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시의 거짓말 - 워렌 버핏의 눈으로 한국 언론의 몰상식을 말하다
최경영 지음 / 시사IN북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저자인 최경영 기자는 KBS에서 탐사보도로 이름을 날렸던 기자로 현재 탐사보도 전문 대안언론 ‘뉴스타파’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이 책의 부제는 ‘워렌 버핏의 눈으로 한국 언론의 몰상식을 말하다’입니다. 경제하면 떠오르는 유명 인사인 워렌 버핏의 기본 원칙, 행동을 우리나라 언론의 현실과 대조해서 비판하고 고칠 것을 주장하는 책이라 할 수 있죠.
 
우리나라 언론에 대해 바라보는 여러분의 시선이 제각기 달라 책의 내용과 느낌을 잘 얘기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제가 보고 느끼기에는 요즘 ‘기레기’라고 불리는 일부 언론 기자와 권력, 자본, 정치 성향에 충실한 언론이 많아 개선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입니다. 다행히 요즘 인터넷을 중심으로 대안언론이 뜨고 있지만 자본이 부족하다보니 보도의 질이 떨어지는 곳이 많지요. 그렇다고 언제까지 우리나라 언론을 불신하고 살 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 책 프롤로그 일부를 인용하겠습니다.
 
p10~11
이 책은 한국 언론을 비판하기 위해 쓴 것입니다. 나름대로는 작정하고 쓴 셈입니다. 귀에 거슬리는 부분도 많이 있습니다.
(중략)
그러나 언론인들이 그만큼 뼈저리게 반성하지 않으면 한국 언론은 다시 설 수 없습니다.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너무나 오랫동안 나쁜 언론의 관행에 당해왔습니다.
(중략)
이 책은 한국 언론을 비판하기 위해 워렌 버핏을 해석했습니다. 워렌 버핏이 말하는 기업의 본질가치와 한국 언론의 진실을 등가로 보았습니다.
(중략)
이 책은 ‘국익’을 믿지 않습니다. 뭉뚱그려진 국가 이익은 기득권을 위한 변명이자 위선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목차를 살펴볼까요?
 
프롤로그 - “한국 언론, 너는 진실을 보도하고 있는가?”
1장 한국 언론의 몰상식 1- “우리는 객관적이고 공정한 보도만 한다”
2장 워렌 버핏의 상식 1 - “나는 내가 투자한 기업의 다음 분기 실적도 알 수 없다.”
3장 한국 언론의 몰상식 2 – 기자는 언론사가 고용한 월급쟁이다
4장 워렌 버핏의 상식 2 – 세상에 순응하고 추세만 따라서는 바로 볼 수 없다
5장 한국 언론의 몰상식 3 - 추정과 편견은 사실로 만든다
6장 워렌 버핏의 상식 3 – 숫자는 가정과 분석, 추정의 뭉텅이다
7장 한국 언론의 몰상식 4 – 진실 보도 보다 당장 돈 되는 보도가 우선이다
8장 워렌 버핏의 상식 4 – 거품의 이면을 보고 싸구려 일용품을 멀리하다
9장 한국 언론의 몰상식 5 – 권력과 기업을 대변하는 언론
10장 워렌 버핏의 상식 5 - “언론인이 똑똑할수록 사회가 더 윤택해진다”
11장 뉴스 1 – 9시의 독재자
12장 뉴스 2 – 주식시장의 호객꾼
13장 - 언론의 자유는 대중의 자유다
에필로그 – 분노와 긍정으로 다시 시작하며, KBS 새 노조 벗들에게
 
에필로그의 제목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 책은 2010년에 쓰여진 책입니다. 당시 최경영 기자는 미국 미주리 대학 저널리즘 대학원에서 언론학을 공부하던 상황입니다. 당시 우리나라 언론의 상황을 다루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고 읽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지금까지 변하지 않는 상황을 생각해봤을 때 지금 읽어도 손색이 없습니다.
 
우리나라 언론의 문제 중 하나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고 어딘가 숨기려는 모습입니다. 주로 자신을 보는 중요한 사람의 눈치를 보며 기사를 쓴다고 할까요?
 
p28
한국 언론이 즐겨 쓰는 ‘국익’, ‘화합’, ‘안정’과 같은 애매모호한 추상적인 단어에는 그들이 보호해주고 싶은 사회 기득권의 이익이 감추어져 있습니다.
 
우리나라 언론은 기계적 중립과 편파에 치우친 면을 보입니다. 그렇다면 기계적 중립이 왜 나쁜 걸까요?
 
p64
50대 50.
정말로 기계적 중립입니다. 그렇습니까?
이대로라면 여러분의 딸과 부인을 강간하고 살해한 살인마의 주장도 50, 여러분과 경찰의 주장도 50이어야 중립적이고 객관적입니까?
실체도 없는 ‘절대적 객관’과 ‘기계적 중립’을 논하는 사람들의 의도는 분명합니다. 그것은 그들의 거짓과 위선을 ‘물타기’하기 위해서입니다. 거짓말을 의도적으로 백 번 한 놈이나 어쩔 수 없이 한두 번 한 사람을 ‘똑같이 거짓말쟁이’로 치부하기 위해서입니다.
 
