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스 행복한 육아 15
버지니아 M. 액슬린 지음, 주정일.이원영 옮김 / 샘터사 / 200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부모마저도 정신지체 장애아라고 믿었던 딥스라는 아이가 그 부모로부터 받은 억압과 지나친 기대로 인하여 정신적으로 상처를 입어 세상과 벽을 쌓았던 것뿐이라는 것과 딥스를 이해해 주고 딥스 자신으로 인정해 주는 선생님을 만나서 그 벽을 점차 허물어 가는 걸 보면서 사람이 사람에 대한 지나친 기대와 억압이 얼마나 무서울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아이를 키우는데 있어서 모두 물질로만 해결하려고 했던 딥스의 부모를 보면서 갈수록 아이를 키우는데 있어 물질로 충족을 시켜주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고 생각하는 부모들이 늘어나는 현 시대에 모든 부모들에게 딥스를 읽히고 느낄 수 있게 해주어야 하는게 아닌지 생각한다.

모든 아이들은 천재로 태어나는데 이 천재성을 어떻게 발휘할 수 있게 도와주는지에 따라서 천재가 되거나, 둔재가 되거나, 또는 바보가 되거나 한다는 얘기가 있는데 이 경우가 아주 실질적인 예가 된 건 아닌가 싶다.

만약, 딥스가 A선생님을 만나지 않았다면 그 후 어떻게 커갔을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하지만, A선생님은 딥스가 자아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친게 아니고 스스로 찾아내게끔 도와주었고, 딥스는 그걸 아주 훌륭하게 해냈다.

딥스는 아주 용기있는 아이였고, 그 용기를 통해 자기 자신을 지켜내기 위해 필사적으로 싸워 왔던 것이다. 물론 아직 아이였기 때문에 세상으로부터 자신을 지켜줄 무엇이 필요했는데 그것이 없었기 때문에 세상으로 향하는 문을 닫았을 뿐이었다.

이게 실화라는게 더욱 믿어지지 않을 만큼 감동적이다.

아이를 키우면서 지적인 능력보다 더욱 중요한 건 아이를 사랑으로 이해하고 아이 그 자체로서 인정하는 거라는걸 앞으로도 잊지 말아야 할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