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만약 이 세상에서 우리 모두가 눈이 멀고 단 한 사람만이 볼 수 있게 된다면" 이란 가정에서, 이 책은 시작된다.
어느날, 한 남자가 도로의, 자기 차 안에서 갑자기 눈이 멀어 버린다. 모든게 하얗게만 보이는 이러한 증상은, 전염병처럼 주위에 퍼져 나간다. 눈이 안 보이는 그를 도와 집으로 데려다 준 남자에게(그 남자는 눈이 안 보이는 남자의 차를 훔쳐간다), 눈이 안 보여 아내와 함께 찾아간 안과 의사에게, 맨 처음 눈이 먼 남자의 아내에게, 그 안과 의사에게 진찰 받은 환자들에게 .... 그러한 증상은 온 도시를 뒤덮는 가운데, 단 한사람, 그 안과 의사의 아내만이 그 증상의 예외가 된다.
단 한 사람만을 제외하고, 모든 사람이 눈이 먼 세상, 그 세상은 어떻게 될까
당장 먹을 음식도 마실 물도 없다. 있는 것도 찾을 수 가 없다. 생산은 더더욱 불가능하다
거리는 움직이지 못하는 차들과, 온갖 배설물들로 그득하다.
사람들은 삼삼오오 짝지어, 먹을 것을 찾아 벽을 더듬어가며, 엉금엉금 기어서 배회한다
그들은 지나가다 아무 집 또는 가게 등에 들어가 잠을 청하며, 그리고 다시 먹을 것을 찾아 거리로 나선다
음식의 냄새가 나면 서로 차지하기 위해 죽음의 사투를 벌인다.
그런 주검은 동물들의 차지다.
그들이 걸치고 있는 옷들은 거의 누더기 수준이며, 때로는 주위의 가게에서 우연히 발견한 옷들이다, 그러한 옷들도 결국 온갖 오물이 덕지덕지 뭍어 굳어버린다
때로 비가 오면, 빗물을 받아 마시며, 그 빗물에 몸을 씻는다 (어차피 그들의 벌거벗은 몸을 볼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으니)
그 속에서도 힘을 가진자, 먹을 것을 가진 자는 그들의 무리를이루며 힘을 과시한다. 그들, 남성은 먹을 것을 매개로 여성을 강탈한다. 그러한 무리에 대항하는 또 다른 무리, 서로 보지 못하는 그들간의 싸움
저자는 그러한 설정을 통하여 인간 본성의 바닥을 그려 낸다.
식욕, 성욕, 폭력, 두려움, 더러움 등등
하지만 그러한 어둠에서 단 하나의 빛으로의 역할이, 바로 의사 아내의 모습이다. 그녀는 자기 남편을, 그리고 주위 사람을 지키기 위해, 그들을 돌보기 위해, 유일하게 눈이 보이는 자신의 역할에 책임을 다함으로써, 전체 글을 이끌어 나간다.
그러한 생활이 몇 개월(?)이 지나고
어느날 갑자기, '첫 번째로 눈이 먼 남자' 부터 다시 눈이 보이기 시작한다. 다음은 의사의 환자였던 한 여자, 다음은 안과 의사가, 그리고 나머지 사람들도 하나둘씩 ...
그렇게 이 소설을 끝을 맺는다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눈은 멀었지만 본다는 건가.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거죠
만약, 정말 그런 가상의 설정이, 진짜 현실로 이루어 진다면,
당신은 '눈 먼 사람'이길 원하겠는가, 아님 '단 한사람의 눈 뜬 사람' 이기를 원하겠는가
난, '눈 먼 사람'이기는 원치않지만
그렇다고, 의사의 아내만큼 자신의 모든 것을 희생하며, 주위 사람들을 지켜낼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는 자신이 없다.
의사의 아내는 일어나 창으로 갔다. 그녀는 쓰레기로 가득 찬 거리, 그곳에서 소리를 지르며 노래 부르는 사람들을 내려다 보았다. 이어 그녀는 고개를 들어 하늘을 올려다 보았다. 모든 것이 하얗게 보였다. 내 차례구나, 그녀는 생각했다. 두려움 때문에 그녀는 눈길을 얼른 아래로 돌렸다. 도시는 여전히 그곳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