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을 믿고 추락하던 밤
시리 허스트베트 지음, 김선형 옮김 / 뮤진트리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을 믿지 말았어야 했어!   

<당신을 믿고 추락하던 밤>

원제 <The blindfold>도 잘 지은 제목이라고 생각이 들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긴 건 어디서 왔는지 모르겠는 한국어판 제목 <당신을 믿고 추락하던 밤>이다. 많고 많은 책 중에 이 책에 눈길이 간 건, 작가 이름이 아니라 제목 때문이었으니까. 왜 당신을 믿고 '추락'했을까?애초에 당신을 믿지 않았다면, 추락하지 않았을까? '나'를 추락하게 한 당신도 '나'와 같이 추락했나 안 했나? 당신을 믿고 추락'하던' 밤은 '추락한' 밤과 다르리라, 그렇다면 지금은 어떤 상태일까? 제목 자체만으로 궁금증이 폭발한다.



밤이 되면 남자가 되는 여대생의 자아찾기,

그런데, 대체 난 누구지?


미네소타를 떠나 뉴욕으로 온 아이리스는 남자친구와 그의 친구, 교수를 포함해 심지어 병원에 입원하거나 아르바이트를 하러 가서도 이상한 사람들과 맞닥뜨린다. 아이리스와 이들과의 관계는 조지가 찍고 멋대로 트리밍한 사진이나 소설의 원제인 눈가리개(blindfold), 또 패리스가 지적한 조르조네의 그림 <폭풍>에서도 엿볼 수 있다. 타자의 시선에서 찍혀 제멋대로 트리밍된 사진이 불쾌감을 주듯, 아이리스는 타자를 만날수록 피해의식이 커지고 자기 내면의 공격성을 발견하게 된다. 또, <잔인한 아이>라는 제목의 소설을 번역하면서부터는 바짝 깎은 머리에 화장기 없는 얼굴로 친구 동생의 양복을 빌려 입고, 비속어와 원색적 동사를 즐겨 쓰는 소설 족 주인공 클라우스 행세를 하고 다니며 성적 정체성마저 의심하게 된다. 


<당신을 믿고 추락하던 밤>은 주인공이 만나는 사람마다 눈가리개처럼 두 눈을 가려 자신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하고, 스스로 충분히 또 제대로 알고 있다고 믿어온 것이 사실은 불완전하고 잘못됐다는 걸 깨닫게 되면서 자기 정체성을 의심하고 되찾는 과정을 그린 소설이다. 




아이리스의 음침한 주변인물들,  

"이상한 애 옆에 또 이상한 애,    

그 옆의 애도, 그 옆의 옆의 애도 

온통 이상해."


아이리스의 주변 인물은 죄다 이상하다. 모두 아이리스에게 무언가 숨기고 진짜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도저히 뿌리칠 수 없을 만큼 매력적이라는 남자친구 스티븐은 "다만 네가 원하는 방식으로 사랑하지 않을 뿐 사랑하지 않는 건 아니다"라는 황당한 주장을 펴고, 아무 때나 아무에게 카메라를 들이미는 그냥 '사진가' 아니라 '사진 찍는 예술가'라는 스티븐의 친구 조지는 음흉스러운 구석이 있고, 정신병원에서 같은 병실에 묵던 O 부인의 돌발 행동은 황당하다 못해 두렵고, 극단적인 발언을 잘하는 평론가 패리스와 제자와 바람을 피우다 과하게 집착한 나머지 폭력을 행사하다 울음을 터뜨리는 혐오스러운 교수까지 모두 기분 나쁠 정도로 음침한 기운을 풍긴다. 어떤 면에서는 잔인하게 살해당한 여성의 소지품을 가져다주고 이를 묘사해달라던 작가 모닝 씨보다도 더. 이상한 사람이라며 피했더니, 아까와는 또 다른 이상한 사람이 한 명 기다리고 있다. '이 사람은 또 뭐야?!' 하면서 달아나면, 그곳에 또 다른 사람이 기다리는 모양새다. 하긴 소설을 번역하던 여대생이 소설 속 남자 주인공 행세를 하고 다니는 것도 이상하지 않다고 볼 수는 없으니까. 




미스테리 심리 스릴러 (feat. 에로티시즘)

특별히 관능적으로 보이는 인물도 없고, 딱히 에로틱한 장면도 없는데도 불구하고 상당히 에로틱하게 느껴지는 데다 긴장감 넘치는 전개와 인물들 간의 도발적인 대화는 모범적인 심리 스릴러답다. 또 시간순으로 구성하지 않은 4편의 이음새는 흥미를 고조시킨다. 다만, 시종일관 유지되는 긴장감과 음침함이 왠지 모를 찝찝함으로 남기도 한다. 




유명 작가의 아내의 외침,

"여보, 나도 이제 소설 쓸래!"


'좋아하는 사람의 아내가 쓰는 글은 어떤 스타일이고, 그녀는 얼마나 잘 쓸까?' 궁금해서 읽은 책이다. 여기서 '좋아하는 사람'은 미국 작가, 폴 오스터(Paul Auster)이고, (그의 두 번째) 아내는 시리 허스트베트(Siri Hustvedt)다. 사실 시리 허스트베트는 단순히 '소설가의 아내'라고 부를 수 없는 사람이다. 전방위 인문학자이자 비평가로, 이 작품으로 소설가로 데뷔하기 전에는 시집도 냈다.  


시리 허스트베트는 데뷔작에 "폴 오스터(남편)를 위하여"라고 써넣었다. 이야기를 읽기 전에는 '남편이 폴 오스터라니, 부러워!'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그녀의 데뷔작을 읽고 나서 든 생각은 하나다. '이런 글을 쓸 수 있으니 폴 오스터와 같이 살겠지.' 조만간 시리 허스트베트의 작품을 더 읽어야겠다. 



,,, 그때 나는 클리셰로 말하는 게 얼마나 쉬운지 모르겠다고, 싸구려 대중소설에서 대사 한 줄 훔쳐서 뚝 떨어뜨리는 게 참 쉽구나 생각했던 기억이 난다. 하긴 우리의 말들로는 어쨌든 형용할 수 없는 것의 언저리를 부유할 수밖에 없고, 예전에 어디선가 들어본 말을 하면 마음이 편하기는 하니까. p. 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