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스맨의 재즈 밀리언셀러 클럽 144
레이 셀레스틴 지음, 김은정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액스맨의 재즈는 제 1차 세계 대전 직후 미국 뉴올리언스 지역에서 일어났던 실화를 모티브로 쓰여진 소설이다. 6명의 사람을 도끼로 살해한 연쇄 살인범 일명 도끼 살인마를 소재로 하고 있는데 사실 이 사건은 아직까지도 범인이 누구였는지 밝혀지지 않은 미제 사건이다. 당시 범인은 무슨 생각인지 살인에 대한 자신의 메시지를 신문사에 보냈는데 그게 바로 소설의 앞부분에 나오는 그 편지다. 소설의 처음에 가장 인상적인 살인범의 편지를 읽으면서 작가가 살인범의 입장에서 이런 편지를 쓰는 것도 꽤 힘든 일이었겠다 싶었는데 진짜 살인범이 썼던 편지 내용인 걸 알고 섬뜩해졌다. 상상에 의한 창작이 아니라 악행을 저지른 인간이 직접 쓴 말이라니. 미드나 영화도 스릴러장르를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거기에 나오는 자신의 악행을 과시하는 범죄자들의 행동이라던가 심리는 이해하기 힘든 영역이지만 궁금증을 유발하는 무언가가 있는 것 같다.

원작이 2014년에 나오고 실화사건이 1919년에 일어났기 때문에 작품과 작품 속 배경과의 시간적 거리는 약 100년이나 된다. 그런 만큼 액스맨의 재즈는 실제 사건과 관련된 내용과 작가가 지어낸 허구적인 내용을 교묘하게 섞어내고 있다. 아마 이 사건에 대해 작가정도로 파고들어야 무엇이 진짜이고 가짜인지 판별할 수 있을 만큼 배경, 인물 등이 탄탄하게 짜여있다.

액스맨의 재즈는 뉴올리언스 지역의 이탈리아 마피아와 협력하다 감옥에 수감된 전직 형사 루카와 그 루카를 고발한 장본인인 현직 형사 마이클, 그리고 핑커턴 탐정 사무소 뉴올리언스 지부에서 일하고 있는 아이다와 친구인 루이스가 각각 도끼살인마의 연쇄살인사건을 수사해 나가는 식으로 전재된다. 하나의 사건을 두고 긴장감 있게 진행되는 세 갈래의 이야기가 후반부에서 절묘하게 연결되며 연쇄 살인 사건에 숨겨진 진상이 드러난다. 단일 시점이 아니라 소설 도중에 시점이 바뀌면서 진행되는 소설들을 특히 최근에 많이 읽은 것 같은데(예를 들어 조앤 롤링의 캐주얼 베이컨시) 각각의 시점에서 시점마다 다른 이야기가 진행되다가 결말부근에 이르러 하나로 얽혀들어가는 구조를 보면 이야기 자체로도 좋지만 구조를 엮어낸 작가의 역량에 감탄하게 된다. 특히 이 소설 액스맨의 도끼는 작가의 처녀작이라고 하니 놀라울 따름이다.

책을 읽기 전부터 도끼와 재즈라는 소재에 끌렸었는데 도끼는 범인의 살해도구이고 재즈는 범인이 쓴 편지에 따르면 범인이 좋아하는 음악이다. 작품 배경이 음악의 고장이라고 하는 뉴올리언스이니 어쩌면 당연한 건지도 모르겠다. 작품 분위기 때문에 조용히 읽고싶다가도 작품 속 재즈의 존재감이 커서 읽는 도중에 재즈음악리스트를 찾게되는 점도 있다.

소설에는 그 외에도 사회문제에 대해서도 서술되고 있다. 흑인들에 대한 인종차별과 흑인에 대한 사회적인 냉대와 불평등. 지금도 여전하지만 과거에는 특히나 심했을 일들 말이다.

