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인 심청 - 사랑으로 죽다
방민호 지음 / 다산책방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나는 과연 '심청전'을 알고 있었던가... 물론 이 책 역시 원작의 내용을 그대로 옮긴 것은
아니기에 이 책을 읽으며 이러한 의문을 가진건 조금 이상하게 느껴진다. 하지만, 동화나 세계명작들에 대하여 우리가 늘 가지는 착각 '나는 그것을
알고있다'라는 생각에 대하여는 역시 조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듯하다. (특히나 우리가 읽었다고 이야기하는 대부분의 것은, 어린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게 매우 순화된 책이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그리고 문득, 원작이나 그것의 다양한 해석들을 다 읽어보지 않고 우리가 그 작품을
논하는 것 역시 옳지는 않다는 생각이 든다.
심청은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하여 공양미 300석에 인당수에 몸을 던진, 우리나라
'효녀'의 대명사다. 하지만 토론 주제로 심심찮게 등장하는, 눈 안보이는 아버지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심청을 효녀라고 할 수 있는가라는 해석처럼
하나의 작품을 편견없이 다양한 해석으로 보는 것은 상당히 의미 있는 과정 인 것 같다. (심지어 심청이는 사실 자살을 한 것이라는 해석까지 들은
적이 있다.) 그런점에서 심청을 '연인'이라는 단어와 연결한 이 책의 해석도 나름 의미가 깊어보인다.
'연인'이라는 단어에서 책을 시작하기 때문일까, 책의 마지막 장을 덮는 순간까지 심청의
효성보다는 '사랑'에 촛점을 맞추고 책을 넘기게 된다. 그 사랑은 가족애와 같은 아가페적인 사랑일 수도 있지만, 이 책에서는 아무래도 연인간의
사랑에 무게를 실은 듯 하다.
이 책에 나오는 심봉사는 사실 독자의 입장에서 봐도 퍽이나 짜증스럽다. 봉사의 몸으로 아내를
여의고 어린 청이를 업고 젖동냥을 다니던 안타까운 이미지는 와르르 무너진다. 몰락한 선비가문, 하지만 눈과 함께 마음까지 멀어버린듯 일차원적인
욕구에 지배당한 채 살아간다. 자신이 처한 현실을 돌아보지 못하고 어린 아이처럼 투정을 부리고, 그 때문에 하나뿐인 딸 청이를 쌀 400석에
떠나보내고도 자신의 욕구에 사로잡혀 전재산을 탕진하고 만다. 알게모르게 울컥울컥 모습을 드러내던 아버지에 대한 분노, 하지만 그럼에도 심청은 왜
아버지를 위해 자신의 삶을 포기했을까. 홀로 구원받았음에 슬퍼하며 다시 인간세상으로 내려간 것일까. 자신의 사랑하는 이의 목숨을 대신하여 그를
구해내려 한 것일까.
그것은 선계에서부터 이어진 악연과 같은 인연의 끈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지고지순한 심청의
사랑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 아니었을까.
사실 아직까지도 잘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이 책이 뭔가를 마무리짓지 않고 자꾸 바깥으로
빼버린 것 같은 기분이 들기도 한다는 점이다. 대개 소설이란 치밀하게 짜여진 틀안에서, 어떤 단어하나 허투루 쓰여지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
책에서는 빼버려도 괜찮았을 법한, 심지어 추가함으로서 엉성해져버린 듯한 글감들이 너무나 많다. 왜 굳이 저런 이야기를 넣었어야 했는지, 휴대폰
문자를 통해서 책의 원고를 썼다는 작가의 말에서 내심 작품에 대한 숙고의 시간이 덜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까지 드는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