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하나의 사건』Chapther 2️⃣
.
.
🙌안녕하세요.
서울리뷰오브북스의 편집자, 문책입니다.

🏆지난해 서울리뷰오브북스와 알라딘이 함께 주최하고, 아모레피시픽재단이 후원해 첫선을 보인 <2024 우주리뷰상>의 수상작들을 담은 『책 하나의 사건』의 알라딘 북펀드가 4월 30일까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에 하염없이 기다리실 독자님들의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해 드리고자, 『책 하나의 사건』에 실린 7개의 글 중 하나를 간단히 소개하려 합니다.

오늘 소개할 글은 강우근의 「일상적인 것은 어떻게 예술이 될까」입니다.

강우근은 일본의 현대미술가이자 작가인 아카세가와 겐페이의 『초예술 토머슨』의 읽고 일상적 사물, 심지어 무용한 사물이 관계성을 통해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재인식되는 과정을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일상적 행위 역시 ‘예술 행위’로 재인식될 수 있음을 논합니다. 이러한 강우근의 글을 현시원 편집위원은 다음과 같이 평가합니다.

“새로운 서평의 형식을 기대하게 하는 신선한 발상이 돋보였다. 서평자는 아서 단토의 일상과 예술에 대한 비평을 한 축으로 잡고 ‘새로운 관계성’이라는 관점에서 아카세가와 겐페이의 ‘관찰’ 방식을 자신의 서평에 적용한다. ‘초예술 토머슨’이라는 이름 짓기, 무용한 사물과 행위의 관계, 책 바깥으로 나와 구현된 전시의 과정을 리듬감 있게 서술해 나간다. 글은 한 권의 책을 열렬히 관찰하는 데에서 출발해 책이 제안하는 사고의 방식에 동참하는 데 이른다.” ―현시원(큐레이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일상적인 것은 어떻게 예술이 될까」✏️
“쓸모없는 존재로만 보였던 초예술 토머슨은 거리 곳곳에서 시간을 버티며 심지어는 행위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나의 사물이 가지고 있는 흔적에는 언제나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이야기가 있기 때문이다.”
“어쩌면 ‘초예술 토머슨’이라는 이름은 ‘폐기물 스티커’와는 완전히 반대의 형식을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기능을 잃은 사물의 흔적을 미술 작품의 형태로 탐구하고 이름 붙여 주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일상적 사물’이 ‘예술품’이 되는 것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상적 행위’를 새로운 방식으로 인식해서 작품으로 만드는 것도 ‘예술의 한 종류’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일상적 행위를 새로운 방식으로 인식해서 하나의 작품으로 만드는 것.
저는 왠지 이 문장이 반가웠습니다.
독서와 서평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새롭게 인식하려는 ‘서울리뷰오브북스’와 ‘우주리뷰상’에게 건네는 응원 같아서 그랬나 봅니다.😊
2024 우주리뷰상 수상작품집 『책 하나의 사건』을 알라딘 북펀드를 통해 만나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