족되지 않고 잠재력이 사장될 때 발현된다. 아이를 친절하고 너그러우며 배려심 깊은 사람으로 키우고 싶으면 같은 방식으로 대우해 주어야 한다. 처벌은 이런 자질을 만들어내지 못한다. 물론 행동의 한계를 정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아이가 처신을 잘하기를 바란다면 먼저 예의 바르게 대해 주어야 한다. 사랑받으며 자란 아이는 자기 주변 사람들을 행복하게 해주고 싶어한다. 자신이 행복하면 주위 사람들도 즐거워진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단지 처벌을 피하기 위해 규칙에 따르는 것이 아니다. 이런 긍정적인 피드백의 순환 고리는 부정적 피드백보다 훨씬 더 강력하다. 하지만 그러려면 나쁜 짓을 한 아이에게 즉각 반응하지 말고 먼저 나쁜 짓을 하게 만든 원인을 판단해서 그것부터 해결해야 한다. 레온이 아동기 초기에 도움을 받았다면 엄마로부터 방임을 경험했다 해도 분명 내가 만났던 냉혈 살인마가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

문제 아동은 일종의 고통을 겪고 있는 상태나 마찬가지다. 고통은 사람을 짜증스럽고 불안하며 공격적으로 만들기 마련이다. 이들은 인내심과 사랑으로 꾸준히 치료해야 하며 짧은 시간에 효과를 볼 수 있는 마법의 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서너살 아이는 물론 10대 아이들에게도 마찬가지다. 아이가 나이가 많아진다 해서 처벌을 통한 접근이 더 적절하거나 효과적이 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마찬가지로 우리 사회 체제는 이런 사실을 잘 깨닫지 못하며 그저 미봉책을 내놓은 다음 이것이 실패하면 처벌적 방법에만 매달린다. 이런 아이들에게 처벌이나, 박탈, 강요는 또 다른 트라우마로 다가오며 이들의 문제를 더 악화시킬 뿐이다. 

아이들을 치료하며 알게 된 가장 큰 교훈은 어떤 치료를 하더라도 우선 시간을 들여 관심을 가지고 이야기를 들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뇌가 가진 모방이라는 신경 생리학적 특성 때문에 누군가를 진정시키고 집중하게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나 자신이 먼저 진정하고 집중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0.
일단 입을 열어 말을 하기 시작하며 몸 안에 갇혀 있던 에너지가 밖으로 나온다.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치료가 된다. 아니, 더 중요한 것은 나의 발설을 다른 누구보다 나 자신이 듣게 된다는 사실이다. 욕구가 몸안에 쌓여 있을 때 우리는 그것을 잘 알아채지 못한다. 그것이 언어화 되어 입밖으로 나왔을 때 비로소 내가 하고 싶은 말과 직면하게 된다. 내가 몰랐던 나의 얘기를 듣는 순간, 우리는 자신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하는지 알게 되는 것이다.
비밀이나 고민의 발설은 마음뿐 아니라 몸에도 영향을 미친다. 심리학자이며 글쓰기 치료 연구자인 제임스 페니베이커 박사는 저서 [글쓰기 치료]에서 .... 그가 실험한 바에 따르면, 심리적 외상 즉 트라우마의 경험을 혼자 간직하고 있는 사람은 타인에게 털어놓은 사람보다 병에 걸릴 확률이 더 높다고 한다



32.
사람들은 자기 치유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이미 알고 있다. 발설의 욕망을 느낀다는 사실이 바로 그 증거다. 그러니 말하고자 하는 욕구가 치밀어오를 때는 스스로를 치유하고자 하는 본능에 맡겨야 한다.
다시 판도라의 상자로 돌아가보자. 상자 속에서 불행과 재앙이 쏟아져나오는 걸 보고 깜짝 놀란 판도라가 상자의 문을 닫았을 때, 그곳엔 미처 빠져나오지 못한 게 한 가지 있었다. 가장 밑바닥에 깔려 있던 '희망'이었다. 만약 판도라가 겁에 질려 상자를 닫아버리지 않았다면 그 상자의 마지막 메시지인 희망을 만날 수 있었을 것이다. 그것은 상자에서 쏟아져 나오는 추한 것들을 끈기 있게 지켜보면서 빛과 그림자를 통합해냈을 때 비로소 인간이 느끼게 되는 감정이다.


