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콘서트 Economic Discovery 시리즈 1
팀 하포드 지음, 김명철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경제학이라고 하면 조금 고리타분하고 손에 잡히지 않을 것 같은 학문이지만

살짝 뒤집으면 우리의 실생활과 밀접한, 아니 현대생활 자체가 경제학이라고 할

만큼 불가분의 관계이기 때문에 때론 어려울지라도  실생활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례로 풀어주는 경제 이야기는 언제나 재미있다.

때로 내가 책 속의 바로 그 소비자가 되어, 또는 공급자가 되어 생활하는 경우를

만나기 때문이다.

 

스타벅스 커피가격의 이야기, 슈퍼마켓 진열품들의 가격에 숨겨진 비밀(실제로 마트에

갈때마다 이 책의 내용을 떠올리며 가격표를 자세히 보는 버릇이 생겼다.^^), 주식 이야기 등등

흥미를 끄는 현실적인 이야기들은 이 경제학 책을 끝까지 손에서 놓지 않게 만드는

매력이다.

그러나 환경문제나 저임금 노동자들에 대한 문제, 세계화의 선작용에 대한 이야기는

선뜻 동의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저자의 주장으로는 투자하고 개발할 수록 환경도 좋아지고

임금도 올라가고 결국 잘먹고 잘산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그런 주장은 억지스럽게 들린다.

저자는 동남아 빈국에 나이키가 투자를 안했다면 그들은 여전히 빈민으로 살았을테니

저임금이라도 받는게 나은 대안이라고 말한다.  얼핏 생각하면 그렇게 생각되지만 그건 마치

일본이 한국에게 '일본의 식민지배가 한국의 경제 발전을 도왔다'라고 하는 것과 같은 논리로 보인다.

기분이 나쁘고 좋은 것을 떠나 실제로 발전에 이바지 했는지 의문스러운 것이다. 그리고 그 발전의

열매가 누구에게 갔느냐도 중요한데 그런 언급은 별로 없다.

 

경제학자인 저자처럼 세련되게 설명은 하지 못하겠지만 IMF로 많은 기업이 외국으로 넘어가고 대신

더 팍팍한 삶을 댓가로 받은 한국인들에게 저자의 주장(개방이 모두에게 이득이다)은 적어도 심정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많다. 

 

하지만 현실에 밀접한 경제 현상을 자세히 알려준다는 점에서 이 책의 유용성은 무시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