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의 탄생 - 아는 만큼 더 맛있는 우리 밥상 탐방기
박정배 지음 / 세종(세종서적)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는 만큼 더 맛있는 우리 밥상 탐방기

한식의 탄생

​박정배지음. 세종서적출판


이것만 알면 나도 밥상 앞에서 뽐낼 수 있다.! KBS[대식가들] 고정 패널 박정배가 들려주는

우리 음식의 세계~~~


맛있는 건 먹어 봐야 한다? No, 이제 맛있는 건 읽어 봐야 한다!!


요즘 음식 프로그램이 대세인 만큼 채널을 돌리다보면 다양한 요리프로그램을 만나볼 수 있다. 대부분 요리 프로그램을 즐겨보곤 하지만 그중에서도 '한식대첩'은 본방사수를 할 정도로 꼭 챙겨보는 프로그램으로 알면 알수록 한식의 매력에 빠지게 할뿐만 아니라 몰랐던 식재료에 대한 이야기, 하나의 재료로 다양한 요리도 변신을 할 수 있다는 사실과 그 안에 담겨져 있는 이야기를 만날때마다 배워보고 싶고 맛보고 싶다는 생각과 함께 한식에 대해 깊이있게 알고 싶다는 생각을 하던중 '아는 만큼 맛있는 우리 밥상 탐혐기'라는 부제의 <한식탄생>을 만났다.


한식탄생 저자는 음식평론가와 여행작가로 음식 관련 다수의 방송 패널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KBS<대식가들>고정패널로 음식을 주제로 다수의 책을 펴낸기도 했다.

이번 책을 통해서 잘못 알고 있는 음식에 대한 상식과 역사, 현재 우리가 먹고 있는 음식 '한식' 각 이름에 대한 유래, 조상들이 그 음식을 먹었던 기록, 음식이 탄생한 배경, 시대별, 지역별 요리 변천사등을 통해서 음식의 기원과 뿌리를 재조명하고자 했다고 하니 더욱더 기대가 되는것은 물론 무심코 먹었던 음식에 대해 어떠한 이야기가 숨어있을지 기대감을 가지고 책을 읽어 나가기 시작했다.



이책은 총 2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계절을 따라서'에는 장, 육회, 미나리강회, 정포묵, 복달임음식, 냉면, 콩국수, 은어, 물회, 빙과, 수제비, 깍두기, 냉국수, 추어탕, 전어, 송편, 꼬막, 메주, 홍어, 막걸리등에 대해 다루며 2부 '날마다 기분 따라'에서는 설렁탕, 곰탕, 감자탕, 돼지국밥, 북엇국, 부대찌개, 짜자면, 소갈비, 삼겹살, 치킨, 참게장, 비빔밥, 고추장, 장아찌, 젖갈, 콩나물, 쥐포등에 대한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어린시절엔 집에서 메주를 띄우고 고추장, 된장, 간장을 만드는 모습을 보면서 왜 굳이 힘겹게 그렇게 만들어 먹는지 또한 메주를 띄울때 그 역한 냄새로 인해 엄마에게 짜증을 부리기도 했었는데  이책을 읽다보니 그때 그시절의 추억이 떠오르는것은 물론 요즘은 그러한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보니 그립기도 하다.

부대찌개 하면 예전 음식쓰레기로 만들어졌다는 이야기를 한번쯤은 들어본적이 있지 않을까 한다. 하지만 내려져 오는 이야기는 사실무근이며 미군부대에서 전투식량으로 먹었던 햄과 소시지를 한국인의 입맛에 맞추어 한국식으로 만들어 먹기 위해 탄생된것이 부대찌개라 한다. 이렇게 음식이 탄생된 과정, 변천사의 이야기가 매우 흥미롭게 다가왔을뿐만 아니라 일러스트와 함께 만나다보니 쉽고 재미있게 읽힌다.



이책을 통해서 만나는 음식이야기중 생각이 나는것이 있다면 바로 밀가루에 대한 이야기일것이다. 밀가루로 수제비를 만들어 먹었던 1950~1970년대에는 도시 빈민들이 가장 즐겨 먹는 일상적인 음식이었으나 그 이전에는 여름철 별식으로 즐겼다고 한다. 또한 우리가 복날에 즐겨먹는 복달임 음식은 음양오행에서 비롯된 복날로 24절기중 태양과 가장 가까운 여름의 절정 하지의 세번째 경일로 가을 기운을 지닌 날이라고 한다. 이런 복날에는 가을 기운을 가진 음식을 먹어야 몸이 온전하게 보전된다고 믿었던 선조들에 의해 생겨난 풍습으로 가을의 기운을 가진 식재료로 만들어진 복달임음식이 신선하게 다가오기도 했으며 설렁탕과 곰타의 출생의 비밀, 냉면이야기등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하나하나 만날때마나 매우 흥미로웠을뿐만 아니라 무심코 아무 생각없이 먹었던 음식에 숨은 이야기를 만나보는 재미가 있었던 시간이 아니었나 한다.


음식은 모르고 먹는 것보다 알고 먹는것이 더 맛이 있고 그 의미가 달라진다는 이야기를 자주 들어왔던 만큼 이책을 통해서 하나하나 알아가는 재미와 음식에 대한 지식이 풍성해짐을 느낌과 동시에 먹는 즐거움을 제대로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우리가 늘상 먹고 있는 음식에 대한 생각을 달리하고 음식재료, 맛에 대한 의미를 생각할 수 있었던 소중하고 즐건 시간이 아니었나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