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책도 [The 3rd eye]의 소개글을 보고 읽게 되었다.  

노라라는 5학년 여자아이가 주인공이고 역시 일인칭 서술이다. 엄청난 천재이지만, 5학년이 될 때까지 자신이 천재라는 것을 누구에게도 알리지 않으려고 엄청나게 노력하며 살아왔다. 이 이야기는 시험 성적으로 아이들이 스스로와  주위 어른들이 평가하는 제도를 바꾸어보려는 의도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미국도 역시 시험 성적이라는 것에서 아이들과 부모들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그 강도가 우리나라와 비교가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강도의 문제가 아니라 시험을 통한 평가 제도가 문제가 되는 것이고 세상 어디나 그에 대한 생각은 비슷하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노라가 천재여서 앞으로 어떻게 일을 진행하겠다고 예상은 하지만 모든 걸 완벽하게 통제할 수는 없고, 노라도 그것을 깨닫는 과정이 이 이야기의 과정인 것 같다.   

읽으면서 놀랐던 것은 등장인물 중 하나인 번 선생님이 사서교사인데, 노라에게 중요한 인물이라는 점과 참으로 훌륭한 교사이면서 사서라는 점이다. 아주 긍정적인 사서교사의 모습이었다. 이것은 작가의 경험에서 나온 인물일까? 그래서 작가의 다른 작품들을 더 읽어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노라는 자신이 보통 아이가 아니라는 번 선생님의 질문에 진실을 말해야겠다는 결심을 하면서 하는 생각이 '나는 번 선생님을 1학년 입학 때부터 수업이 있는 날이면 거의 매일 보아왔다. 칠백일이 넘는 날이다. 내가 번 선생님과 같은 방에서 보낸 시간은 엄마와 아빠랑 보낸 시간보다 더 많았다. 선생님에 대한 확고한 의견을 가지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그리고 내 판단에 따르면 번 선생님은 학교에서 가장 좋은 사람 중 한 분이다. 한 번도 화를 내는 것을 못 보았고, 언제나 공정하고 열린 마음을 갖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럴 법한 얘기다. 속좁은 사람이 사서가 되겠다고 생각할 리는 없으니까.'

 이 책을 읽으면서 미국의 교육제도를 알았다고는 할 수는 없으나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단서는 있다. 학교의 상담교사인 트린들러 박사도 보통 어른은 아닌 것 같다. '새로운 도전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어떻게 네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겠니?' 노라가 바라는 것은 평범한 아이가 되는 것이다. 내가 노라의 엄마라면 노라가 바라는 것을 할 수 있도록 시간을 줄 것이다. 노라 스스로가 때가 되면 자신의 잠재력을 펼치고 싶은 욕구를 느끼게 될 것이고, 설령 느끼지 못해서 그냥 평범하게 산다고 해도 행복하다면 엄마로서 기쁠 것 같다.    

번역서도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이야기 말미쯤에 노라가 번 선생님한테 '어느 대학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이 좋은가요?'라는 질문을 하는데, 문헌정보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번역자나 편집자가 노력했다는 느낌이 들었다. 아마도 출판사에 관계자가 있으리라고 짐작한다.  

불만 하나, 책의 판형과 글자가 너무 크다. 오학년 이상의 아이들부터 읽기를 권장하는 것이라면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삽화는 이야기의 내용을 잘 표현하고 있기는 하지만 굳이 포함되지 않았어도 괜찮지 않았을까 싶다. 요즘 아이들이 책읽기를 부담스러워 해서 이런 식의 편집을 하게 된 것인가?  

어린이 책이기는 하지만 교사와 부모들이 꼭 읽어보야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어린이책은 교사와 부모들을 위한 책이기도 하다는 것이 내 생각이기도 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화와 종교: 우연과 의미의 드라마]  김윤성 교수(한신대학교 종교문화학과) 

종교가 진화론을 배격하는 입장만 취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이 이 강연의 요지인듯. 

특히 갈등이 심한 종교는 개신교이고, 경전 문자주의를 채택(신봉?)하는 경우가 더 심한 듯하다.  

아무튼 진화론을 받아들이면서 신의 존재를 탐구하는 입장을 가진 신학자도 있다고 했다.  

