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없는 여름
시리 허스트베트 지음, 심혜경 옮김 / 뮤진트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곱씹어 보고 싶을 만큼 깊이 있는 대사, 현학적이면서 시니컬한 주인공의 독백, 잔잔한 배경음악, 연기 못하는 배우는 낄 자리가 없는 "진짜 배우"들이 총출연하는 여성 영화 한 편을 본 기분이다. 그러고 보니 시리 허스트베트의 『남자 없는 여름 (원제: The Summer Without Men)』은 프랑스 출신의 미아 한센 러브 감독이 만든 영화 <다가오는 것들 (원제: L'Avenir)>과 비슷한 느낌을 자아내는 구석이 제법 많다.

 



『남자 없는 여름』은 60세 신경과학자(보리스)가 20대 여자에게 반해 결혼생활을 '일시 정지(pause)'하자며 30년을 같이 산 아내(미아, 대학교수)를 떠나면서 시작한다. 기대보다 이야기의 줄기는 단순한데, 그 줄기를 타고 자라는 잎이 풍성하다. 등장인물이 원체 많고 저마다 이야기보따리를 가득 짊어진 데다 문학과 심리학, 철학 등 한데 뒤섞여 있다.



남편의 '일시 정지' 선언으로 완벽하던 가정이 볼썽사납게 해체된 후 미아는 "당신은 대체 왜 나를 떠났을까?"라는 질문에서 헤어나지 못하다가 스트레스로 정신병원에 가게 된다. 결국 미아는 대학 강의를 미루고, 남편과 같이 살던 아파트를 떠나 친정엄마가 사는 고향 미네소타로 가서 10대 여자아이들에게 시 창작을 가르치면서 상처를 치유한다.




80이 훌쩍 넘은 엄마와 엄마 친구들은 배우자를 먼저 보내고 이제 자신의 차례를 기다린다. 죽음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다섯 마리 백조(엄마, 조지, 레지나, 페기, 애비게일)'의 대척점에는 이제 막 시 짓는 법을 배우는 10대 소녀들(앨리스와 '조폭 4인방: 제시카, 애슐리, 니키, 조앤)이 있다. 멋 부린다며 고딕 화장을 하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또래 남학생에게 설레는 학생도 있고, 수업에 충실하지 않은 아이도 있고 목이 빠져라 수업을 기다리는 아이도 있고, 왕따를 당하는 아이도 있다. 




더 무엇을 갈망해야 하나 싶을 만큼 이미 많은 걸 이룬 50대 중반의 대학교수의 삶도 남편의 외도 앞에서는 이토록 속수무책이다. 강의를 미뤄야 할 만큼 '자기 연민'에 빠져 버린 미아의 머릿속에는 온통 남편뿐이다. 미아는 결혼한 이후 처음으로 남편, 그러니까 남자 없이 여름을 보내야 한다. 딸 데이지, 동생 베아트리스, 다섯 노모와 여학생들, 이웃들, 그리고 S 박사까지 남편의 빈 자리를 여자들이 메워줌으로써 미아의 삶은 복원된다. 



미아는 '그 여름의 일'을 되돌아보면서 운명의 지침 하나하나가 다음 인생의 고비에 전환점이 되는 걸 알았다고 했다. <다가오는 것들>에서 철학교사이던 나탈리도 그랬다. 남편의 외도로 삶이 요동친다. 그러나 끝내 이겨내고,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앞으로도 잘 살아가겠다는 의지도 되찾는다. <다가오는 것들>에서 '남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한가?'라는 주제로 글을 쓰던 나탈리처럼 미아는 '우리는 정말로 다른 사람들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가?'라고 자문한다. 




낯설게 하기, 그리고 거리 두기 방식으로 보게 되면 우리는 모두 만화 속의 등장인물이며, 갈팡질팡하는 삶을 사는 어릿광대의 얼굴을 하고, 가는 곳마다 대단한 문젯거리들을 내지르는 존재다. 그러나 가까이에서 보면 우습다는 생각은 곧 사라지고, 더럽거나 비극적이거나 한낱 슬프게만 보인다.  <남자 없는 여름> 중에서 




미아는 비극과 희극은 남자와 여자처럼 다른 점보다 같은 점이 더 많다며 그저 알맞은 순간에 정확하게 이야기를 끝맺는 게 포인트라고 했다. 미아의 말을 듣고 보니,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고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다 (Life is a tragedy when seen in close-up, but a comedy in long-shot.)'라던 찰리 채플린이 어쩜 틀린 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얼마나 가까이서 또는 얼마나 멀리서 보는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정확히 인생의 어느 지점을 바라보느냐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인생은 희극이나 비극이 아니라 희비극으로 보는 게 더 적절해 보인다.




사건 중심이라기보다는 인물의 심리에 기대고, 이른바 '명대사'라고 꼽을 만한 대사들이 줄을 잇는 작품이다. 그러나 결말은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제인 오스틴을 필두로 한 여러 문학 작품과 철학, 역사, 심리학, 그리고 신경학까지 거친 결말이라고 하기에는 맥이 빠진다고 할까. 굳이 말하자면, 이 책에서 가장 진부한 게 바로 결말이라 평점에서 0.5점은 빼고 싶다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