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속에 숨은 우리 과학 시공주니어 어린이 교양서 20
오주영 지음, 허현경 그림 / 시공주니어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2달의 우리네 명절에 관한 책으로 읽는 재미가 솔솔...

명절에 관해 궁금증을 풀어주는 책으로 초등생 중학년(3~4학년)이상 매우 필요한 책이 아닐까 싶네요.

또한 학습만화를 많이 본 아이들중에서 캐릭터의 얘기와 중요한 읽을거리들을 잘 구분해 읽었던 아이라면 이 책에서도 그 강점을 살려 재밌게 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1월:설날에 만나는 우리 과학

명절안에 속속들이 과학이 숨어있는 줄은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것 같아서 제가 읽고 큰 아이에게도 읽어보라고 했던 것 같아요.

명절에 관한 이야기와 그 속에 숨어있는 과학의 이야기까지...

설날에 입는 옷으로 설빔을 천연염색으로 만드는데 색동저고리 속의 오방색에는 자연에서 나는 재료로 다양하게 쓰인걸 보면 참 대단한 옷임에는 틀림없네요.

 

2월:영등맞이에 만나는 우리 과학

음력 2월에는 바람달이라하여 바람이 얼마나 변덕스럽게 부는지 고깃배가 혼쭐이 나고 돌아오는 경우가 생겨므로 이 때에 바람을 다스리는 영등할머니가 심술 바람을 몰고 땅으로 내려온다고 생각해서 음력 2월 1일이 되면 영등할머니에게 제사를 정성껏 지낸다고 해요.

그 영등맞이가 바로 바람의 신에게 제사를 지낸다고 뜻으로 풍신제라고도 하네요.

 

3월:삼짇날에 만나는 우리 과학

우리 조상들은 3이 두 번이나 들어간  3월 3일을 무척이나 특별하게 생각했다네요. 그래서 삼짇날 봄놀이도 가고 먹을 수 있는 꽃요리도 하구요. 그러다보니 꽃이라면 다 화전을 붙일 수 있는 줄 알았더니 진달래와 비슷한 철쭉은 먹을 수 없는 꽃이라 개꽃이라 했지만, 진달래는 먹을 수 있는 꽃이라 참꽃이라고 불렀어요. 진달래꽃뿐 아니라 벚꽃, 배꽃, 매화로도 화전을 만들었다하니 보기만 해도 먹음직스러웠을거란 생각이 들어요.

 

4월:초파일에 만나는 우리 과학

절 건물을 보존시킨다는 단청... 단청이라는 말은 참 아름다운 것 같아요. 종교가 불교가 아니다보니 사실 스님이나 절에 관한 이야기는 잘 들려지는 보이지는 않지만 절의 지붕과 천장에는 붉고 푸른 색들이 입혀져 있어 이렇게 나무 건물에 색을 칠하는 것을 단청이라고 하져~

단청은 한자의 붉을 단과 푸를 청이 합쳐진 말이예요.

빛을 많이 받는 기둥과 난간에는 붉을 색을 칠해 힘차게 보이도록 했고, 그늘진 추녀나 처마에는 초록색을 칠해 환하게 보이도록 했으며 위는 초록색이 아래는 붉은색이 강렬한 대비를 이룬 셈이예요.

 

5월:단오에 만나는 우리 과학

단오는 수릿날이라고도 하고 수리라고도 해요. 수리취를 넣고 떡을 해 먹었다고 해서 그렇다고도 하고 쑥으로 수레 모양의 떡을 해 먹어서 그렇다고 하네요.

수리는 수레의 옛말로 수리는 또한 높음을 뜻하는 옛말로 일년 중 최고의 날이라는 뜻이 돼요.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3월 3일, 4월 4일, 5월 5일, 6월 6일, 7월 7일등 월과 일이 겹치는 날을 양기가 가득한 좋은 날이라 했대요.

 

6월:유두에 만나는 우리 과학

유두는 동쪽에서 흐르는 물에 목욕을 한다는 동류두목욕 이라는 말에서 나온 명절인데요.

유두천신이라는 제사를 지냈고 여름에 나는 햇과일을 준비하여 유두국수, 수단과 경단 같은 음식을 정성껏 만들어 조상님을 모신 사당에서 제사를 지냈지요.

