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하는 식물 - 세상을 보는 식물의 시선
마이클 폴란 지음, 이경식 옮김 / 황소자리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가 굉장히 흥미진진한 '책 속의 문장(으로 추정되는 한 실험)'과 함께 이 책의 제목을 소개해서, 홀린 듯이 읽게 되었다. 하지만 무려 한달이나 이 책을 읽는 동안 어디에서도 그 실험을 찾을 수 없었다.[...] 이 책도 충분히 재미있고 유익했지만, 뭔가 속은 것 같은 이 기분 뭐지.

 내가 이 책을 읽게 한 실험은 '미모사'라는 식물을 가지고 진행했던 실험이었다. 그리고 이 책의 주인공은 '사과와 튤립, 대마초, 감자'였다. [미모사 비슷한 것도 안 나옴.]​ 어쨋든 이 이야기는 그만 두고, 책 이야기를 해보자면, 시작부터 모든 것이 충격적인 책이었다.

​ 우리 인간은 다른 생물 종이 품고 있는 의도와 욕망의 객체가 될 수도 있고, 다윈의 정원에 나타난 새로운 종류의 꿀벌일 수도 있다. 영리하지만 때로는 부주의하고 또 놀라울 정도로 이타적인 꿀벌. (35쪽.)

의식적인 존재인 인간과, 움직일 수 있지만 의식이 없다고 간주되는 동물, 그리고 보통은 그 이하의 어느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어류, 식물, 곤충 등등. 이 책은 그 중 '식물'의 시선을 담고 있다. 우리가 어쩌면 한번도 생각해보지 않을지도 모르는 '식물과 인간의 공생관계'에 대해서. 그들이 어떻게 우리 인간을 이용해왔는지에 대해서.

 사실 읽는 내내 이것저것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았던 것 같은데, 한 달이나 책을 읽었더니 [읽는 중에 이사도 하고, 멘탈도 꺼냈다 넣었다 반복도 해보고, 새해도 맞이했다. 허허.], 붙여놓은 포스트잇만 많고, 나의 의식은 엄청나게 많은 변화를 겪었는데, 정작 이 공간을 채울 내용은 떠오르지 않는다. 특히나 역사적 이야기가 많은 튤립과 대마초의 내용은 부스러진 정신과 함께 날려먹었고, 역시 내 입장을 온전하게 정하기에는 아직 모르는 것이 너무 많은 GMO문제를 담은 감자는, 그냥 좋은 상식을 얻는 것으로 만족하기로 한다. [식물육종관련 연구를 하는 친구에게 언젠가 몬산토사에 대해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그것에 대한 복습을 한 기분도 들고, 괜히 내가 먹고 있는 프렌치프라이가 쎄-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머리는 알아도 마음이 안될 때라는게 있잖아...]

 그래서 가장 흥미진진하게 읽었고, 가장 많이 주변사람들에게 떠들어댔던 '사과'이야기를 조금 할까한다. 그넘의 '조니 애플씨드'가 뭐라고, 왠지 귀여운 느낌이라 계속 머릿속을 맴돌고 있음ㅋㅋㅋ ​라곤 하지만 사실 조류독감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는 것 같기도 하고...

​ 사과나무는 사괴 씨에서 바로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과 씨를 심어서 키운 나무에서는 그 씨를 품었던 사과와 전혀 다른 사과가 열린다. 이렇게 열린 사과는 거의 대부분 먹을 수 없을 정도로 시기 때문에, 먹을 수 있는 사과가 열리게 하려면 접붙이기를 해야 한다. (47쪽.)

 접붙이기가 아니라 씨를 심어서 사과나무를 키우고 이를 통해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려는 열품이 몰아치던 당시에 미국 사람들이 개발했던 사과 특성의 혼합은 놀라울 정도이다. 그런데 이런 혼합 특성은 그때 이후로 대부분 사라졌는데, 그 사과 박물관에서 나는 바나나 맛이 나는 사과나 배 맛이 나는 사과를 보았다. 향신료 맛이 나는 사과, 끈적끈적하고 달콤한 사과, 레몬처럼 상큼한 맛이 나는 사과, 견과류처럼 기름기가 많은 사과도 있었다. 무게가 500그램이나 되는 사과도 있었고, 어린 아이의 주머니에 쏙 들어갈 정도로 작은 사과도 있었다. 색깔도 제각각이었다. 노란색, 녹색, 적갈색, 보라색 등이 있었고 심지어 파란색도 잇었다. 점박이 있었고 줄무늬도 있었다.​ (100쪽.)

