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양인을 위한 세계사 - 산업혁명부터 이라크 전쟁까지 24개 테마로 세계를 읽는다!, 2007년 문화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선정
김윤태 지음 / 책과함께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은 진부하다. '교양'이니 '세계사'니, 하다못해 '~을 위한 ~' 같은 표현까지 하품이 나올것 같은 제목이다.
그러나 '교양'이란 것이 현대인의 필수 요건의 하나가 된 만큼 읽는 내내 쏠쏠한 재미를 줄 수 있을만큼 충실하게 씌여졌다.
책의 구성은 산업혁명이후 세계사에서 주목할 만한 테마 24가지를 대략 연대순으로 나열하고 다시 하나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는 기전체적으로 다양한 시간과 관점에서 서술을 한다.
이 책의 독특한점이라면 그 24가지 테마에 있을터인데 다른 책에서는 '아파트먼트의 탄생'이라던가 '영화의 시대', '페미니즘의 등장' 같은 주제로 세계사를 접하기는 어렵지 않겠는가 싶다.
책을 읽으면서 전반적으로 느낀 점은 우리 인간문명이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구나 하는 점이다. 지금은 당연하게 여기는 많은 것들이 대략 300년전, 또는 산업혁명이후로 하나씩 하나씩 등장했다는 사실이 알고 있었던 사실조차 새롭게 다가온다.
예를 들어, 보통 한번쯤 가보고 싶은 나라, 막연히 선진국으로 알고 있는 스위스에서 여성이 투표권을 행사하게 된것은 1972년부터라고 하니 알만하지 않은가? 남아공에서 유색인종 차별없이 최초로 선거를 치른것이 1994년이니 세계는 최근까지 좀 어처구니없이 지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듯하다.
이 책의 마직막에서 두 번째 항목은 '인터넷, 정보사회의 등장'에 관련한 내용이다. 역사에 포함시키기에는 너무 최근의 사건이 아닌가 싶지만 역으로 현실에 가장 근접한 것들이기에 관심이 안갈수 없는 내용이었다.
이런글을 읽을때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터이네이터(영화)이다. 사이버다임(맞나?)사에서 개발한 기술이 개발자가 의도한것은 아니지만 결국 인류를 위협하는 기술이 되었고 그래서 과거로 돌아가 그 개발을 막으려는 시도를 하는 상황은 현실성 여부를 떠나 효율과 편리의 추구만이 지고지선이 되는 지금에 세계에 대해 생각해 볼 여지를 준다.
그리고 역사를 생각할때 빠질수 없는 생각,
'만약...'
'만약..'이라는 상상을 해볼수 있는 재미도 역사를 읽는 큰 즐거움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