제사를 지낸다음 정성껏 마련한 음식을 먹었는데 국수 가락처럼 건강하게 오래 살라는 뜻을 담은 유듀 국수를 먹었고,  수단과 경단 같은 떡을 맛있게 먹었어요. 밀을 굵게 갈아 누룩도 만들었져~

 

7월:칠석에 만나는 우리 과학

칠석은 우물을 청소하는 날이예요. 우물은 본래 매년 한 번씩 청소를 해 주어야 늘 깨끗한 물을 먹을 수 있어서 장마가 끝난 뒤 칠석날에 다 함께 모여 비 때문에 흙탕물이 된 우물을 청소하는 거예요.

우물은 무척 과학적인 원리로 만들어져 물이 지나가는 곳에 구덩이를 판 다음 바닥과 벽에 돌을 두르고 물이 들어오는 길을 조그맣게 내고 그 밑에는 깨끗한 숯을 두껍게 깔고 그 위에 다시 자갈을 깔아 정수기 역할을 했다고 하니 참 지혜로운 조상의 생활을 엿볼 수 있겠져???

 

8월:추석에 만나는 우리 과학

음력 8월 15일 추석에는 보름달이 환히 떠요. 추석에는 달떡이라고도 하는 송편을 먹어요. 소를 넣기 전 송편 반죽의 모양은 보름달처럼 둥글고 소를 넣은 다음에는 반달 같은 모양이 된답니다.

아기를 가진 부인들은 송편에 솔잎 한 가닥을 가로로 찔러 넣어 점을 보기도 했대요.

송편을 쪄서 한 입 먹었을 때 솔잎 끝이 나오면 아들, 솔잎 꼭지가 나오면 딸이라네요.ㅎㅎㅎ

추석의 대표적인 놀이인 강강술래는 가속도의 법칙을 발견할 수 있는 움직이는 물체에 힘을 더해주면 그 힘의 크기에 비례해 가속도를 받는다는 법칙이지요. 줄다리기에서는 서로 힘을 쓰느라 줄이 팽팽해질 때 우리는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을 관찰할 수 있구요.

 

9월:중양절에 만나는 우리 과학

중양절에 마시는 국화주를 담글 때는 옹기에 담아 발효를 시켜 국화주와 옹기에서는 발효 과학을 배울 수 있지요.

추수 때 볏단을 지던 지게에서는 작은 힘으로 무거운 짐을 지는 도구의 원리를 찾을 수 있고, 도리깨에서는 원심력을 쭉정이를 골라내는 키에서는 크고 작은 혼합물을 분리하는 원리를 배울 수 있네요.

 

10월 상달고사에 만나는 우리 과학

일 년 중에서 가장 신성한 달이 언제일까요? 바로 음력 10월이라고 해요. 좋은 달, 으뜸 달이라는 뜻으로 상달이라 했어요.

상달에는 집집마다 좋은 날을 잡아 집안의 여러 신들에게 감사를 드리기 위해 집 안 곳곳에 상을 차렸는데, 안방에는 집 건물을 지켜주는 성주신이, 장독대 앞에는 집터를 지켜주는 터주 신이, 부엌에는 부엌을 지켜주는 조왕신이 살았어요.

사람들은 성주신, 터주 신, 조왕신 등 중요한 신에게는 절을 올렸고, 나머지 신들이 머무는 곳에는 음식만 차려 놓았대요.

 

11월:동지에 만나는 우리 과학

동지는 음력 11월에 있는 가장 큰 명절로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이에요. 대략 음력 11월 초반에서 중반 사이에 끼어 있지요.양력으로는 12월 22일경이랍니다.

동짓날의 별미는 붉은 팥죽이에요. 팥은 곡식들 중 가장 붉은데, 붉은색은 귀신이 싫어하는 색이라고 해요.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팥죽을 잔뜩 쑤어 대문에도 바르고 벽에도 발라 나쁜 귀신을 쫓았어요.

동지 팥죽을 먹어야 한 살 더 먹는다며 나이 수만큼 새알심을 넣은 뜨거운 팥죽을 훌훌 먹었다고 하네요.

 

12월:섣달그믐에 만나는 우리 과학

섣닫그믐은 일 년동안 묵은 때를 벗겨 내는 날이에요. 방과 대청마루, 부엌, 뒷간까지 깨끗이 청소하고 새해를 준비하지요.

쿠키왈^^:생활의 지혜와 동시에 명절의 상식등을 재미난 과학으로 하나하나 풀어나가는 <명절 속에 숨은 우리 과학>이 딱이더라구요.

특히 여러 우리 과학을 아이들과 함께 진지하게 알 수 있어 너무 좋았어요.

12달 명절중에서 제게 의미있고 재미있었던 부분을 정리해봤고 진솔하게 느꼈던 점을 올렸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