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들처럼 직접 총을 들고 일제와 맞선 여성 독립운동가들도 있다는 건 예전에 정운현 선생의 『조선의 딸, 총을 들다』를 읽고 처음 알았다. 기억력의 한계로 책에 실린 24명의 인물을 모두 기억하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그 중에 '남자현'이란 분의 이름만은 지금도 기억한다. 많이 아시겠지만, 영화 <암살>에서는 그를 모델로 한 안옥윤(전지현 분)이라는 인물을 주요 배역으로 등장시키기도 했다.


『일제에 맞선 페미니스트』는 지금 읽고 있는 책이다. 우봉운, 김명시, 조원숙, 강정희, 이경희, 이계순, 이경선 이렇게 7명의 여성 독립투사가 등장한다. 이 중에 김명시 정도만 들어봤을 뿐. 나머지는 처음 들어본다. 김명시처럼 무장투쟁에 나선 인물도 있고, 우봉운처럼 근우회와 같은 단체를 통해 활동한 인물도 있다. 공통적인 건 모두 페미니스트라는 점이다. 일제 치하 조선에서 활동한 여성 독립투사라면 대개 다 페미니스트일 것 같긴 한데, 아무튼 책 본문에서는 여성운동에 적극적이었던 인물들을 모았다.


학창 시절에 근·현대사를 배웠다면 '근우회'라는 이름을 들어봤을 텐데, 근우회가 한국 여성사에서 차지하는 상징성은 우리가 그냥 교과서에서 스쳐지나가듯 배웠던 그것보다 훨씬 크다. 그것을 예전에 다른 책에서 근대 여성사 대목을 읽게 되면서 느끼게 되었다. 교과서에서 배우는 독립운동사에서 여성들의 헌신을 다룬 대목이 너무 소략하다는 것은 아쉽다. 


아래 인용문은 『일제에 맞선 페미니스트』본문 중 일부다. 조선이나 간도·연해주가 아닌 아시아를 무대로 활동한 여성 투사라니. 언젠가 이 분의 생애를 배경으로 삼은 영화가 한 편 나왔으면 좋겠다.

김명시의 활동 무대가 아시아라는 사실을 아는 이가 얼마나 될까. 김명시의 ‘반제국주의 운동‘은 조선에 한정되지 않았다. 중국, 대만, 필리핀 등의 국민국가를, 인종과 민족을 넘어섰다. 반제운동을 할 수 있다면 상해에서 하얼빈까지 걸어서 찾아가 조직할 만큼 열정이 남달랐다. 김명시는 동방피압박민족반제대동맹, 재만조선인반일본제국주의대동맹, 상해한인반제동맹 등의 단체를 주도적으로 조직하고 활동했다. ‘백마 탄 여장군‘으로 불렸지만 ‘트랜스내셔널 반제운동가‘라는 호칭을 하나 더 첨가해야 한다. 김명시의 항일 무장투쟁을 알면 해방이 갑자기 주어진 것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된다. 해방공간, 그이는 국가건설에 남녀 역할이 따로 없다고 외쳤으며 역할론을 강하게 비판했다. - P6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3-12-14 23: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여성사史 배워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