55.
이처럼 생각과 감정을 글로 옮기게 되면 생각의 파도에 휩쓸리지 않으면서도 문제 해결을 위한 집중적인 고민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단계로 생각이 발전하는 것이다. '자, 그래서 내 고민의 핵심이 뭐지? 뭐가 제일 근본적인 문제인 거야?' 그걸 찾아내고 나면 아마도 '그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 거지?' 라고 묻는 단계가 올 것이다.


56.
글쓰기의 네 번째 치유 기능은 바로 거리두기이다. 참 희한하게도, 직면하게 되면 오히려 담대해진다. 피하고 외면할 때는 한없이 두려웠는데, 돌리고 있던 고개를 들어 똑바로 쳐다보면 오히려 견딜 만해지는 것읻. 도저히 견딜 수 없을 것 같았던 일들도 글로 써서 다시 읽어 보라. 이미 그것은 내 것이 아니다. 그저 종이 위에 기록된 사건일 뿐이다. 그게 견딜만해지면 조금 더 세밀하게 묘사해보라. 같은 내용을 두 배의 분량으로 기록해보는 것이다. 두 밴에서 네 배, 네 배에서 여덟 배.... 그렇게 늘려 쓰기를 하다보면 처음엔 고통스럽지만 쓰고 읽기를 반복하는 사이에 점점 초연해진다.



58.
몇년전 MBSR이라는 심신치유 프로그램에 참가한 적이 있다. 이는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 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으로 명상과 요가를 의료 과정에 도입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의 기본은 자신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것을 아무런 판단 없이 순순하게 지켜보는 것이다. 이를 바디스캔body scan이라고 한다. 바디 스캔은 자신의 발바닥부터 다리, 복부, 가슴, 머리에 이르기까지 세밀하게 관찰하고 그 느낌을 천천히 체험하도록 안내한다.
총8주 프로그램중 몇 주째였을까? 아주 편안하게 누워서 천천히 내 몸을 바라보던 나는 따뜻한 사랑의 느낌을 선명하게 경험했다. 나의 온몸이 누군가로부터 가장 온전한 사랑을 받고 있다는 느낌이었다. 아, '본다'는 것은 '사랑'의 행위구나, 라는 직관적인 앎이 찾아왔다. 순간 가슴이 뭉클해졌고 따뜻한 눈물이 흘렀다.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 조금 논리적으로 설명하자면, 내 몸에 주의를 집중함으로써 눈에는 보이지 않는 마음의 파동이 가 닿았고, 내가 그것을 느꼈는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이후 현실의 인간관계에서도 '봄=사랑'의 공식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장면을 상상해보자.
누군가 말을 하고 있다. 눈물을 흘리며, 한숨을 내쉬며, 또는 눈을 반짝이면서 신나게 수다를 떨 수도 있다. 그의 앞에는 이야기를 들어주는 상대가 앉아 있다. 상대는 말하는 이의 부모일 수도 있고, 연인일 수도 있고, 친구나 형제자매, 내담자의 얘기를 듣고 있는 상담자일 수도 있겠다. 그들을ㄴ 너무 앞으로 당겨 앉지도 않았고, 뒤로 빠져 있지도 않았다. 적당한 거리에서 상대에게 관심을 집중시킨 채 고개를 끄덕이며 이야기를 듣고 있다. 상대가 호들갑을 떨면서 공감을 표시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그 관계가 호의와 사랑에 기반한 관게임을 직감할 수 있다.
판단이나 편견 없이 누군가를 지켜보는 것은 사랑의 행위다. 부모가 어떤 기대나 집착 없이 아이를 주의 깊게 지켜봐주는 것, 사랑하는 사람이 상대를 있는 그대로 봐주는 것, 동료나 친구가 살아가는 모습을 어떤 훈계나 간섭도 하지 않고 가만히 지켜봐주는 것은 칭찬이나 격려보다 더 온전하다.




63.
우리는 삶과 직면하지 않기 위한 방어기제를 100가지쯤 구사하며 살아간다. 대충 보고, 왜곡하고, 발뺌하고, 화내거나 울면서, 또는 모호한 환상의 장막을 드리운 채 세상을 본다. 어린 시절에는 그것이 생존의 방법이기도 했지만, 이제는 단순한 습관 혹은 게으른 회피의 한 방편이다.



