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픔이 길이 되려면 - 정의로운 건강을 찾아 질병의 사회적 책임을 묻다
김승섭 지음 / 동아시아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개인의 삶에 대한 공동체의 책임은 어디까지일까?


질병의 사회적 원인은 모든 인간에게 동일하지 않다. 약한 사람들은 약하지 않은 사람보다 위험한 환경에서 살고, 그래서 더 자주 아프다. 여기, 지난 몇 년간 사회적 상처가 어떻게 인간의 몸을 병들게 하는지 연구한 학자가 있다. 그의 이름은 김승섭이다. 그는 사회적 관계가 인간의 몸에 질병으로 남긴 상처를 해독하는 일을 한다. 그는 흡연이나 벤젠 노출은 물론이고 사회적 고립이나 차별이 우리 몸을 어떻게 해칠 수 있는지를 알아내는 사람이다. 



그는 쌍용자동차에서 정리해고자들, 삼성반도체 공장에서 일하다 백혈병에 걸려 사망한 노동자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을 비롯해 살인적인 근무환경에서 일하는 병원 인턴 및 레지던트와 소방공무원들, 성소수자와 세월호 참사 희생자 등을 만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우리 사회에 어떤 사회적 변화가 필요한지를 알리기 위해서 한 일이라고 한다. 그는 말한다. '누군가는 그들 편에 서야 한다'고. 그리고 그는 직접 그 '누군가'가 되었다. 그는 더 많은 이들이 그들 편에 서야 한다며, 쏟아지는 비를 멈출 수 없다면 함께 그 비를 맞아주자고 한다. 김영하가 자신의 소설 『오직 두 사람』의 작가의 말에 쓴 것처럼 우리도 그들을 느껴야 한다. 그들이 내 안에 있고 나도 그들 안에 있다는 사실을.



책에서 가장 많은 생각을 하게 한 세 가지를 정리하는 것으로 리뷰를 대신한다.


첫째, 우리 사회에는 사회적 폭력에 익숙해져 자신이 차별을 당해놓고도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을뿐더러 차별을 당한 후에는 이를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오랜 폭력에 무뎌지고, 해결방법은 찾지 못한 채 저마다 바쁘게만 사니, 다른 어느 나라보다 우울증과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자살률이 가장 높은 것도 이해가 된다. 우리는 차별을 인지하고, 그것을 적절한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학습이 필요하다.



둘째, 저자는 1997년 IMF 경제 위기 이후 자살률이 급격히 증가했다며 그 원인으로 비정규직 고용을 주목한다. 실제로 해고된 노동자나 실업자들이 극단적 선택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경제위기로 노동자의 10%가 직장을 잃은 상황에서도 오히려 자살률이 꾸준히 감소한 나라도 있다. 스웨덴이다. 공적 안전망이 구축된 나라와 아닌 나라의 차이다.



셋째, 동성애자를 비롯한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은 여전히 개선할 여지가 많다. 부정부패와 비리에 촛불을 들고 평화적으로 정권교체를 이뤄낸 성숙한 시민의식을 고려하면 더 그렇다. 이는 강남순 교수가 자신의 저서 <배움에 관하여>에서 지적한 부분이기도 하다. 어떤 사람이 어떤 문제에 진보적이라고 해서 다른 문제에도 자연히 그럴 것이라고 추측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누군가 저편에서 차별받고 있는 것은 결국 이편의 삶도 일그러져 있다는 걸 의미한다'던 강남순 교수의 말을 유념해야 한다. 




저자는 말한다. 갈등을 대하는 자세가 한 사회의 실력이라고. 사회적 안전망이 제대로 확충되지 않은 현시점에서 비정규직과 정리해고는 더 늘어날 것이고, 양극화 현상 역시 더 극심해질 것이다. 지금보다 사회적 약자가 더 늘어난다는 말이다. 구의역에서 목숨을 잃은 친구는 고작 스무 살이었다. 그 친구의 가방에 들어 있던 컵라면과 숟가락이 아직도 잊히지 않는다. 그 친구를 위해서라도 똑같은 사건이 재발해서는 안 된다. 나와 내 가족, 친구, 지인만으로 내가 사는 사회가 구성되지 않는다. 구의역의 그 친구, 살인적인 스케줄에 자살을 떠올린다는 레지던트와 인턴들, 툭하면 동네북처럼 비난받는 소방공무원 등 그들이 모두 모여야 나와 당신이 사는 사회가 구성되고 완성된다. 나와 당신, 그리고 그들이 모두 함께 가는 건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위험한 작업장에서 일하는 노동자가 금연에 실패할 경우, 그 원인은 개인의 금연 의지 부족일까요, 아니면 금연 의지를 좌절시키는 위험한 작업환경일까요? 물론 둘 다 중요한 원인이고 함께 바뀌어야 합니다. 하지만 전자는 개인의 역할이고 후자는 작업장과 회사와 국가의 책임이지요. 한국사회는 전자만을 이야기하고 있지는 않은지 질문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