처음 책을 받고 나서 엄청난 두께 때문에 선뜻 읽기 시작하지 못했는데 이 모든 내용들을 이 소설 하나에 짜임새있게 집어넣은 걸 생각하면 대단한 소설인 것 같다. 후속권을 집필중이라고 하던데 다음 소설도 기대가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신더 (Cinder) [할인] 루나 크로니클 1
마리사 마이어 지음, 김지현 옮김 / 북로드 / 2013년 8월
평점 :
판매중지


신더를 작년부터 꼭 읽고 싶었는데 다른 책들을 우선 읽다보니까 16년이 되어서야 드디어 읽게 되었네요. 신더는 신데렐라 모티브인 소설이지만 기존의 신데렐라의 이미지와는 거리가 있어요. 양어머니의 무리한 요구에도 거부 한 번 안하고 미련하게 일만 하다가 요정과 동물들이 도와줘서 결혼에 성공한 수동적인 캐릭터를 예쁘고 착한 여성의 이상성으로 보는 관점에 진절머리가 난다면 이 책을 추천합니다. 역시 조금 미련하게 양어머니한테 돈이랑 노동력을 바치는 건 똑같긴 한데 신더는 사이보그이기 때문에 법적으로 강제되는 것도 있고 입양된 처지라서 좀 더 복잡한 입장에 있죠. 신데렐라와 비교하면서 읽는다는 생각은 버리는게 좋아요. 신데렐라를 떠올리며 읽기에는 신더의 세계관에서 사회구조적, 정치적인 문제들이 소설에 난무하며 서로 얽히고 설키는 것들이 너무 재미있어서 동화책은 생각도 안 날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드 라이징 레드 라이징
피어스 브라운 지음, 이원열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은 강점과 약점이 확실하게 나뉜다. 마르스 하우스에서 시작하는 테스트부터가 이 소설의 진면목이다. 헝거게임과 비교하면 어설픈 부분은 분명히 있지만, 그 약점에 집중해서 이 소설의 재미를 놓치는 실수는 하지 말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드 라이징 레드 라이징
피어스 브라운 지음, 이원열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리대왕, 헝거게임, 왕좌의 게임이라는 이름만 들어도 쟁쟁한 소설들로 캐치프레이즈하고 있는 소설이라니, 처음 이 책에 대한 소식을 듣자마자 바로 읽고 싶어서 안절부절 못했더랬다. 파리대왕같은 경우에는 이름만 들어봤지만 앞에 언급한 헝거게임, 왕좌의 게임 외에도 메이즈 러너 시리즈, 다이버전트 시리즈 등과 같은 디스토피아 소설을 매우 즐겨읽었기 때문에 이 소설을 놓칠 수 없다고 생각했다. 2년 전쯤에도 디스토피아 세계관의 소설이 유행이라는 얘기를 들었는데 15년의 말미에도 그 계보를 잇는 소설이 나온 것을 보면 이 유행은 앞으로도 계속될 모양인가보다. 나로선 환영할만한 일이고.

소설 속 주인공인 대로우는 로우레드출신 헬다이버이다. 무슨 말인가 하면 노동자인 레드계급 중에서 가장 위험한 일을 하는 직업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헬다이버가 앞장서서 땅을 뚫고 채굴한 양에 따라 배급을 받는다. 레드는 삭막하고 척박한 화성에서 인류가 이전할 기반을 닦기 위해 일하고 있다. 적어도 그들은 그렇게 믿고 산다. 언젠가 멀지 않은 미래에 화성이 풍요로워지고 사람들이 살게 되면 그 영광이 레드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미디어는 말하고 있다. 주인공이 그런 말을 믿고 계속 그 상태 그대로 남아있는다면 이야기는 이대로 끝이겠지만, 역시나 곧 시련=각성의 계기가 찾아온다. 레드구역을 벗어났다는 이유로 처벌받고 그 과정에서 대로우의 아내가 죽는다. 처벌 과정에서 금지된 노래를 불렀기 때문이다. 대로우는 아내를 처형대에 남겨둘 수 없어서 불법임에도 아내의 시신을 매장한다. 그리고 그도 처형당한다. 하지만 아레스의 아들들이라는 저항조직의 공작으로 죽지않고 가사상태에 빠진 대로우는 깨어나 곧 진실을 알게된다. 화성은 척박하지 않았고, 자신의 동족을 제외한 다른 모든 계급들이 자신들의 등을 짓밞고 살아가는 현실을 알게된다. 그리고 아레스의 아들들의 권유에 따라 조각(일종의 성형)을 받아 골드가 되기로 한다. 소설의 제목은 레드라이징이다. 레드 출신의 주인공이 어떤 이유로 어떤 방식으로 어디까지 떠오를 수 있는지가 이 소설의 이야기이다.