204.

작은 문제부터 떠나보내는 것이 좋다. 오랫동안 끈질기게 나를 괴롭혀온 문제, 근본적인 문제들은 쉽게 떠나보낼 수 없다. 그것은 시간을 두고 천천히 해결해야 물러간다.
작은 문제를 정리하다보면 마음의 여유가 생겨 중요한 이슈를 다루는 데 훨신 도움이 된다.
골치 아픈 문제를 떠나보내는 대신 정반대의 반전을 시도해보는 것도 좋다. 우리는 고치고 달라지려고 쉼없이 자신을 채찍질하면서 살아간다. 그리고 문제투성이인 자신에 대해 안절부절못한다.
난 말을 너무 많이 해서 문제야, 난 너무 내성적이어서 문제야, 물건을 정리하지 않아, 게을러, 우유부단해.... 그럴 때 문제들을 떠나보낼 것이 아니라 자신을 문제투성이라 야단치는 그 사고방식을 떠나보내는 것이다.


207
마지막으로 떠나보내기가 인상적이었던 카자흐족 이야기를 하고 싶다. 몽골벌판에서 살아가는 카자흐족은 독수리를 길들여 늑대나 여우 등의 맹수를 사냥하도록 훈련시킨다. 이 독수리 사냥을 하면서 살아가는 이들을 베르쿠치라고 한다. 베르쿠치가 한 마리의 독수리를 길들이고 훈련시키는 기간은 근 6개월이며, 10여년을 그 독소리와 살아가다가 시간이 흐르면 떠나보낸다.
떠나보낼 때 베르쿠치는 자기들만의 의식을 거행한다. 가장 좋은 옷을 차려입고 높은 산에 올라가 자기 손 위에 앉은 독수리에게 몇 번씩 반복해서 말한다. 그동안 너로 인해 잘 살아왔으며, 이제 우리가 헤어질 때가 왔다고. 그리고 눈물을 닦으며 오랜 친구인 독수리를 떠나보낸다.
그 장면을 보면서 나는 생각했다. 떠나보낼 때 충분히 슬퍼하고 정성을 들인다면 그리 오래 미련이 남거나 괴롭지는 않을 것이라고.


256-7
과학자이면서 신비체험가인 조셉 칠턴 피어스는 인간의 지성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연구했고 그에 대한 흥미로운 결론을 얻게 됐다. 즉 우리 인간에게는 머리두뇌head breain: intellect와 심장두뇌 heart brain: intelligence라는 두 개의 두뇌가 있으며, 이 둘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인간의 정신적인 성장을 도모한다는 것이다.
그가 이런 사실을 유추해낼 수 있었던 데는 분자생물학의 공포가 컸다. 분자생물학은 심장이 두뇌와 여러 모루 유사하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해낸 바 있다. 즉 심장을 구성하는 세포의 60퍼센트 이상이 두뇌와 똑같은 신경세포로 이루어졌으며, 두뇌와 마찬가지로 신경전달물질을 통해서 작용한다. 게다가 심장세포도 인간의 온몸과 연결되어 신체가 조화롭게 기능하도록 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두뇌와 유사하다. 그 심장의 절반은 이른바 감정두뇌라고 하는 뇌의 변연계에 연결돼 있고 나머지는 신체 모든 장기와 근육들에 연결되어 신체와 정서, 감정 등이 상호작용하도록 돕게 된다.
그 뿐이 아니다. 그는 50여년 전, 생리학 시간에 쥐의 심장세포를 연구하다가 재미있는 사실을 목격했다. 심장세포 한 개를 떼어놓으면 규칙적으로 박동하다가 서서히 약해지면서 죽어갔는데, 죽어가는 세포 옆에 또 다른 심장 세포를 가져다놓으면 둘은 다시 규칙적으로 박동하기 시작했다. 서로 붙여놓은 것이 아닌데도 말이다. 이렇게 두 세포가 서로 조응할 수 있는 것은 심장세포가 만들어내는 강력한 전자기장 때문이다. 심장박동은 작은 전구를 밝힐 수 있을 만큼의 전자기장을 인간의 몸 바깥 3.5미터에서 4.5미터까지 방사하며, 이때의 파장은 두뇌가 가진 전기 파동의 40~60배에 이른다고 한다.
따라서 조셉 칠턴 피어스는 인간의 두뇌, 그중에서도 감정이나 정서를 관장하는 부분이 심장의 영향력 아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한편으로는 심장에서 뇌로 흘러드는 호르몬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심장이 방사하는 전자기장에 의해서다.