갈등/분리/만남  - 세가지 입장중에서  

<만남>에 관한 부분에서 언급한 것들이다.

- 깊은 시간과 공간 

- 우연 

- 고통 

- 무목적성 

- 다양성의 세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같은 작가의 작품으로 홍인기님 홈페이지(www.inkeehong.com)에서 소개한 것을 보고 찾아 보았다. 본래 원서를 읽고 쓴 글들이라 번역본이 있는 경우가 많지 않았는데, 요즘 들어 가끔씩 번역본이 나오고 있다. 청소년용 SF는 번역되지 않아서 유감이기는 하다.   

책표지는 읽은 순서이지만 실제 책이 발간된 것은 나중 것이 먼저이더라.  

[마지막 재즈 콘서트]의 주인공은 17살의 알렉스이고 기타를 연주한다. 부모님은 이혼했고, 음주운전 사고를 일으켜서 노인요양원에서 사회봉사를 명령받았다. 그 요양원에서 만난 솔할아버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물론 그 과정을 통해서 주인공이 성장하는 것은 당연하다. 일인칭 서술이다. 사회봉사를 명령한 판사에게 보내는 편지도 재미있다.  

[드럼, 소녀 & 위험한 파이]의 주인공은 중학교 3학년인 스티븐이다. 역시 일인칭 서술이고, 드럼을 아주 잘 연주한다.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동생 제프리가 백혈병에 걸렸고, 이것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동생에 대한 주인공의 마음이 절절하다. 그러면서도 부모를 원망하기도 하고, 다시 부모를 인간으로서 이해하게 되는 과정을 아주 잘 이야기해주고 있다. 타인을 이해하면서 어른이 되는 것 같다. 

레니와 아네트의 전화 녹음을 듣고 스티븐이 생각하는 것인데, " 밤사이 내가 깨달은 사실이 하나 있었다. 레니는 예쁘다. 그런데 지금은 내 친구가 되었다. 반면에 아네트는 내 친구였다. 그런데 지금은 예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창비어린이] 이번 호에서 저자의 글을 읽고 나서 친구가 이 책을 읽어보라고 했던 말을 기억했다.  

창비어린이에서 보았던 내용이 이 책의 상담들에 대한 대답을 하면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어른이란 자기 행위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어야 하며 그렇게 하지 못하면 어른이 아니라는 견해에 동의한다.  

부모들이 자식을 너무 사랑해서 자식이 짊어져야 할 책임과 의무까지 대신해 주다 보니 결국 어른이 되지 못하게 막고 있다는 것. 사실 이것은 사랑이 아니다. 사랑이란 상대가 성장하도록 지켜보아주는 것이다. 내가 힘들고 가슴 아프고 안타까워도 자식이 어른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면 어른인 나는 그 몫을 견디어야 하는 것이리라. 그런데, 나는 머리는 그렇게 생각하지만 과연 행동으로 실천하고 있기는 한 것일까?  

모름지기 어른 노릇이란 책임전가를 하면 안된다는 것을 명심하는 사람에게나 가능한 것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연자는 정연교 교수(경희대 철학과) 

<목차> 

- 다위니즘 

- 윤리학  

- 다위니즘과 허무주의 

- 다위니즘과 보수주의 

- 과학과 규범 

---- 

요즘 내 기억력을 믿을 수 없어 열심히 필기를 한다. 그리고 다른 곳에서 이런 것을 들었다고 인용하려면 기록해야 하고. 같은 맥락이기는 하지만. 

정리한 내용은 내 수첩에 있고, 다음 주에 발췌한 강의 내용을 나누어줄 것이니 굳이 여기 남겨놓아야 할 필요는 없네. 

강의는 9시쯤 끝났고, 조금 휴식을 한 다음에 질문을 받았다. 질문을 하는 사람들 용기는 부럽지만, 뭐라 그럴까? 강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하는 질문도 있더라. 사실 궁금한 것이 있다는 것이 부럽기는 하다.  질문이 너무 길어져서 중간에 나왔다.  

교수님은 강의가 아무래도 재미없을 것 같아 시각자료를 준비했다고 했지만, 내용만으로도 충분히 재미있게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