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한국의 美 특강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의 미 특강>이라는 부담스러운 제목과 예술, 그 중에서도 특히 '미술'이라는 낯선 분야는 이 책을 읽는 것을 망설이게 하기에 충분한 이유가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실제로 이 책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여 어려운 설명을 배제하였고, 강연의 내용을 그대로 책으로 가져와 독자와의 거리를 더욱 좁혔기에 그리 어렵지 않게 읽히는 편이다. 게다가 저자의 재치있는 설명과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은 이 책을 매우 흥미롭게 만들기에 충분하다. 무엇보다 책을 읽고 난 뒤에,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의 의미를 새삼 깨닫게 되는 것은 비할 바 없이 놀라운 경험임에 분명하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책을 읽는 내내 신경 쓰였던 단 한 가지는,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지니는 위험성이다. 우리 문화에 대한 저자의 자긍심과 그에 바탕을 둔 설명을 부인하고 싶은 생각은 추호도 없지만, 그것이 오직 진실인 양 맹신된다는 것은 꽤나 유감스러운 일이다. 저자는 자신의 경험과 배움에서 비롯된 믿음에 확신을 가지고 있고, 또 그것이 객관적 시선임을 강조하지만, 그 자신 역시 그저 일정한 지식을 갖추고 있을 뿐인 한 개인임은 명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화가들이 오직 저자의 일방적 견해에 의해 매도되어 버리는 것에는 쉽게 동의하기가 힘들다.

저자가 소개하는 일화 가운데는 중국 그림에 대해 탁월한 식견을 가진 한 외국교수가 나오는데, 저자는 그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 한국의 그림을 제대로 감상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아쉬워했고, 한편으로는 조금 분통터지는 일이었다고 술회한다. 짐작컨대, 바로 그것이 그 외국교수의 아는바 한계일 터이고, 이는 곧 '아는 만큼 보인다.'는 명제의 위험성, 혹은 한계를 증명하는 것이 아닐까? 모르긴 몰라도, 이 책의 저자 또한 안다고 자부한다면, 역시 그 명제의 한계로부터 쉽사리 자유로울 수 없음이 분명하지 않을까?

어쩌면 이러한 한계에 대해 무위당 장일순 선생님의 일화는 분명한 교훈을 남기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어느 날 거리를 지나치던 선생님이 군고구마 장수가 써놓은 어설픈 '군고구마'라는 글씨를 오래 쳐다보시고는, 그것이 가슴에 사람의 따뜻한 정감이 느껴지는 '진짜' 글씨이고, 자신의 글씨는 그저 장난친 것밖에는 아무것도 아니라고 말씀하셨다고 한다. 이 짤막한 일화가 김홍도의 '송하맹호도'가 세계제일의 호랑이 그림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 저자의 설명보다 더 가슴에 와 닿는 까닭은, 아마도 '아는 것'에 구애되지 않는, 즉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의 한계를 뛰어넘은 선생님의 지극한 경지 때문이라고 믿는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은 이제는 너무나 익숙해 진부해보이기까지 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잘 모르던 분야나, 혹은 별 관심이 없던 분야마저도 몇몇 사실들을 알게 되면 전혀 새롭게 보이고, 관심이 가게 되는 것을 보면,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얼마나 놀라운 통찰력을 지니고 있는 말인지 새삼 느끼게 된다. 하지만 이 말을 맹신하여 아는 것이 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거나, 혹은 그렇게 해서 보게 된 것만이 진실이라고 믿는다면, 그로인해 볼 수 없게 되는 것이 더 많게 될 런지도 모를 일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우리가 간과하는 '한국의 미'와 이를 감상하는 방법에 대한 매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오로지 우리 것만이 최고라는 식의 편협함과 맹목성에 빠질 위험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덧붙이자면, 미술에 대해 문외한인 내가 이렇게 말하는 것은 매우 조심스럽지만, 아주 가끔은, 멋모르는 어린 아이가 벌거벗은 임금님을 직시하듯, 미술을 대할 때도 순수한 어린 아이의 시선으로 보는 것도 때로는 괜찮지 않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g19915115 2008-05-08 17: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서평입니다..우리 글, 그림, 문화에 관한 글들이 보편적으로 가질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한 지적도 옳게 여겨집니다. 하지만, 마음 한켠에 남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우리것만이 최고라는 '편협함과 맹목성'을 가질 만한 안목도 없는 이들이 주변에 넘쳐나기 때문입니다. 고흐 전시회에 가보았습니다. 엄청난 인파에 제대로 감상도 못하고 밀려 나왔습니다. 아이들에게 좋은 그림 보여주려는 부모님이 무척 많더군요....일년에 한두번 하는 간송미술관 전시회에는 고흐의 그림 못지 않은 높은 수준의 작품들이 걸려 나오는 데도 찾는 이가 뜸하더군요..이 무엇입니까...편협함과 맹목성을 꼬집기 전에, 우리 것의 아름다움과 그 아름다움을 보는 눈을 누군가 목놓아 얘기한다면 그 용기와 지성을 보다더 칭찬해야 하지 않을까요..
오주석 선생이 돌아가시고나서 앞으로 그 일을 그이만큼 누가 더 할 수 있을까 생각하니 가슴이 아픕니다.좋은 서평 잘 읽었습니다.

Fenomeno 2008-05-08 2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말씀하신대로, '우리 것'의 진정한 가치를 제대로 인식조차 못하는 상황에서 '우리 것'의 아름다움을 가르쳐주시고자 애쓰신 오주석 선생님의 가르침은 저 역시 진정 소중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분이 너무나도 일찍 돌아가신 만큼, 그 분에 대한 아쉬움 역시 더욱 크기도 하구요. 그래서 이 어줍잖은 글을 쓰고나서는 혹 이 글이 너무 한쪽 면(위험성)만을 드러낸 것이 아닌가 혼자 걱정하기도 했습니다.
제가 지적한 '위험성'은 이 책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보편적 현상에 대한 경계에 더 무게중심을 두고 봐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오주석 선생님의 견해에 대한 이견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보다는 선생님에 대한 존경심과 감사함이 더 큼에도, 제 부족한 글이 그 점을 드러내지 못해서 스스로도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용기와 지성에 대한 칭찬'을 이렇게 댓글로나마 거론할 수 있어서 개인적으로는 무척 다행스럽습니다. 적확한 지적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