270.
또 하나는 균형감각을 갖는 것이다. 이것은 결국 이성과 감성을 두루 사용하는 글쓰기를 말한다. 페니베이커 박사는 [털어놓기와 건강]에서 이와 관련해 아주 재미있는 글쓰기 실험을 했다. 글쓰기 집단을 셋으로 나눈 뒤 첫 집단은 자신의 심리적 상처를 감정적인 측면에서만 쓰도록 했고, 두 번째 집단은 심리적 상처에 대한 사실만 기록하게 했으며, 세 번째 집단은 사실에 대해 쓰고 감정적인 측면도 고백하게 했다. 실험 결과 첫 번째와 두 번째 집단은 나흘 동안 글을 쓴 뒤 더 우울해졌지만, 세번째 집단은 기분도 훨씬 좋아졌을 뿐 아니라 이후 6개월 동안 건강상태도 다른 집단에 비해 훨씬 좋았다.
치유하는 글쓰기를 진행해보면 주로 감성적인 측면에 대해서만 글을 쓰는 참가자들이 있다. 그들은 우울한 상태, 외롭고 공허한 심경을 누구보다 문학적으로 잘 표현한다. 하지만 그렇게 글을 쓸 경우 상처와의 직면은 불가능하며, 거기에서 벗어나는 것 또한 어려워진다. 그럴 때 나는 참가자에게 상처가 된 사건을 좀더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도 기록해보라고 요구한다. 반대로 감정 표현은 전혀 하지 않은 채 당시의 상황만 객관적으로 묘사하는 이들도 있다. 그들에게는 반대의 제안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7)

삶의 많은 부위는 실체가 아니고 생각의 영역입니다. 어머니와 나 사이에서 벌어지는 여러 상황들은 지나간 과거와 오지 않은 미래의 생각이 빚어내는 가상의 세계입니다. 생각 속에서 생각이 만들어낸 삶을 살면서 얼토당토않은 괴로움과 좌절과 미움을 재생산하는 것이라는 것을 어머니와 살면서 다시금 알게 됩니다.
생각을 잘 하되 그 생각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면 그보다 더 큰 자유는 없을 것입니다.

(46)

이것이 이른바 첫 번째 요벙인 [앞장서서 방향 돌리기 요법]이었다. 치매 노인의 엉뚱한 요구나 주장에 대해 최고의 대응법인 이 요법은 아주 간단하다. 어머니가 뭘 요구하시면 무조건 수용하고 그대로 따르면 되는 것이다.
불가능한 일을 요구하는데 그걸 어떻게 수용하느냐고?
지레 겁먹을 필요가 없다. 해보면 된다. 해 보면 신기하게도 해결책을 어머니가 다 가르쳐주신다. 단 한 가지 전제조건이 있다. 될까 안 될까 의심하면서 어설프게 하면 실패한다는 것이다.
온 정성을 다해서 하늘에 있는 별이라도 따 드리겠다는 심정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상황을 완전히 주도해 버려야 한다. 뒤에서 투덜대며 끌려 다니지 말고 한 발 앞서 가라는 얘기다.
치매 부모의 터무니없이 강경한 주장은 그동안 아무도 귀 기울여주는 사람이 없었던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보면 된다.
... 감자밭 사건이 있고나서 어머니는 상황에 맞지 않는 주장을 거의 안 하셨다. 며칠 동안 계속된 평화를 조마조마하게 지켜봤는데 확실하게 한 고비를 넘기신 게 분명해 보였다. 가끔 엉뚱한 주장을 하시기는 해도 예전처럼 집요하거나 공격적이지가 않았다. 어떤 주장도 귀 기울여 들어주고 맞대응하지 않고 가볍게 추임새를 넣어가며 수긍해주니까 어머니 스스로 주장을 접거나 아예 잊어 버렸다.
자기 주장을 지나치게 강변하지 않아도 누가 당신을 무시하거나 비난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오랜 세월 내재되어 있던 긴장과 마음의 상처가 해소되지 않았나 싶다.


