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화의 소설 『허삼관 매혈기』는 영미권에서 'Chronicle of a Blood Merchant'로 소개되고 있는데, 자신의 피를 돈을 받고 파는 사람의 이야기{역사}로 보는 게 적절할 듯하다. 여기서 피를 파는 사람은 물론 주인공 허삼관이다. 『허삼관 매혈기』의 줄거리를 요약하면, 공장에서 누에고치로 가득 찬 수레를 미는 '노동자' 허삼관이 어느 날 치매에 걸린 할아버지로부터 "너도 피를 자주 파냐?"는 말을 들은 후, 피를 팔아 번 돈으로 식당에서 일하는 예쁘장한 허옥란을 아내로 얻고, 아이 셋-일락, 이락, 삼락-을 키우는 이야기다. 문제는 큰 아들 일락이가 허삼관이 아니라 허옥란이 결혼 전에 사귀던 하소용을 빼닮았다는 점이다.




『허삼관 매혈기』의 장점 중 하나는 인물이다. 아내와 자식을 위해 하도 피를 뽑아대 비릿한 피 냄새가 느껴질 만큼 '허삼관 매혈기를 하·드·캐·리하는 허삼관의 부성애'는 가히 압권이다. 뿐만 아니라 모든 등장인물이 하나같이 현실적이면서도 매력적이다. 억척스러운 아내 허옥란을 필두로, 세 아들과 일락이의 친부일 하소용과 그의 식구들, 허삼관과 같이 피를 팔고 돼지간볶음에 황주를 들이키던 방씨와 근룡이, 하다못해 성 사람들 전부 얼굴이 누렇게 떠도 혼자 그대로던 이 혈두까지도. 또 다른 장점은 빠른 전개다. 허삼관이 허옥란에게 청혼하자마자 벌써 두 번째 아들 이락이가 태어날 정도! 전혀 지루할 틈이 없으며, 어느 지점부터는 저러다 허삼관이 죽으면 어쩌나 하는 걱정에 책을 덮을 수도 없다. 종합하면,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피를 팔아야 했던 한 가장의 이야기를 매력적인 인물들과 함께 빠르게 전개해 나가는 와중에 익살과 해학, 그리고 코끝이 찡해지는 감동까지 작가가 놓치지 않았다는 말이다.




인상적인 장면은 왜 그리 또 많은지. 몇 달 째 죽으로 연명하다 너무 배가 고파 피를 팔아 벌어온 돈으로 온 가족이 국수를 먹으러 가면서 일락이에게만 군고구마를 사주고 데려가지 않았더니 아이가 온 동네를 울고 다니며 국수 한 그릇만 사주면 아버지로 모시겠다던 장면이나 죽어가는 하소용을 살리기 위해 지붕 위로 올라가 '아버지, 돌아오세요'를 외쳐야 했던 일락이를 위해 허삼관이 직접 자신의 얼굴과 팔에 상처를 내고 마을 사람들에게 더이상 일락이를 자신의 친아들이 아니라고 말하면 칼로 베어버리겠다고 위협하던 장면, 또 문화대혁명으로 아내 허옥란이 화냥년이라고 비난받으며 만인비판투쟁대회에 희생됐을 때 고기반찬을 밥 밑에 깔아 가져다주던 장면 등 기억에 남는 장면이 많다. 물론, 문화대혁명 때의 고생과 병든 아들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죽음도 불사하고 피를 뽑아대던 이야기들은 모두 차치하고 말이다.  




하소용의 부인과 허옥란이 머리 끄덩이를 잡아당기며 싸우고 있다는 말을 전하러 온 대장장이 방씨에게 허삼관이 그랬다. 삶은 돼지가 뜨거운 물 무서워하는 거 봤냐고. 돼지라고 왜 뜨거운 물이 무섭지 않겠느냐마는 펄펄 끓는 물에 들어가 이미 온몸을 익히고 나왔으니 이제 무서워 봤자 얼마나 무섭겠나. 최대한 온몸으로 부딪혀 깨지고 부서져 보면, 더는 무섭지 않겠지. 한평생 말 그대로 가족을 위해 피와 땀을 바친 허삼관에게 이제 막 볶아낸 돼지간볶음 한 접시와 따뜻하게 데운 황주를 건넬 수만 있다면 오죽 좋을까. 허삼관, 그의 고되고 힘들었던 인생에 브라보를 외치고 싶다. 지난날, 내 아버지, 그리고 격동의 세월을 묵묵히 견뎌낸 이 땅의 모든 아버지에게 애틋함과 존경이 샘솟는 그런 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