​ !!! 인간의 유전적 다양성이라고 해야, 우리의 모습은 제각기 기괴할 정도의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식물의 유전적 다양성이란 정말 상상을 초월할 정도인 것 같다. [그것보다 파란 사과나 점박이는 왠지 찝찝할 듯.]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사과라는 것은 빨간색의 한 손에 꽉 잡히는 사이즈를 가진 달콤한 과일인데, 사실 그 안에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열매를 열리게 만드는 씨앗이 5개나 존재한다.

 아마 그들은 인간이라는 꿀벌과 공생하기 위해서 치열한 경쟁을 벌여왔을 것이고, 인간이 원하는 색과 식감, 맛을 만들어 냄으로서 성공적으로 지구상에 번성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들과 마찬가지로 우리에게 친숙한 많은 식물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우리의 삶에 녹아들었다.

​ 아일랜드 사람들은 감자에 의존함으로써 경제의 변화무쌍함뿐만이 아니라 자연의 변화무쌍함에도 더할 나위 없이 취약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을 확인해주는 사건은 1845년 늦여름에 갑자기 터졌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돌아온 배를 통해 감자 잎마름병이 유럽에 상륙했고, 이 무시무시한 병원균의 포자는 발마을 타고 몇 주 사이에 유럽 대륙 전역으로 퍼졌다. 그리고 감자와 감자를 주식으로 삼던 사람들에게 종말을 알렸다. (322쪽.)

 감자가 당시 잎마름병을 극복하고 생존할 수 있었던 것은, 과학자들이 안데스 산맥에서 자라는 야생 감자에게서 그 병에 저항하는 유전자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안데스 산맥은 바로 감자의 다양성 중심지였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야생 식물의 터전인 야생지가 점점 줄어드는 세상에 살고 있다. 야생 감자와 야생 사과가 모두 사라지고 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아무리 과학 기술이 발달한다 하더라도 새로운 유전자를 만들어낸다거나 이미 사라져버린 유전자를 되살리지는 못한다. (116쪽.)​

​ 하지만 그들은 과연 과거의 그 선택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을까. 그들은 분명 인간의 마음에 드는 유전자를 발현시킴으로써 세상에서 사라지지 않고 성공적으로 번성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인간은 그들의 유전적 다양성까지 고려해주지는 않았다. 그리고 아마 이런 인간의 탐욕은 그들의 계산에 없었으리라. 인간에게 선택받은 식물들의 유전자는 때때로 그들의 야생에서의 생존에 방해가 되었으며, 단일 재배로 인해, 갑작스럽게 몰살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현재 우리는 조류독감으로 인해 달걀 하나를 사먹기에도 손이 덜덜 떨리는(?) 상황을 겪고 있다. 양계장에서의 독감의 확산에 대해서 주로 언급되는 원인으로, 좁은 공간에서 밀집해서 키우는 현실이 소개되고 있는데, 물론 그게 가장 큰 이유이겠지만, 언젠가 내가 들은 이야기에 의하면 또 한가지 원인이 있다고 한다. '유전적 단일화'. 인간에게 유익하게 품종개량된 그들은 대체로 유전자가 거의 동일한 지경이라는 이야기였다. 만약 그것이 사살이라면 밀집되지 않는 환경이라고 해도, 그들이 인간의 길들이 안에 머무는 한, 집단폐사의 상황을 피해갈 수느 없을지도 모른다. ​

 자연의 변화무쌍함. 과연 우리는 이런 모든 상황들을 '자연의 탓'으로 돌려도 괜찮은 걸까? 과거에는 그것들이 오롯히 자연의 탓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는 현재에 닥친 수많은 재해들은, 결국은 우리가 긴 시간동안 축척해온 '안일함'이 터져나온 '인해'라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제는 이 모든 재앙들을 '자연재해'가 아닌 '인해'의 입장에서 고려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 그런데 이런 자연 재해를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베르사유 궁전의 정원을 덮친 폭풍은 자기 분수를 모른 채 오만하게 구는 인간에게 자연이 무한한 위력을 과시한 것일까, 아니면 단순히 과학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지구 온난화 때문에 대기가 불안정해져서 나타난 현상으로 바라보아야 할까? 사실 인간이 가지런하게 줄을 맞추어 심은 나무들은 폭풍이 뿌리를 뽑고 흔들 때, 이 폭풍 역시 인간 지배력을 의미하는 그 나무들의 질서만큼이나 인간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9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