(53)
감기몸살이 나서 콧물이 흐른다고 콧구멍을 탓할 수 없듯이 수십년전에 돌아가신 구두 수선쟁이 '백운역 할아버지'가 난데없이 서울 여동생네 뒷집에 침쟁이가 되어 나타났다는 어머니의 주장을 판단력과 기억력의 잘못으로 문제 삼을 일이 아닌 것이다.
판단력과 기억력 이전에 원 뿌리는 걷고 싶다는 데 있었다. 남들처럼 벌떡 서서 걸어보고 싶은 것이다. 걷지 못한다는 이유로 갇혀 살기 싫다는 것이고, 바깥구경 좀 하자는 것이다. 걷고 싶은 것뿐이었는데 오줌싸개가 되어야 했고, 집안의 천덕꾸러기기 되어야 했다. 아무도 어머니가 하시는 얘기를 귀담아 듣는 이가 없다는 데서 증세는 악화되어 갔던 것이다. 이것을 어찌 어머니 탓이라 하겠는가.

(60)
백운역 할아버지가 등장하는 기재를 정확히 알게 된 것이 큰 소득이었다. 불안이 커지고 최소한의 욕망이 허물어 졌을 때 바로 그럴 때 백운역 할아버지는 벼락처럼 어머니에게 오시는 것이다.
백운역 할아버지가 아니라 더한 요구가 있더라도 뒤처져서 수습하는 데 급급하지 않고 한 발 앞서서 어머니보다 더 설치면서 상황을 이끌어 가면 어느새 어머니는 수동적인 입장이 되고, 상황의 전개를 주도하게 된 나는 자연스레 사태를 수습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 수 있었다.


(90)
사람이 건강을 잃고 병드는 것은 대개 사람관계에서 비롯된 것이고 사람 사이의 이해관계가 빗나가는 데서 시작된다. 그러나 동물은 이해관계가 아주 단순하고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 기대를 배반하지 않는다. 행동의 유형도 몇 가지로 정해져 있어서 관계 맺기와 풀기가 참 쉽다.
단순하게 생각하고 단순하게 먹고 단순하게 살아가는 것이 깨어 있는 사람들이 너나없이 추구하는 삶이다.


(108)
어느 날 우연히 읽게 된 '인천시민문예당선작'에 소개된 글은 충격이었다.
노인 시설에서 노래강사로 활동하는 저자가 한 노인의 유품을 정리하다 발견한 일기였다.
'... 나를 볼 때 무엇을 보십니까? 당신이 하는 일을 눈치도 못 채는 듯 보이고 항상 벗겨지는 양말, 별로 영리하지 못한 움츠러든 늙은 노인, 먼 곳을 보는 듯한 눈과 변덕스런 습관, 대답을 잘 못하고 음식은 흘리고, 당신이 하라는 대로 움직이고 당신이 먹이는 대로 받아먹지만 나는 말하리라.
열여섯 살 소녀 때에는 발에 날개를 달고 사랑하는 사람을 곧 만나리라 꿈을 꾸었고, 뛰는 가슴을 안고 스무 살 신부가 되어 기쁜 가정을 이루었다고. 내 어린 자식들은 무럭무럭 자라고 쉰 살에 내 무릎 밑에는 손자들이 놀았다고.
나는 기억하오. 즐거웠던 순간들과 쓰라렸던 시간들을. 그리고 아무것도 오래가지 못한다는 사실을. 자 쭈그러진 노인으로만 보지 말고 가까이서 나를 봐 주시오....'
노인의 일기에서 보듯 늙고 병들면 노인의 느낌과 판단은 무시된다. 관리의 대상으로 전락하여 관계자들의 편의를 중심으로 일들은 진행된다.


