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익히고 알뜰하게 써먹는 1분 과학지식 - 무한 재미의 별별 과학 191
마티유 비다르 지음, 김세은 옮김 / 반니 / 2017년 12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라 테트 오 카레(La Tête au carré)>라는 프랑스 과학 전문 라디오 프로그램 방송 10주년을 기념해 발간된 교양 과학 서적이다. 10년 넘게 진행해온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청취자에게 반응이 가장 좋았던 이야기를 모은 것으로 보면 된다. 과학서적이라고는 하지만, 과학적 지식을 쌓기 위해 읽는 책이라기보다 과학과 일반 대중 사이의 거리감을 좁히는 책에 가깝다. 가령 예를 들어, 잠자리가 바뀌면 잠을 설치는 이유, 식품별로 상온에서 보존 가능한 평균 기간, 지구와 운석이 충돌할 위험, 흡연자라면 알고 싶을 '니코틴이 들어 있는 채소'처럼 한 번쯤 궁금해할 만한 내용에서부터 노벨상에 수학상이 없는 이유에 대한 '이유 있는 가설'이나 스파이더맨과 킹콩이 실제로 존재할 가능성 등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191가지 이야기가 실려 있다. 만약 아래 다섯 가지 질문의 답이 궁금하거나, 아주 흥미로워 보인다면 일독을 권한다. (혹시 몰라 답은 맨 아래에 적어두었다.)

 


1. (2015년 기준) 사람을 가장 많이 죽인 동물은?

2. 북반구는 왜 유독 9월에 신생아가 많을까?

3. 하루에 다크 초콜릿을 얼마큼 먹으면 목숨을 잃게 될까? 

4. 어린이와 청소년의 평균 집중시간은 몇 분?  

5. 사람을 단 4시간 만에 죽일 수 있고, 해독제도 없는 어류는? 


 


예전에 어느 MBC 라디오 프로그램에 클래식 음악을 일반 대중의 눈높이로 풀어주는 짧은 코너가 있었다. 베토벤이나 쇼팽처럼 유명 작곡가들의 가정사나 연애·결혼처럼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부터 곡에 대한 사연 등을 포함해 '별별 클래식 지식'을 전달하는 코너였는데 상당히 인기가 좋았던 거로 기억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때 그 라디오 프로그램 생각이 많이 났다. 책 제목 '1분 과학 지식' 앞에 붙은 수식어 '쉽게 익히고 알뜰하게 써먹는'은 이 책의 성격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이따금 튀어나오는 자투리 코너 '2초 사이에 이런 일이!'는 '무한 재미의 별별 과학 191'이라는 부제와 걸맞다. 단적으로 말하면, 내셔널 지오그래픽이 '세상에 이런 일이'와 콜라보한 느낌이다. 과학을 잘하지 않아도, 과학을 좋아하지 않더라도, 평소에 '별별 랭크쇼'나 '세상에 이런 일이' 하다못해 '서프라이즈' 같은 부류의 프로그램을 좋아한다면 재미있게 읽어볼 만한 책이다. 


  


안경 렌즈 사업으로 부자가 된 미국의 한 기업가가 암 치료법을 개발하겠다는 숭고한 의도로 천재 정자은행을 설립했다고 한다. 무려 1982년에 있었던 일인데, 노벨상 수상자들에게서 정자를 기증받아 인공수정시킬 계획이었다고 한다. 당연히(?) 모두 기증을 거부하는 가운데, 오직 한 사람만이 기증하겠다고 연락해왔는데 하필 유전적으로 백인이 흑인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한 물리학자여서 끝내 야심 찬 계획은 물거품이 됐다. 그후, IQ가 높은 사람과 올림픽 메달리스트 등에게 정자를 기증받아 220명의 아기가 탄생했다. '우월한' 정자에서 태어난 아기들이 정말 '우월'한 사람이 됐을까? 밝혀진 바로는 그렇지 않았다고 한다. 이 책에는 예전에 들어보지 못한 이런 부류의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가득하다. 라디오 프로그램에 나온 이야기들이라고 생각하고 읽다 보면, 실제로 라디오에서 이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냈을까 궁금해지기도 하고, 이건 할 얘기가 진짜 많겠다 싶은 이야기도 보인다.  




아무래도 다른 나라와 우리나라를 비교하게 되니, 국가별 기대수명, 국가별 평균 신장 비교, (일부) 국가와 민족별 혈액형 분포도를 더 자세히 들여다보게 된다. 네덜란드와 독일, 몬테네그로 등 일부 유럽 국가는 남성 평균 키가 180cm가 넘고, 여성도 170cm 초반대를 넘는다. 180과 170이 평균이라니 진짜 크긴 크다. 또, 사람의 일생을 일주일 단위로 나타낸 표도 인상적이다. 90세를 기준으로 보면, 사람은 자느라 30년을 흘러보내는데 그중 7~8년은 꿈을 꾸는 데 쓴다고 한다. 요새는 100세 시대, 120세 시대를 말하지만, 마찬가지로 1/3의 시간은 수면 시간으로 빼둬야 한다. 그럼, 이제 얼마나 남은 건가? 연초라서 그런가 표를 보니 최대한 낭비하지 말고 아껴 써야겠다는 생각이다. 



정답 
1. 모기 
2. 12~1월에 정자의 컨디션이 가장 좋아서 
3. 11.60KG (116정) 
4. 3분
5. 복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