레드라이징에서는 컬러로 사람들의 계급을 나눈다. 계급의 이동은 꿈꿀 수 없는 폐쇄적 구조를 취하고 있다. 비교적 헝거게임이나 다이버전트의 세계관이 조금 더 세련된 구조라고 생각하지만 레드라이징의 구조도 읽다보면 꽤 매력적이다. 아직 1권인 이책에서 모든 컬러들에 대한 이야기는 나오지 않았다. 대충 파악한 바로는, 골드=지배계급, 옵시디언=군인계급, 그레이=경찰계급, 화이트=고문관, 옐로우=의사, 코퍼=판사, 그린=미디어,여행사, 핑크=화류계, 레드=노동자계급이다. 그 외에 실버, 블루, 브론즈, 카키(?)에 대한 언급이 있지만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지는 나와있지 않았다. 이 소설에서 집중해야 할 계급은 골드와 레드다. 레드는 하이레드와 로우레드로 나뉜다. 로우레드는 500년 전 화성에 도착하여 땅을 파기 시작했다. 다른 컬러들은 300년 전에야 도착했고, 하이레드도 그즈음에 화성에 와서 시설관리, 환경미화 등의 일을 했다. 로우레드와 하이레드의 다른 점은 로우레드는 겨우 생을 이어갈 만큼의 배급을 받으며 산다는 것이고 하이레드는 급여를 받으며 산다는 것이다. 골드는 테스트를 통해 흉터를 입은 비할 데 없는자, 졸업생, 치욕을 당한 자로 나뉜다. 이 결과에 따라 지배계급인 골드도 그 지위가 달라진다. 대로우는 레드인 몸을 골드로 바꿔서 골드 중의 골드, 흉터를 입은 비할 데 없는 자가 되려고 한다.

내가 생각하기에 이 소설의 강점은 치밀하고 세련된 세계관이나 다채로운 캐릭터성은 아니다. 소설의 중후반부 부터 시작되는 골드의 테스트에서 이 소설의 강점이 면밀히 드러난다. 소설의 초반에 나왔던 골드의 흉터에 대한 진실이 드러나는 것도 볼만한 요소다. 헝거게임이나 다른 여타 소설에서와 달리 이 테스트 이야기를 읽다보면 단순한 게임이라기 보다 전쟁이라는 느낌이 든다. 이를테면 은하영웅전설...까지는 아니려나.

모든 면에서 완벽하다곤 할 수 없지만 소설 자체의 흡인력이나 스토리가 좋아서 만족도가 높다. 마지막에 주인공의 선택이 어떤 방향으로 다음 내용을 이끌어낼지, 다음 권은 또 어떤 식으로 이야기가 진행될지 매우 궁금해지는 소설이다.

죽음은 네 말처럼 공허한 게 아니야. 공허함이란 자유가 없는 삶이야, 대로우. 공허함이란 공포, 상실의 공포, 죽음의 공포에 묶여 사는 삶이지. 공포의 사슬을 끊으면 우리를 골드들이나 소사이어티에 묶어 놓는 사슬도 끊을 수 있어. 상상할 수 있어? 화성이 우리 것이 될 수 있어. 여기서 노예가 되고, 여기서 죽었던 식민지 개척자들의 것이 될 수 있다고.

내가 화성의 개척자라고 알았던 것이 바로 어제 일인것 같다. 죽어 가는 지구를 떠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인류가 화성으로 올 수 있도록 고생을 했던 게 바로 어제 같다. 아, 나의 지배자들은 거짓말을 정말 잘했다.

나는 내 동족의 희망이다. 나는 속박당한 모든 사람들의 희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자젤
아이작 아시모프 지음, 최용준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의 내용에 대해서는 더할 말이 없어요 작가가 서문에 말했듯이 스스로 그렇게나 쓰고싶었던 이야기인만큼 작은 악마가 나오는 아주 아주 재미있는 이야기예요
그런데 역자분 대체 여기에 뭐하신 거예요? 아이작 아시모프가 정말로 터키탕이라는 단어를 썼나요? 정작 터키에서도 터키탕이라는 말이 없는데다 그 단어를 오용하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일본뿐이라고 알고 있는데 소설에 터키탕이니 미국탕이니.. 한번 쓰인 것도 아니고 말이예요 대체 무슨 생각인거예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ee Sea 2016-01-01 02: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Come, you mentioned a Turkish bath. Let us seek one together.
In my apartment, as it happens, I have one — or at least an American bath, which is virtually the same thing.
- from Azazel

비오는걸음 2016-01-01 10:33   좋아요 0 | URL
이건 생각 못 했네요 진짜 터키탕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