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몽상가들 - 완전 무삭제판, 태원 5월 할인행사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 마이클 피트 외 출연 / 아인스엠앤엠(구 태원)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예술이더라, 암 예술이야. ‘몽상가들’을 본 어떤 이의 코멘트에 자극을 받아 귀찮음을 무릅쓰고 본 영화다. 어째서 제목이 몽상가들인가, 보기 전에는 어지간히 재미도 없다고 궁시렁 댔는데, 영화를 보는 내내 생각했다. 제목도 예술이네. 지리멸렬한 일상도 영화의 한 장면이 되면 근사한 판타지가 된다는 것을 알고, 영화 같은 영화처럼 산다는 것에 전부를 바치는 빛나는 시절에 관한 영화를 바라보는 여자라니. 오직 하루, 단 하루만을 위한 삶 같은 건 더 이상 흥미도 없고 있을 턱도 없고 가당치도 않다. 그래서 우울한 건가. 바람 빠진 타이어가 터덜터덜 굴러가는 기분인가.
삼인삼색의 이사벨 테오 매튜의 공명과 일탈과 사랑과 그 영화 속의 또 다른 영화를 보는 재미는 쏠쏠했다. 눈부신 이사벨의 나신이 화면을 압도할 땐, 그 조화로운 아름다움에 넋이 나갈 지경이었다. 예술이건 포르노건 옷을 벗은 여자만큼 아찔한 건 없다. 벌거벗은 남자에게도 물론 시선이 머물지만, 당신은 무엇, 나는 누구냐는 시선으로 걸어 나오는 이사벨은 이 영화가 보여준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칭 그들은 분리 된 샴쌍둥이다. 그래서 한 침대에서 벌거벗고 자고 일어나고, 욕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당연히 여긴다. 게임에서 졌다고 자위하는 벌칙을 주는 이사벨이나 시키는 대로 곧장 벽을 마주보고 앉아 자위를 하는 테오를 보면서 영화 밖의 사람들은 다들 무슨 생각을 할까. 사실 따지고 보면 영화 속 주인공들처럼 영화 밖의 관객도 몽상가들이라서 대개는 그런 거야라고 납득을 하고 지나갈 것이다. 영화를 보며 손가락을 내밀 인간이라면 애초에 이 영화를 선택하지도 않을 테지. 그러나 몽상은 언젠가는 깨어진다. 그리고 그 순간은 느닷없이 찾아온다. 일생을 몽상가로 사는 것도 가능하다고? 하지만 그걸 누가 바랄까.
벌거벗은 애벌레처럼 뒤엉킨 알몸을 드러내고 잠이 든 이사벨과 테오, 매튜가 여행에서 돌아온 부모님의 시선에 노출된 순간, 이게 끝인가 싶었다. 끝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쌍둥이의 부모는 수표를 써서 머리맡에 고이 놓아두고 조용히 그 집을 나선다. 경악도 분노도 없이 살그머니 딸과 아들이 잠든 집을 나와 차에 올라탄다. 그것은 지나친 믿음일까, 혹은 구원일까, 아니면 회피일까. 잠에서 깨어난 이사벨은 수표를 확인하고 가스 밸브를 열어 호스를 연결한다. 사랑하는 두 남자를 동반한 달콤한 죽음을 꿈꾸는 그 극단으로 치닫는 행위에 숨을 죽이는데, 와장창 유리창을 깨트리고 돌맹이가 날아든다. 몽상을 깨우는 현실이다. 그들은 거리로 나가 데모의 행렬에 합류하고 이사벨과 테오는 화염병을 집어 든다. 그들은 과연 언제까지나 영원히 함께 할 수 있을까.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파리, 68혁명. 영화 밑바탕을 가로지르는 수많은 코드와 상징들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은 누군가의 몫이다. 또 다른 누군가는 순수하게 보이고 들리는 것 외에는 이해도 관심도 불능이다. 다만 망각된 청춘의 한 때를 추억하다가 잠이 들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