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폭력대화랑 비슷한데 상세하게 지침과 예시가 나와있어서 괜찮은 것 같다. 비폭력대화는 좀더 이론이 체계적이고 보편적이어서 둘을 같이 공부하는 것을 추천하고 싶다.
이슬람이 전쟁을 위해, 근대 사회가 산업 발전을 위해 잉여의 전부를 축적한 반면, 라마교는 잉여를 명상의 세계, 세계 속의 인간의 자유로운 놀이를 위해 바쳤던 것이다.-152쪽
개별적 관점에서 보면 문제들은 무엇보다도 자원의 부족에 의해서 제기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관점에서 보면 문제들은 일차적으로 잉여에 의해 제기된다.-80쪽
(전쟁이 아니라면...) 유일한 탈출구는 세계인의 생활 수준 향상에 있다. 오늘날의 도덕적 상황으로 볼 때 미국의 과잉 자원을 흡수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압력을 위험한 수준 이하로 끌어내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것뿐이다.-65228쪽
가장 기초적인 단계에서 살펴볼 때 성이란 유전적 재조합이다. -16쪽
우리 인간이 ‘정보 고속도로’의 개념을 개발하기 훨씬 이전에, 또 원거리 통신이나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전이 있기 훨씬 이전에 박테리아들은 생화학적 정보를 유통시키는 혁신적인 범지구적 연결망을 구축했던 것이다.-82쪽
受與識, 先受而後識也. 識然後受, 非受也 :감수성과 분별의식의 관계에 있어서는 감수성이 먼저 성립하고 난 후에 분별의식이 성립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대상을 일차적으로 나의 감관이 받아들인 연후에 그것을 표상하고 의식하는 것이다. 만약 이와 반대로 분별의식이 먼저 성립하고 감수성이 뒤따른다고 한다면 그것은 참된 감수성이 아니다.-75쪽
자본주의는 인간세의 본연(Sein)이요, 공산주의는 인간세의 당연(Sollen)이다.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는 대등한 이원적 실체가 아니다. 자본주의는 主요 공산주의는 客일 뿐이다. 자본주의는 시장경제가 산업혁명이라는 대량상품생산의 형식을 거치면서 변모한 보편적 형태로서 근세문명의 주축을 형성한 것이고 보면, 공산주의란 자본주의의 주축권의 틀 속에서 그에 대한 반동으로서 그 고삐풀린 욕망의 치달음을 견제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고안된 이데아에 불과했던 것이다.-86쪽
공산주의의 기권은 자본주의라는 인간본연의 主流에 대한 支流로서의 억제기능의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또다시 그러한 기능의 회복을 도모하지 않으면 안된다. 지금 자본의 논리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인류에게 싹트고 있는 가장 근원적 공통의식을 묶는 개념이 바로 "에콜로지"라는 것이다. -8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