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라이 제로 조직 - 건전한 기업문화의 핵심
로버트 서튼 지음, 서영준 옮김 / 이실MBA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경영관련 책에서 '또라이', '꼴통' 같은 단어가 자주나오는 경우는
보기 어려운데
이 책은 제목부터 '또라이'라는, 공식적으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조직 내 또라이'에 대한 적개심과 이 책이 추구하고자 하는 바를
드러내고 있다.

솔직히 대화에 자주 사용하지 않을 뿐이지 개인적으로는-혹 대신 비슷한 다른 단어를 사용하더라도-
항상(?) 사용하는 개념이 아닐까 싶다.


'고문관'이라는 단어와 비슷하게 느낄수도 있지만 실은 전혀 다른 개념이다.

저자가 말하는 '또라이'의 특징은 쉽게 말해서
'그 사람과 대화하고 나면 기분이 나빠지거나 우울해진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우울'이겠지만 회사 전체로 보아서는 조직력이 와해되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이직이 증가하는 등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사실 새로운 개념도 아니고, 흔히 퇴근후 한 잔 하면서, 아니면
가볍게 커피 한 잔 하면서 동료와 나누는 대화속에 다들 누군가(또라이)를 씹어본 경험이
있을 터이니 (최소한 혼자말로라도...) 누구나 알고 있는 개념이겠지만
이 책이 주는 미덕은 그러한 문제가 나나 우리사회만의 문제가 아나라
전세계적(?)이며 생각보다 심각한 문제라는 점을 알려준다는 것,
그리고 문제를 계량화하려 노력하고 적극적으로 대처방안을 연구하고
제시한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실제로 '또라이'를 정의하고 그 사람에 대한 대처방안을 실행에 옮기기란 쉽지 않다.
왜냐하면 그 '또라이'들의 대부분은 상사이거나 거칠고 나대고 예의가 없어서
그렇지 않는 사람들이 대처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당장 실천 가능한건 '내 안의 또라이'를 잠재우는 것이다.


글쎄, 근데 난 이 책을 출퇴근하는 길에 읽으면서 좀 조마조마 했다.
이 책 표지를 다른 사람들이 보고
나를 '또라이'라고 생각하지 않을까 싶어서다...


'또라이 제로 조직'이라니! 조금 또라이 같은 제목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