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극장 - 제대로 풀어낸, 해부학 교과서 10대를 위한 지식만화 1
마리스 윅스 글.그림, 이재경 옮김 / 반니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운 형태의 교육만화가 나타났다. 호기심많은 아이들에게 어른이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형태의 만화가 아니라, 우리 신체를 이루는 기관들이 직접 자신을 소개하는 점이 흥미롭다. 귀여운 이미지와 친근한 말투로, 남의 이야기를 지켜보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와 직접 이야기를 나누는 느낌이 드는 것도 신선하다. 10대를 대상으로 쓰여진 책이라, 큰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소소한 것 까지 놓치지 않고 잡으려는 작가의 노력이 느껴져서 꽤 즐겁게 읽었다.

​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이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교육만화의 범주를 넘어섰는가 하는 부분에서는 조금 아쉬운 생각이 든다. 흔히 접하는 교육만화에서는 (권선징악이나 러브스토리등의) 전체적인 스토리가 존재한다. 그리고 그 스토리안에 집어넣지 못한 정보들은 중간중간 줄글로 첨부하는 것이 일반이다. 대부분의 경우 줄글은 읽지 않고 스킵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어쨋든 전체의 스토리라는 재미가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한번이라도 더 그 책을 넘겨보게 된다는 생각이다. 그런데 이 책은 결국은 정보를 주르륵 나열한 것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든다. 유머를 담으려고 노력을 했지만, 딱히 유머가 와닿는 장면이 없었다. 오히려 화려한 이미지들에 묻혀서 줄글과 사진들로 이루어진 책들에 비해 정보전달력이 좀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았다.(내가 이미지보다 글을 좋아해서 그런걸지도 모르겠지만...)

 전체적인 정보전달에 조금 어려움이 있지만, 담고 있는 지식들은 10대들이 읽기에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한다.(어쨋든 만화라 지식이 깊이까지 다룰 수는 없어, 이 경우는 얼마나 넓은 부분을 건들여주었나를 이야기하고 있다.) 오히려 여기서 그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좀 더 먼 곳까지 건들여주어서 놀랐던 장면도 많았다. ​사람의 신체에 대하여 관심이 많은 학생들이라면, 이 책을 시작으로 자신이 좀 더 관심있는 다음 지식에 대한 공부로 자연스레 넘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이것을 단순히 교육용 책으로만 그칠 것이 아니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을 한다면 훨씬 효율적으로 많은 아이들에게 지식을 재미있게 전달해 줄 수 있을 것 같다. 움직이는 이미지와 청각적 효과를 사용하면, 이 책이 전달하고자 하는 다양한 지식들이 훨씬 잘 전달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