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노니는 집 - 제9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보름달문고 30
이영서 지음, 김동성 그림 / 문학동네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이 <책과 노니는 집>이라는 제목을 처음 접할때 우리집이 생각났어요. 나름 우리아이들이랑 함께 책과 노닐고 있기에...

그래서 더더욱 예전에는 책과 노니는 집이 어땠을까?도 궁금했었고, 저는 김동성작가의 <꽃신>의 그림을 너무나 깊이있게 봐서인지 그 느낌과 오버랩되는 <책과 노니는 집>이 정말 궁금했어요. 그림에서 느껴지는 옛것들을 각각의 향기를 잘 살려내는 김동성작가의 터치가 너무나 맘에 들거든요.

거기에 조선시대 천주교 탄압이라는 시대적 배경이 맞물리면서 우리는 현재가 아닌 과거의 세계로 넘어가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서 그 시절의 책문화는 어떠했는지 어떠한 사람들이 책을 봤는지 어떻게 책이 나왔는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마치 한 필사쟁이의 삶의 일대기를 그려놓은 듯한 글이 눈에 쏙쏙 들어왔어요.

저는 개인적으로 그림때문인지 한편의 영화를 보는 듯해서 너무나 좋았고 특히 고학년을 비롯 중,고생들에게 너무나 권하고 싶은 책이기도 해요. 그 이유는 너무나 많은 다양한 세계 여러나라의 책들에 휩싸여 있는 듯한 요즘 아이들에게 책이라는 문화는 너무나도 쉽게 다가올수도 밀쳐낼수도 있고 내 삶에 그다지 커다란 의미도 아닌채 그 많은 시간속에서 책 한권 읽을 시간이 없다는 우리네 아이들을 바라보며 안타까움이 드는건 사실이예요. 이렇게 어렵게 책과의 만남을 기다리며 보내던 과거의 사람들도 있는데 말이져~

조선시대에 금기시된 서학은 <천주실의>라는 책으로 점차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신앙으로 퍼지게 되는데 단지 그 천주학 책들을 필사했다는 이유로 주인공의 장이의 아버지는 모진 매에 끝내는 목숨까지 잃게 되지요.

하지만 어린 장이는 아버지와 함께 일했던 약계책방 최서쾌의 도움으로 책방의 심부름을 하면서 많은 일들을 겪게 되며 장이는 이루고 싶은 꿈을 향하여 한 발 한 발 걷게 되요.

저는 장이의 스토리전개를 소개하기보다는 커다란 꿈이라는 것을 더 부각시키고 싶네요. 많은 아이들이 자신의 꿈을 이야기하지 못하는 우리의 현실에서 이 작은 아이 장이의 내면속에 간직한 커다란 소신을 갖고 스스로 일을 해내는 모습들을 요즘 아이들이 읽었으면 좋겠고, 이 시대적인 배경의 너무나 열악한 다른환경임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자라는 장이의 모습들을 책을 통해서 배웠으면 하는 바램이네요.

쿠키왈^^: 요즘 너무나 쉽게 내 손에 들어오는 책들이라하지만 그 책 한권을 만들기까지의 노고를 한번 생각해본다면 과거의 장이같은 필사쟁이들의 노고가 없었다면 지금 우리나 우리 아이들이나 편하게 책들을 읽을 수 있었을까? 라는 작은 의문이 생기네요.

현재는 이렇지만 과거의 책문화는 어떠했는지 소소하게 알 수 있는 <책과 노니는 집>은 읽는 내내 제 마음을 참 따뜻하게 만든 그런 책이었어요. 그런 책을 읽었던 기억이 참 오랫만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특히 외국의 과거가 아닌 우리의 과거사의 책문화는 정말 <책과 노니는 집>으로 첫 스타트로 알려주시면 어떨까요?

예쁜 딸기와 귀여운 초록이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