(127)
사실 치매는 자신을 제압하는 환경으로부터의 도피라고 할 수 있다. 모든 것으로부터 소외되었다면 그 사람이 찾을 수 있는 도피처가 망각이 될 수 있다. 대응할 수 없는 자신의 처지를 알아채고는 외면과 저항, 과도한 공포감과 무시, 의심, 외고집을 통해 분열적 자아를 되찾고자 발버둥치는 것이다.
친근한 환경과 익숙한 사람은 치매 노인들을 안정시킨다.
열살 남짓해서 이사를 간 후 환갑 나이에 만났으니 근 50여년 만에 보는 '분이' 아주머니인데도 어머니가 대뜸 알아보신 것은 고향나들이에서 얻은 좋은 덕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아지매, 우리 어머니 택호가 뭔지 기억하세요?"
분이 아주머니가 물었다.
"찌랄 하고 있다. 내가 그거 모르까이? 서당띠기 아이가?"



(157)
군청에 근무하는 복지 담당 공무원은 의외의 이야기를 했다. 나라가 중심이 되는 서구형 복지 모델에 대해 강한 의문을 제기했던 것이다. 독일과 일본을 뒤쫓는 우리의 노인 복지정책에 대한 문제제기이기도 했다.
"개인의 삶에 국가의 개입 영역이 커질수록 사람의 자주성은 상실된다. 과대하게 설계된 요양비용이 가족간의 애정과 부양을 대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놀란 요양사는 현실을 외면한 의견이지 않느냐고 했다. 노인성 질병을 앓는 부모를 돌볼 사람이 누가 있느냐는 것이었다. 한 사람이 전적으로 달라붙어도 모자랄 판에 식구 중 누가 그 일을 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작은 논쟁을 거치면서 복지란 이름으로 인간의 기본이 되는 늙은 부모를 모시는 일마저도 팽개치도록 만드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국가가 주도하는 복지는 노동시장에 다량의 노동력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요약된다.
산업노동시장 뿐 아니라 부부 맞벌이를 통해 자녀들의 교육시장도 공교육과 사교육을 막론하고 확장되는 것이다. 그럼으로 해서 산업예비군(실업자)을 일정수준 이상 유지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텐데 이는 자본의 의도와 일치한다.
일본에서 새롭게 시도되는 가정형 복지모델을 소개한 사람은 무주에서 시설을 운영하는 분이었다. 부모를 부양하는 가족에게 상당액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인데 처음에는 직접 부양 자녀에게만 지급을 하다가 지금은 부모가 사시는 마을 8킬로미터 이내로 이주한 모든 자녀들에게 차등을 둔 보조금을 지원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우리 모임에서는 지역 현장에서 제기되는 노인요양 문제들을 검토하고 분석했다. 우리는 제도나 기반시설의 문제에 우리 스스로를 가두지 않기로 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뭐든지 검토하고 실천해 나가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그러나 요양사와 시설 기관은 물론이고 요양사와 수혜자의 이해는 충돌되는 때가 더 많았다.


(209)
사소한 이해의 차이가 발화점이 되어 번지는 감정대립과 알력은 다 자기 생각을 고수하는데서 비롯된다.
자기 생각에 사로잡히지 않는 것만큼 큰 자유가 어디 있으랴 싶었다. 카페에서 어머니 사진에 모자이크 처리를 하면서 내 생각의 모진 부위를 부드럽게 라운딩처리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230)

몸이 부실해지는 것이 악화가 아니라 주어진 상황을 비관하거나 원망하는 상태가 진짜 악화라고 생각했다. 이것은 어머니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에게도 해당되는 말이다.
어떤 상황에서도 미움과 원망의 마음이 일지 않기를 바랐다. 어머니가 누구를 원망하거나 미워하지 않는 순간을 살기를 바랐다.
아는 목사님에게 전화로 물어봤다. 이런 원한 섞인 푸념을 잘 들어주고 풀어내게 하는 게 좋은지, 분위기를 바꿔서 그런 기분에서 빨리 벗어나게 하는 게 좋은지를.
목사님은 그랬다. 기도하라고.
나는 내 식으로 기도를 했다. 그것은 동학수련에서 배운 심고心告였다. 심고는'내가 지금 이러이러 합니다'라고 하늘에 알리는 것이다. 뭘 해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내 상태를 살펴서 하늘님께 알리는 것이다.
내 식의 기도는 여기에서 한 발 더 나간다.
지금의 내 상태에 온전히 감사하는 것이다. 감사 이유를 찾기 어려우면 그냥 내 몸과 내 마음 상태가 살펴지는 대로 하나하나 무작정 '감사합니다'를 덧붙이는 기도다. 그럼으로 해서 나 자신의 '지금 여기'를 파악하는 것이고 하늘에 감응하는 것이다. 알고 있는 여러 기도 방법이 있지만 심고야말로 기도 중에서는 최고의 기도라고 여겨오던 터였다.
기도를 통하여 고요가 찾아왔다. 마음의 움직임이 느려지더니 이윽고 멈추었다. 마음이 멈춘 자리에 한 송이 연꽃이 피었다. 마음의 분주함과 혼탁함은 원인이 대상에 있지 않고 나 자신에게 있었다. 내가 다다른 고요는 그대로 어머니에게 전해졌나 보다. 기복이 심하던 어머니의 상태가 점차 안정을 찾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중의 추방



