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떠돌이 개야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18
이상교 지음, 이형진 그림 / 시공주니어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떠돌이 개야>라는 책을 읽으며 요즘 사회에서도 이슈가 되는 가족의 한 형태로써 애완견에 대한 생각도 함께 들더라구요.

예전 같으면 떠돌이 멍, 똥개(?), 주인없이 홀로 다니는 견등등 이런 명칭의 개들은 왠지 값이 싸고 원래 그렇게 태생이 그런 개들만이라고 생각을 하겠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다는 점을 많이 아실거예요.

너무나 쉽게 구입했다가도 너무나 쉽게 버릴 수 있는 세상, 분명 가족의 한 형태라고는 하나 사랑이 식으면 마치 물건 바꾸듯이 바꿔버리는 바꿀 수는 없으니 버려지는 것이겠지요. 안타깝게도...

그래서인지 <나는 떠돌이 개야>라는 까만 개가 어? 애완견이었나보네~ 우리가 시골에서 많이 보는 밖에서 길러지는 개가 아닌 애완견 슈나우저... 저도 슈나우저를 길러봐서 아는데요. 뛰는것을 원래 좋아하고 활발한 성격의 소유자이지요.

길러보고서 알았어요. 애완견으로 절대 적합하지 않다는 사실을요. 그래서 건너건너 잘 모르지만 농장으로 보내졌지요~.~;;;

슈나우저는 늘 이발을 깨끗하게 하지 않으면 떠돌이 개처럼 털이 엉키며 금방 정체모를 개로 변신한답니다. 아쉽게도 여기에 등장하는 떠돌이 개처럼...

 

또한 철저한 개의 입장에서 표현된 글들을 읽어보며 아 그럴 수는 있겠구나~라는 떠돌이 개의 입장을 이해하게 되었지요. 네 발로 걷게 되니 바라보는게 한정되었겠라는 공감대 형성이 되면서 그럼 두발로 걷겠다는 건지???

어머나 그렇게 도전의 정신도 생기다니 역시 떠돌아 다니다보니 애완견하고는 다른 생각의 소유자가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들었어요.

여기에서는 아쉽게도 떠돌이 개가 서서 다니니 다들 비웃지만 애완견이 서서 다닌다면 아마 동물농장에 나올만한 이슈가 될텐데...라는 좀 아이러니한 생각이 드네요. 저만은 아닐거란 생각이지만요...

하지만 우리의 떠돌이 개도 개인만큼 직립보행이 쉽지만은 않았을터 어떤 아이의 말에 그냥 네 말로 걷기를 선호하게 되는데 그 반전이 재밌네요. 이러이러한 이유로 난 다시 네 발로 걸을테야가 아닌...

 



 

자동차가 된다니...

나는 등을 둥그렇게 구부린 다음,

두 눈을 휘둥그렇게 뜨고

사방을 번쩍번쩍 둘러보았지.

그런 다음 크게 짖었어.

뭐라고?

빵빵...ㅎㅎㅎ

사람이 아닌 동물이라도 우리와는 다른 개념에 생각을 하지 않을까요?

그냥 웃고 넘길게 아니라 너무나 쉽게 버리고 바꿀게 아니라 사랑으로 아끼며 기른다면 우리는 또다른 가족형태의 구성이 맞다고 자신있게 얘기할 수 있을거예요^^

지금 우리집에 애완견이 있다면 꼭 한번 생각해보세요. 첨 강아지로 가져왔을때와 그 사랑에 변함이 없는지...

예쁜 딸기와 귀여운 초록이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