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독이 나를 위로한다〉 같은 내용을 예상했지만 많이 다르다. 〈고독이 나를 위로한다〉는 홀로 존재하는 시간에 대해 매거진 에디터가 ‘잡지스럽게‘ 쓴 에세이 같다면, 〈고독의 위로〉는 정신의학계의 큰 손이 고독, 그리고 ‘단일한 개인‘에 대해 학문적으로 차근차근 이야기하는 책이다. 한국판은 ‘고독의 위로‘라는 감성적 제목을 갖고 있지만, 사실 원제는 명료하고도 무거운 단어다. ‘Solitude‘. 책의 원제만 알았어도 잘못된 준비 자세로 책을 읽기 시작하진 않았을 것이다.
이렇게 독자 낚시를 성공한 것에는 국내 출판사의 공이 크다. 제목뿐만 아니라 챕터별 이름도 국내 편집자가 다시 지었으리라 추측한다. 국내판 챕터 제목들은 다소 낯부끄러울 정도로 트렌디하다. ‘사는 게 즐겁다고 말하는 사람들의 비밀‘, ‘절실하게 그립지만 절박하게 두려운‘, ‘지금 우리가 고독해야 하는 이유‘. 본문은 프로이트와 융을 지나 사회학에도 손을 담그며 ‘개인‘이 탄생한 역사까지 읊고 있는데 말이다. (그 내용의 챕터 제목은 ‘절실하게 그립지만 절박하게 두려운‘이었다. 추가 예, ‘사는 게 즐겁다고 말하는 사람들의 비밀‘이라는 챕터에선 공상과 이성의 관계에 관한 프로이트의 이론에 대해 반박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꼭 챕터 제목이 내용을 건조하게 요약해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이건 뭐 비유도 아니고 다분히 낚시지 않나.
2. 앤서니 스토가 가장 굵직하게 하고 싶어하는 말은 정신의학계에서 ‘인간관계‘에 비해 ‘고독‘의 중요성과 순기능을 조명하는 담론이 매우 부족하다는 것이다. ‘인간관계‘가 삶에서 유일무이하게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는 것. ‘인간관계‘ 안에서 자신을 확인하고 행복을 느끼는 것과 마찬가지로 ‘고독‘ 속에서 자신의 관심사를 탐구하고 즐기며 행복을 느낄 수 있다는 것. 각종 심리학적 이론과 역사적 사례들로 그 명제를 옹호하고 뒷받침한다. 산발적으로 나열될 수 있는 이론과 사례들이 단정하게 정리되고 취합되고 연결되어 있다.
3. 챕터 제목 경악 버전 투. 독방에 감금되어 타의에 의해 고독을 강요받는 상황이 인간에게 끼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해 이야기하는 챕터 제목이… ‘나와의 대화‘다. 제목만 보면 템플 스테이하면서 작업한 수필 같은 게 써있을 것 같지 않나. 백번 양보하더라도 그 문구는 자의로 택한 고독에 대해 말하는 것 같은 뉘앙스지 독방에 감금된 상황, 강요된 고독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과 어울리는 문구냐, 나는 전혀 모르겠다.
4. 국내 출판사에서 챕터 구성과 이름을 억지스럽게 바꾸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그래서 지금 바로 찾아보았다. 역시나. 원판의 챕터 제목들은 간결하고 직관적이다. ‘나와의 대화‘라는 챕터의 원제는 ‘Enforced Solitude‘인데다가, 본래 네 번째인 챕터가 한국판에선 아홉 번째 자리로 옮겨와 있다. 책 구성까지 뒤죽박죽으로 만들다니 자의적 챕터 작명부터 과하다 느꼈지만 여기까지 오면 이건 분명 편집자의 월권이다. 이러니 흐름이 부자연스럽고 생뚱맞지. 한국판 챕터 8과 10이 본래 연달아 이어져야하는데, 중간에 뜬금없는 챕터를 끼워넣은 셈. 내가 왜 이 책을 봐야한다고 생각했더라. 누가 추천한 걸 기억하고 있었나, 서점을 누비다 제목에 낚여 책을 기억하고 있었던 건가,하고 깐깐하게 되짚어보게 되는 순간이다.
5. 물론 이건 책 자체보다 국내 출판사 때문이다. 오히려 책은 두텁고 신중한 목소리를 갖고 있어 좋다. 나에 대해 위로받는 느낌도 든다. 다만 출판사가 책을 좀 망쳐놓았을 뿐이다. (15.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