여기서 잠시 워렌 버핏의 말과 행동에서 보겠습니다.
 
p84
버핏은 주류의 흐름에 일정한 ‘거리 두기’를 실천했습니다. 금융의 패션과 트렌드보다 기업의 본질적인 가치에 천착했습니다. 새롭고 신기한 것보다는 확인되고 검증된 것에 투자했습니다.
 
확인되고 검증된 것에 투자하는 버핏과 검증은커녕, 확인도 안 된 사실에 열을 올리는 우리나라 언론, 어느 쪽이 현명한지 대충 감이 잡힐 겁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언론인이 왜 이런 보도를 할까요? 이 페이지에서 미국 언론인과 비교하는 내용이 나옵니다.
 
p181~182
미국 언론인들은 스스로를 회의적인(skeptical) 인간, 또 회의적이어야 하는 인간으로 규정합니다. 진정한 자유민주 사회라면 정부나 기업은 발표하고, 언론은 의심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믿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의 기자들 대부분은 지극히 순종적인(submissive) 조직 순응주의자들(Conformists)입니다. 특히 주요 출입처의 출입기자들은 이런 성향이 강합니다.
(중략)
출입기자들에게는 ‘독립 언론, 자유 언론인’의 사명이 우선이 아니라, 사회적 성골로 대접받는 훌륭한 출입처에서의 원활한 대인 관계가 먼저라는 뜻입니다.
 
물론 우리나라 언론만 그런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미국 언론도 정부나 기업에 출입처를 의존한다는 내용이 이 책에 언급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내리는 말을 그대로 받아 적어 전하는 전통(?)이 내려져오다 보니 여러 문제점이 고스란히 노출된 셈이죠. 그리고 해외 전문가를 인용할 때 주로 백인 남성 교수를 쓴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그러면서 저자인 최 기자도 워렌 버핏을 끌어드린 모순점과 이유를 설명하고 있지요.
 
p169~170
한국 어론은 백인, 남성, 지식인의 말을 ‘숭상’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중략)
백인, 남성, 지식인은 한국 사회에서 우상에 가까운 존재입니다. 거기다가 하버드나 예일대 등의 간판을 달면 금상첨화지요. 타고난 종자와 학벌이 곧 명성입니다.
(중략)
제가 워렌 버핏을 이 책에 끌어들인 이유 가운데 하나도 우리의 이런 정서와 문화에 바탕하고 있습니다. 참으로 모순되지요? 그러나 어쩌겠습니까? 여러분이 이 책을 보지 않으면 제가 여러분을 설득할 수 없는걸요? 제가 버핏을 인용하지 않고 버핏의 말을 마치 제 말인 양 늘어놓았다면 과연 독자들에게 ‘관심’과 ‘신뢰’를 받을 수 있을까요?
문제는 인용이 아니라 인용하는 태도입니다. 배워서 올바로 적용해보려는 노력과 맹목적인 추종은 구별돼야 합니다.
 
11장과 12장은 우리나라 뉴스의 문제점이 어디서 기인했는지 총정리 하는 부분입니다. 이와 함께 뉴스를 보고 주식을 사는 점도 비판하고 있지요. 한번 읽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마지막 13장에 이르러 결론을 제시합니다. 동시에 워렌 버핏과 우리나라 언론의 특징을 설명한 부분(p239)이 나옵니다. 일부를 적어보겠습니다.
 
워렌 버핏
내일의 일을 모른다.
주관적이다.
추정과 사실을 구분하려 한다.
추정은 사람마다 다르다.
이성적이려고 노력한다.
 
한국 언론
내일의 일을 하는 것처럼 말한다.
객관적인 척한다.
추정과 사실을 뒤섞는다.
추정은 기존의 권위가 해야 한다.
대중의 감성에 민감하다.
 
저는 그 전부터 우리나라 언론의 문제가 무엇인지 책과 미디어를 통해 접해왔고 공감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이 책을 통해 더 선명하게, 다른 나라와 뭐가 다른지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물론 최경영 기자의 주장이 다를 수 있고 사실이 아닐 수 있습니다. 워렌 버핏의 주장도 마찬가지구요. 앞에 말한 것처럼 추정하고 판단하는 것은 개인의 몫이고 각각 다르지요. 다만, 이 책을 통해 우리나라 언론의 문제점이 어디서 기인했는지, 해결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어느 정도 짐작하고 고쳐나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