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는 아주 오래된 꿈이 있다. 더 좋은 세상, 온 생명이 더불어 사는 대동세상.

나와 같은 꿈을 가진 사람이라면 오마이북에서 나온『두 어른』을 꼭 읽어봤으면 좋겠다.

이 책은 굴절된 시대를 살아오며 삶 전체가 현대사가 되어버린 두 어른(백기완 선생·문정현 신부)의 말이 담긴 책이다.

험난한 세상을 온몸으로 겪어내면서도 신념을 지켜온 두 어른의 이야기가 우리에게 용기를 줄 것이다.

밥네라는 말은 식구라는 뜻. 같이 살고 같이 밥을 먹는 사이라는 뜻이지. 이 땅 우리네 사람들은 빌뱅이가 와도 따슨 방으로 모셔. 이게 바로 이 땅 무지랭이들의 보편적인 사람됨이야.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르는 사람들의 가슴과 삶에만 있는 새름(정서)이지 . 노동자가 되었든 돈 없는 놈이 되었든 오마이뉴스가 되었든 다 한 밥네라고 하는 거야. 하지만 요즈음은 그 밥네를 아예 죽여버리고 있어. 있는 놈들은 있는 늠들끼리만 식구라고 하잖아. 따라서 인류 공동체의 인간적 뿌리를 죽이고 있으니 어떻게 해야 할까. 모든 철학, 사상, 예술, 도덕, 문화부터 이 밥네의 넋으로 회까닥 바뀌어야 하는 것이지.

민중사상, 그건 무얼까. 이 세상의 ‘내 거‘란 모두 삐앗은 것이다. 따라서 그 내 거라는 건 모두 거짓이다. 그게 민중사상이야. 그러니까 그 사상을 달리 말하면 하안 밤꽃에 맺힌 이슬이라고도 했지요. 밤에도 눈을 뜬 밤꽃은 밤을 어두움으로 놔두질 않는다. 하얀 이불처럼 피어나는 게 있다. 그게 이슬이다. 밤에도 눈물겹게 일을 하고 꿈을 꾼다 그 말이다. 그렇다, 탱탱 익은 밤은 혼자 먹는 게 아니다. 다람쥐도 먹고 사람도 먹고 이웃끼리 다 나눠 먹는 거지 네 거, 내 거가 아니다. 그런 밤꽃에 맺힌 이슬이란 무일까. 사람은 다 같이 일로 하나 되고 사람으로 하나가 될 때 이슬처럼 맑아진다. 그게 진짜 사상, 민중사상이다, 그런 뜻이지요.

나만 생각하고 내 일만 생각한다면 무슨 희망이 있겠어?한 발짝이라도 빨리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마음을 모아야 해. 한 발짝이라도 다가가고 직접 보게 되면 무엇인가 할 수 있고, 이런 마음이 있어야만 희망적인 사회,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이 돼.
‘꿀잠‘ 같은 집을 통해 정규직, 비정규직이 한데 모여서이 지긋지긋한 자본과 권력을 견제하거나 쓰러뜨리는 것밖에다른 길은 없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목나무 2019-02-21 15: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몇 년 전에 류가헌 갤러리에서 전시하는 <두 어른전>에 다녀왔었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아마 꿀잠 건립 기념 전시였던 것 같은데 두 분의 정신과 기상이 작품에서도 느껴지더라구요.
제 알라딘 서재 프로필 사진도 그 전시에서 찍은 작품입니다.
그때 작품을 찍은 사진집인가를 구입했는데 오늘 한번 찾아봐야겠네요.

어른이라 할 만한 분들이 점점 사라져 가는데 그래도 두 어른이 계셔서 참 다행이고 감사한 일입니다.

꾸준하게 2019-02-24 17:08   좋아요 0 | URL
제 서재 글에 처음 댓글을 달아주신 분이네요. 감사합니다.^^ 댓글을 읽고 설해목님 서재에 다녀왔는데요. 2월에만 책을 엄청나게 사셨더군요. ㅎㅎ 저도 원룸 생활 중인데요. 제가 집을 사고 싶은 이유도 읽고 싶은 책을 마음껏 사서 서가에 꽂아두고 싶어서예요. *^^*

설해목님 같은 분은 아마도 이미 읽으셨을듯도 한데, 도서출판 피플파워에서 나온 인생이라는 책이 있어요. 3년 전에 나온 책인데, 경남도민일보 김주완 기자가 우리 시대의 어른들을 찾아 쓴 책이에요. 혹시 아직 안 읽으셨다면 나중에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사요. 그런데 설해목님이 구입하신 사진집도 언젠가 보고 싶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