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자인 공동저자 브라이언 헤어 ·버네샤 우즈는 저서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에서 협동·협력·친화력 등 여러 모습으로 나타나는 다정함이라는 전략이 인류의 진화와 생존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두 저자는 서문에서 말한다. 강한 자가 살아남고 약한 자는 사라지는 것이 자연법칙이니 각자도생해야 한다고 믿는 것은 오해에서 비롯된 잘못된 생각이라고. 오히려 자연은 친화력과 협력이 넘치는 세계라고.
물론 잔혹한 생존 경쟁도 자연계의 일면일 테다. 그러나 스스로 자신이 살아갈 세상을 상상하고 만들어갈 능력이 있는 호모 사피엔스(인류)가, 생명체의 양면적 특성 중 어느 면을 더 강조하고 발전시켜야 할지에 대한 대답은 오래전부터 이미 명확하지 않을까.
다윈은 친절과 협력을 끊임없이 관찰하며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자상한 구성원들이 가장 많은 구성원이 가장 많이 번성하여 가장 많은 수의 후손을 남겼다" 고 썼다. 다윈을 위시하여 그의 뒤를 이은 많은 생물학자도 진화라는 게임에서 승리하는 이상적 방법은 협력을 꽃피울 수 있게 친화력을 극대화하는 것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 P20
협력은 아주 오래된 전략이다. 수백만 년 전 떠다니는 박테리아로 존재하던 미토콘드리아는 더 큰 단위의 세포 속으로 들어갔고, 미토콘드리아와 더 큰 세포가 힘을 합치자 동물의 몸에 힘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되었다. 우리 몸의 미생물 군집은 다른 기능도 많지만, 특히 우리 몸이 음식물을 소화하고 비타민을 합성하며 장내 물질을 생성하는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하게 해주는데, 이 협력관계는 미생물군과 우리 몸에 공히 이로운 결과물이다. 개화식물은 대부분의 식물 종보다 늦게 발생했지만, 꽃가루를 옮겨주는 곤충과의 성공적 협력관계로 번성한 덕분에, 현재 우리의 정원을 지배하고 있다. - P21
사람(이 책에서 ‘사람‘은 호모 사피엔스를 뜻한다)은 네안데르탈인처럼 10명에서 15명 정도의 작은 무리로 살다가 친화력이 높아지면서 100명이 넘는 큰 규모의 무리로 전환되었다. 뇌가 더 크지 않더라도, 협력을 잘하는 더 큰 규모의 호모 사피엔스 무리가 다른 사람 종 무리를 쉽게 이길 수 있었다. 타인에 대한 감수성을 가진 우리 종은 갈수록 복잡한 방법으로 협력하고 소통했고 이로써 문화적 역량도 새로운 경지로 나아갈 수 있었다. 우리 종은 누구보다 빠르게 혁신할 수 있었고 또 그 혁신을 공유할 수 있었다. 다른 인류는 가망이 없었다. - P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