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레바스 - 가상다큐 동아시아 2017
강희찬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최근 멘토링과 관련해서 두 달간 신문을 읽게 되었다. 7월 말부터 구독을 했으니 벌써 1달 반이 다 되가는데, 사실 안 읽고 버린 것이 반
이상인 듯하다. 신문을 읽기 시작하는데 얼마나 많은 사전지식과 인내가 필요한 것인지 깨달아가는 한 달이었다. 특히 정치, 경제, 사회면은 읽어도
읽어도 무슨 말인지, 당장 이 사람이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인지 알지 못하니 신문을 읽고 있는 행위자체가 낭비처럼 느껴졌다. 결국 읽다
팽개치다가를 반복하다보니, 그다지 의미없이 한달 반의 구독기간이 흘렀다. (희생해준 나무들에게 사과.)
사실 늘 생각을 하는 것이, 정치나 사회, 경제를 알아야겠다.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서
공부해야겠다. 하는 것들이지만, 맘 먹고 시작을 하려고해도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할지, 어려운 단어, 복잡한 관계도, 과거로부터 이어져오는
인과관계에 지루한 서술까지... 쉽게 접근하기가 어렵다. 그러다가 발견한 책이 바로 이 '크레바스'라는 책이었다. 물론 이 책 역시 마냥
쉽지만은 않다. 여러나라, 다양한 직책과 사람들이 끊임없이 등장하고, 지나간 과거들로부터 미래를 예측해서 쓰여진 책인만큼 아무런 사전지식없이
친근하게 느끼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정말 최근의 이슈조차도 모른채 이 책을 읽어도 큰 거부감이 없을정도로 친절하고, 쉽게 쓰여진
것만큼은 장담할 수 있다.
TV와 신문은 수시로 씨끌벅적 하지만, 사실 지금 한국,북한,미국,중국,일본간의 관계가 어떤
상황인지 나는 아무것도 알지 못했다. 각 국의 정치체계나, 대표의 이름같은 것은 완전히 나와 상관없는 이야기였다. 하지만 2017년의
동아시아사를 예측하여 쓴 이 소설 한 권을 읽는 것 만으로도, 우리나라를 둘러싼 여러 나라들의 관계가 얼마나 복잡한지, 각 나라를 이끌어가는
정치라는 세계가 얼마나 복잡하고 잔인하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었다. 우리가 말로서 쉽게 판단하고 결정해버릴지도 모르는 사소한 것들이 단지 그
나라를 넘어, 주변국에까지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하는 부분도 놀라웠다.
가볍게 읽었던 책 한 권이 나에게 새로운 세상을 알려주었다. 아마 내일부터는 신문지면의 한
글자도 허투루 느껴지지 않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