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약탈자들 - 숲을 향한 전방위적 공격 ㅣ 실천인문총서 5
데릭 젠슨.조지 드래펀 지음, 김시현 옮김 / 실천문학사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유명한 인문학자라고 해야 하나,,, 우리에게는 공산주의 사상가로로 흔히 알려져 있는 카알 맑스(Karl Marx)는 그의 [공산당 선언]에서 인간의 역사를 설명하면서 한 마디로 인간은 자연을 이용하였고 그 다음에는 인간을 착취해 왔다고 말한다. 그런데 재미있는 건 이용이나 착취라고 우리말로 번역되고 있는 단어는 같다. 영어로 exploit이다. 그 대상이 누구이냐에 따라 이용으로 또는 아주 부정적인 의미의 착취로 번역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번역은 지금의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실제로 그러한 번역이 가능하였던 것은 인간에 대한 존중, 그리고 인간은 다른 그 이외의 자연과는 다르다는 생각을 기초로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젠슨과 드래펀의 [약탈자들]은 그 착취라는 부정적인 의미를 자연, 구체적으로는 숲으로 확대하고 있다. 즉 숲을 이용하는 인간들의 행위를 약탈의 행위라고 어떤 의미에서는 착취보다 더 심한 약탈의 행위라고 바라보고 있다. 다시 말해 저자들은 숲을 인격화하면서 인간과 동등한 위치에 놓고 바라보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숲의 인격화는 오래 전에 내게 많은 감동을 주었던 [아낌없이 주는 나무]라는 짧은 동화를 생각나게 한다. 그 책에서 나무는 한 소년과 같이 성장하면서 항상 그에게 무엇인가를 주고 마지막 죽어서 마지막으로 잘라진 밑둥으로 노인이 된 그 소년이 앉을 수 있는 의자의 역할을 하고 그 때 축약된 글과 그림이 보여준 감동은 지금도 생생하다. 하지만 지금 이 책을 읽는 동안 그 때의 감동은 나에게 인간의 이기심의 표현이 아닌가 하는 의심을 갖게 된다. 왜냐하면 이 [약탈자들]의 저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폭풍에 쓰러진 늙은 오리나무가 오솔길을 가로지른다. 부러지기 오래전에 죽었기에 가지에는 이끼 수염이 무성하다. 나무는 자라면서 숲을 위하고, 죽은 후에도 우뚝 서서 숲을 위하며, 산산이 부서지면서도 숲을 위한다."(21)
그 오리나무는 죽어서 이끼수염을 비롯한 다른 숲의 생명체들이 살 수 있는 터전과 양분을 제공해주면서 숲이라는 거대한 공동체의 생명력을 존속시켜준다. 하지만 인간들에게 죽은 오리나무는 인간이 잠시 숨돌릴 수 있는 의자의 역할로 축소되고 있다. 아니 어쩌면 이제 나무는 그런 역할도 하지 못할지 모를 일이다.
여하튼 다시 이 책으로 돌아와, 저자들은 인간의 이기심, 특히 자신의 이득을 위해서는 무엇이든지 한다는 자본주의적 이기심을 주로 미국의 벌목업체들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물론 그 과정에 대한 설명이 주로 미국으로 국한되어 있다는 점에서 아쉽기는 하지만...) 그리고 그들의 자본주의적 행태가 그들만이 아닌 우리들의 행태가 아닌가하고 의심하고 있다. 아니 어쩌면 그렇지는 않았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저자가 한 회의에서 한 말을 다시 인용해 본다.
"바로 그것이 문제입니다. 숲이 우리 것이라는 생각 말이지요. 식물은 '우리의' 약이 아니고, 숲은 '우리의' 숲이 아닙니다. 첫째로, 식물은 식물 그 자체의 것이며, 숲의 것입니다. 둘째로, 식물이 설령 인간의 것이라 하더라도, 그 소유주는 그 땅에 살고 있는 원주민이어야 합니다. 우리가 그들의 식물을 목재로 가져갈 권리가 없듯이 약으로 가져갈 권리 또한 없습니다."(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