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래된 미래 - 라다크로부터 배운다, 개정증보판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지음, 김태언 외 옮김 / 녹색평론사 / 200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2003년 한해를 마무리 하면서 우리 주변의 크고 작았던 환경과 개발을 둘러싼 많은 논란거리를 되짚어보면, 새만금 간척지 사업, 사패산 터널, 부안 원전센터 등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많은 문제들이 있다.
사실 헬레나-노르베리 호지의 이 책은 어떤 목적의식을 가지고 읽으려했던 책은 아니었다. 그냥 '남들이 읽어봤는데 좋았더라', 'TV프로그램에서도 추천하더라', 그래서 읽게된 책이었다.
개발이 시작되기전 라다크 사람들과 개발이 진행된 후 라다크 사람들의 변화는 실로 안타깝기 그지없다. 자신들이 가진 것을 토대로 땅과 물과 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던 모습들이 '돈'이라는 새로운 '숭배대상'에 길들여 지게 되면서부터 아름다운 모습들을 읽어가게된 라다크 사람들. 라다크 사람들도 그들의 전통이 아름다운 것임을 알고 있지만, 히말라야의 오지 라다크까지 불어온 세계화의 바람은 그들의 생활방식을 아름답지 못한 것으로 돌려놓을 수밖에 없었다.
무엇이든지 '돈'으로 해결할수 있는 '자본주의', 그리고 서구인의 기준에 맞는 것이 제일 좋은것이라는 '서구제일주의' 이러한 것들이 예전의 아름다운 라다크를 변화시켜놓았던 것이다.
사람들의 생김새가 오만가지이듯이, 그 사람들이 사는 삶의 방식도 다양할 수밖에 없다. 이 다양성이 무시되고, 온전히 '서구제일주의'로 무장된 세계화가 확산된다면 지구 곳곳의 문화의 다양성은 존재하지 않게 될 것이며, 모두가 획일적인 삶을 살게될까 두렵다.
라다크를 자신의 고향처럼 생각하고, 그래서 변화된 라다크의 모습에 '반개발'을 주장하며 활동하면서 그러한 '개발주의','세계화'에 대해 라다크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인 운동으로 확산시키고 있는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여사에게 무한한 존경심을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