나는 당신에게 유대인이라는 것의 어려움에 대해 말했는데,
그 어려움은 글쓰기의 어려움과 똑같은 것이다.
유대인이라는 것과 글쓰기는 똑같은 기다림이며,
똑같은 희망이며, 똑같은 지쳐버림이다.
-에드몽 자베스


1. 추방된 작가

몇 년 전 자베스의 저 말을 읽었을 때 난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다. 유대인이라는 것이 의미하는 바는 유대인으로 태어나 유대인으로 살아보아야만 알 수 있는 것이리라고 생각했다. 그 몇 년의 세월이 나에게 '유대인'에 관한 앎을 키워준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제 어렴풋이 깨닫게 된 것은 그것이 어떤 '추방'의 상태를 가리킨다는 것이고, 다시 그 추방이란 어떤 정치적이거나 지리적인 개념이 아니라 인간이 갖는, 혹은 인간에게 주어진 내면의 한 상태라는 것이다. 하지만 '추방'은 그를 괴롭히고 상실감을 갖게(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의 존재에 당위라는 양분을 공급해주는 뿌리와 같은 것이다. '그곳'에 다다르기 위해 계속 걸어야 하고, 그 걸음은 그에게는 생명의 박동과 같은 것이어서 멈출 수도 없다. 결코 다다를 수 없다는 것을 알지만, 그 걸음이 향하는 (향할 수밖에 없는) 곳은 '그곳'이고, '그곳'에 대한 꿈만이 그를 걷게 만든다. 기꺼이, 주위를 돌아보며 한숨짓는 우를 범하지 않고, 자신을 추방한 그 세계를 넘어서지 않으면서, 또한 그 세계로의 불가능한 틈입을 시도하지도 않으면서 끝없이 그는 걸어야 한다.
그렇다면 추방의 상태는 어떻게 글쓰기와 연결되는가. 글을 쓴다는 것은 하나의, 또는 여러 개의 겹치고 분리되는 세계를 구축하는 일이다. 세계 속의 존재가 또 다른 세계를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한 일일까. 새로운 세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원래 존재했던 세계를 지워버려야 한다. 그 속에 존재하면서 동시에 자신을 포함하고 있는 세계를 부정한다는 것은 이곳에 존재하면서 동시에 다른 곳에 존재해야 하는 일인데, 그 다른 곳은 아직 다다르지 못한 '그곳'이다. 이 세계에서도 또 다른 세계에서도 온전히 존재할 수 없는 그가 경험하는 '추방'은 그래서 이중의 추방이 된다. 그러나 다른 세상을 만들기 때문에 그들이 추방되는 것은 아니다. 추방이라는 생래의 조건을 글쓰기로 풀어낼 수밖에 없는 것, 그것이 추방된 자들의 운명이다.
유대인인 폴 오스터가 유대인 시인인 찰스 레즈니코프와 에드몽 자베스를 다룬 각각의 글에는 '이중의 추방'이라는 말이 반복되어 사용된다. 그것은 그가 즐겨 사용하는 표현이기 때문이 아니라, 유대인이면서 동시에 작가인 그들의 존재를 무엇보다 정확하게 표현해주는 말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들이 서로를 알아보고 끌리는 것은 그런 동일성의 감각 때문일테니까. 자베스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모든 작가가 어느 면에선가는 유대인과 같은 조건을 체험한다고 느끼는데,
왜냐하면 모든 작가, 모든 창조자는 일종의 귀양살이를 하니까요.

