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모 비룡소 걸작선 13
미하엘 엔데 지음, 한미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개인적으로 동화같이 예쁘고 아름다운 이야기들을 참 좋아한다. 그래서인지 오랜만에 들린 도서관에서 <모모>가 눈에 띄어 읽게 되었다. 생각해보니, 요즘 학교 선생님들께서도 참 많이 읽으시는 것 같았다. 주인공 여자아이 모모는 첫 인상부터가 오랜 동화의 형식을 깨뜨린 낯설다 할만한 주인공 이었다. 동화 속의 예쁜 공주님이 아니라 지저분하고 남자 코트를 입고다니는 말 그대로 방랑자와 같은 존재였다. 그녀는 여기저기를 떠돌아 다니다 마을사람들의 따뜻한 동정으로 원형 극장에 머물게 된다. 그녀에게는 다른 주인공들처럼 딱히 잘하는 것도 없었고, 특출난 능력도 가지고 있지 않았지만 꼭 두 가지만 뽑자면 그저 남의 말을 잘 들어주는 것과 기억력이었다.

나는 모모를 읽기 전까지 내가 남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편에 속한다고 생각했었는데, 모모의 행동을 보니 내 자신이 부끄러워졌다. 모모는 정말 대단했다. 이것도 변명이라면 변명이라지만 요즘 현대인들은 시간에 쫓겨 다른사람들의 말을 무시하기 일쑤이고, 오로지 자신의 욕구와 목표를 향해서만 꾸준히 돌진한다. 하지만 모모는 달랐다. 가지고 있는 것이라면 오로지 친구와 시간 뿐이어서인지 상대방을 말똥말똥 귀엽게 바라보며 그 사람의 숨겨진 능력을 펼칠수 있게 도와주곤 했다. 사람들은 그저 모모를 바라보고 있는 것 만으로도 큰 행복이 되었다. 그리고 긴 시간이 지나 모모에게 큰 시련과 고난이 찾아오는데.. 그것은 시간을 빼앗아가는 시간도둑, 회색신사들의 출연과 함께 시작되었다.

이 회색신사들은 모모 주변인에게 꼭 노년의 큰 희망을 걸게 하여서 아주 자연스럽게도 여러 사람들의 시간을 빼앗아 갔고, 모모는 시간을 빼앗긴 친구들을 모두 잃어버렸다. 이제 더 이상 그들은 모모를 찾지 않았다. 굳이 이유를 따지자면 '바빠서'였다. 우리 현대인들의 모습과 그들의 모습을 비교 해 보라. 현대인들은 오로지 '빨리, 빨리!'라고만 외치며 하루 하루를 바쁘게 살아가고 있다. 이 소설에서 그들이 모모를 찾지 않는 것은 우리가 짧은 시간 속을 바쁘게 뛰어다니며 친구나 말 상대 보다는 돈을 추구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어쨌든 우여곡절 끝에 거북이 카시오페아와 박사님의 도움으로 모모는 다시 친구들의 시간을 찾게 되었고, 마지막은 예상대로 해피엔딩이었다.

'외유내강'이라 해야 어울릴까나. 모모는 마치 겉은 동화와 같이 실없고, 가벼운 것 같이 보이지만 속은 작가가 우리에게 던지는 메세지를 잘 전달하고 있다. 작가는 오로지 돈만 좇아가는 현대인들을 모모를 통해 비판하고자 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런 모모를 보게 된 우리는 한 번 더 자기 자신을 뒤돌아 보게 되고, 반성을 하게 될 것이다. 이제 돈이나 명예같이 물질적인 것 보다는 사랑이나 우정같이 물질적인 가치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가끔은 잠시 삶을 쉬어가며 다른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여 보는 것도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