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땅 곤충 관찰기 3 - 냠냠 쩝쩝 곤충의 밥상 우리 땅 곤충 관찰기 3
정부희 지음, 최미란.조원희 그림 / 길벗스쿨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우리땅 곤충 관찰기 3 - 냠냠 쩝쩝 곤충의 밥상

 

정부희 글 사진 . 최미란 조원희 그림.  최재천추천. 길벗스쿨

​초등과학 동화책 <우리땅 곤충 관찰기>세번째 이야기를 만나보았어요.

이책을 통해서 한반도 곤충기를 상세하면서도 어렵지 않게 만나보면서 곤충에 대해 알아갈 수 있는 책이 아닌가 해요.

우리땅 곤충 관찰기는 곤충의 진기한 생김새와 생태에 대해 담고 있으며

곤충이라는 생물이 무엇인지 생태계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인간은 곤충과 어떻게 공존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책을 통해서 만나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 흥미롭게 다가오는 과학동화책이랍니다.​

​우리 땅 곤충 관찰기 세번째 시리즈로 곤충의 밥상에 대해 만나볼 수 있어요.

예전 장수풍뎅이를 키워본적이 있어서인지 곤충들은 주로 무엇을 먹고 살아가는지 궁금하기도 한 만큼

첫장을 넘기면서 시선을 뗄 수 없는것이 아이의 호기심을 채워주기 정말 좋은 책이 아닌가 해요.

더욱이 예전과 다르게 곤충을 만나보기 어려운 요즘 책을 통해서나만 생생하게

곤충들의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는 점이 참 좋은것은 아닌가 해요.​

 

메꽃 잎만 먹는 곤충이 있다고 해요..

이책을 통해서 처음 알았는데요.

모시금자라남생이잎벌레라 불리우며 크기가 작아 매의 눈을 하고 찾아보아야 하는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과 함께 왜 메꽃잎만 먹는지 메꽃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어요.

또한 이곤충처럼 잎만 먹고 자라는 곤충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는데요.

가끔 할머니댁 텃밭에 가보면 잎사귀에 구멍이 송송 난 모습을 보기도 하는데..

이런 곤충들 때문 인 거겠죠...!

 



배노랑긴가슴잎벌레는 애벌레때는 잎위헤서 지내고 번데기때는 땅속에서 지낸다고 해요.

같은 곳에서 고지를 만들어 번데기로 지내는줄 알았는데..

고지를 만들어 번데기로 땅속으로 들어가 어른이 될 준비를 한다는 것이 신기하면서도

재미있게 다가오기도 했어요.

초등과학동화책은 중간중간 '곤충이 더 궁금해'를 통해서

곤충마다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려주고 있어요.

특히 잎만 먹는 곤충이라고 하더라도 먹는 방법은 다 제각각이라니

참으로 신기하면서도 흥미로운것이 어느것 하나 눈에서 뗄 수 없게 만드는것 같아요.

실제로 주변에서 쉽게 쉽게 만나볼 수 있다면 더할나위없이 좋겠지만

점점 사라져 가는 곤충들... 만나보기 쉽지 않아 더욱더 특별한 책으로 다가오기도 하는것 같아요.

매처럼 사나운 파리매에 대해서도 만나볼 수 있었는데요.

파리매는 파리의 대왕이라고 해요. 그래서인지 왠지 더 매섭게 느껴지기도 하는것은 물론

꿀벌을 사냥한다고 하니 놀랍기도 했어요.

왠지 파리라고 하면 일반적인 파리의 모습이 상상이 되어서인듯 해요.

더욱이 짝짓기 모습은 생소한듯 하면서도 흥미롭기도 했다죠.ㅋ

마지막 부록을 통해서는 곤충에 대한 정보를 오려서 카드로 만들어

휴대해 가지고 다니면서 곤충에 대한 이야기를 언제어디서든 간편하게 만나볼 수 있기도 해요.

초등과학동화책이지만 제가 읽기에도 매우 흥미로웠던 만큼

초등아이라면 관찰하면서 읽기 좋은 곤충기가 아닌가 해요.

생생한 사진과 재미있는 글로 만나볼 수 있는 초등과학동화책~!

곤충의 세계는 정말이지 신기하면서도 매우 흥미로운 만큼

직접 곤충을 관찰할 수 있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힘들기도 한 만큼

20년간 산과 숲에서 곤충을 만나온 한국의 파브르 정부희 박사가 쓴 <우리땅 곤충 관찰기>를 통해서

곤충에 대해 흥미진지하게 만나보니 좋네요.

신비의 곤충의  이야기를 아이들 눈높이에 맞게 쉽게 풀이하여 설명을 하고 있는 만큼

재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어렵지 않게 만나보기 좋은 책이 아닌가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