세계-그것이 무엇이었든-를 창조한다는 것이 현재 나를 담고 있는 세계을 부정하는 일이라면, 그것은 그러나 먼저 세계로부터 부정당했다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일 수도 있다. 나는 이 세상이 강요하는 방식에 맞출 수 없고, '그들의 길' 위에 발을 내딛을 수 없다. 그들은 다수이고 강하며 그러므로 억압적이다. 무엇보다 자신의 정당성에 대한 주저 없는 확신이 억압을 만든다. 그것은 내 뜻과는 상관없이 이 세상에 던져졌다는 식의 실존주의적인 탄식과는 다르다. 태어난 것을 저주하면서 삶을 포기 혹은 방기하는 것과는 다르다. 그것은 소극적인 부정, 아니 그보다는 패배에 가깝다. 부정이란, 옳지 않다고 강력히 말하는 것이며, 그렇게 말할 수 있기 이전에, 그 옳지 않음에 대한 확신과 대안이 있어야 하고, 그 옳음, 당위를 밀고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세계 속에서 안온한 자리를 찾은 사람은 담 너머의 세계로 눈길을 돌리지 않으며 담의 존재도 인식하지 않는다. 그러나 담 안쪽에 있으면서 담 너머를 꿈꾸는 자는 담 너머 세상을 만들려고 한다. 그의 꿈꾸기는 창조의 다른 이름이다. 그러나 그들을 추방한 세계의 눈에 그들은 단지 추방된 자일 뿐이다.
작가는 계속해서 이야기한다. 결코 끝나지 않는 이야기를 그러나 결코 그만둘 수도 없다. 그것은 그의 운명이다. 살아 있는 동안 그 운명은 그를 저주하며 죽음만이 그 운명을 완성시킨다. 조용히 관뚜껑을 덮어주며 이젠 쉬어도 좋다고 말한다.


2. 추방된 삶

나는 어디에 있는 건지, 어디로 가고 있는 건지 알 수 없다. 답이 없음을 알면서 질문을 버릴 수 없다. 이편의 삶과 저편의 삶의 의무 사이에서 끝없이 방황했던 카프카처럼, 나는 이 삶 속으로 굳건히 들어서지도 그렇다고 여기서 완전히 나가지도 못한다. 나는 "여기 있다"고 말한다. 함부로 눈을 굴리지도 않고, 주위에 낯선 공기를 뿌리지도 않는다. 하지만 보이는가. 여기, 살아 있는, 내가 보이는가. 그러나 의심하지 말지어다.

길은 있다. 여기에도 없고 거기에도 없지만, 그 사이 어딘가 비밀의 통로처럼 숨어 있는 그 길은 있다. 인간의 육체와 정신으로부터 흘러나온 오수가 흐르는 하수도를 따라 파란 눈의 검은 고양이가 살고 있는 뒷골목. 잠든 동안 나는 그리로 흘러든다. 나는 들어가려 하지 않는다. 하지만 나는 이미 그 안에 들어와 있다. 빛은 없고 눈을 뜰 수 없다. 그러나 나는 두렵지 않다. 습기와 악취도 편안하다.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은 생존의 감각을 내 몸은 갖고 있다. 아무런 생각도 필요 없다. 그 길위에서 구를 뿐이다.

그것이 나의 삶일까. '세상' 속에 내 삶은 없는 걸까.
난 이미 보아버렸다. 그 삶이 '환영'임을, 나의 거짓말 속에서만 나는 그 안에 살아갈 수 있음을... 그러나 역시 그 세상을 버리는 일은 죽음만이 완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나는 탈출을 꿈꾸지 않는다. 탈출하려면 나를 가두고 있는 여섯 개의 벽이 필요하다. 난 그 벽이 거짓말임을 안다. 없는 것을 애써 제거할 필요는 없다. 어느 예기치 못한 잠결에 나는 또 흘러들 것이다. 그 비밀통로가 나인지, 그것을 바라보는 것이 나인지, 내 속의 나인지, 내 밖의 길인지, 그것은 더이상 중요하지 않다. 답은 없고, 답을 찾아야 할 이유도 없다. 애초에 '답'이란 거짓이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