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주의와 주체성 - 흄에 따른 인간본성에 관한 시론
질 들뢰즈 지음, 한정헌.정유경 옮김 / 난장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경험주의와 주체성



다의적 의미를 내포한 철학 용어는 어렵다.
한편으론 일상적 의미가 익숙한 단어의 철학적 사용(번역) 역시 어렵다. 이 책에 믿음, 발명, 고안물, 정황, 착란, 망상, 환상 등이 그렇다.
들뢰즈는 서문에서 흄의 경험주의는 관념들의 감각적 기원에 의해 본질적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그것은 관계, 경우, 착각(가상)이라는 세 가지 문제를 발전시킨다.
한편으로, 관계는 외재적이고, 연합의 원리에 의존하며, 그 원리는 정념에 따라 작용할 뿐이다. 연합론만이 법, 정치, 경제의 실천에 종사한다.
이 모든 영역에서 경험주의는 믿음을 자연화시키는 무신론적 기획 안에서 지식을 실천적 믿음으로 대체했다.
이렇게 흄의 경험론, 인식론, 도덕관, 종교론을 정리했다.
들뢰즈에게 철학적 이론이라는 것은 전개되는 물음이지 다른 것이 아니다. 그 자체로 그것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제기된 물음의 필연적 내포들을 끝까지 전개시키는 작업이다.
여기 흄의 철학(들뢰즈의 철학)을 전개하며 사유하는 것이 놀랍다.
내가 철학 - 철학책을 읽는 - 이유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의 특권 - 행복하면 우리는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숀 아처 지음, 박세연 옮김 / 청림출판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 행복의 특권


행복.
그리고 성공.
너무나 흔히 듣는 말이지만
곁에 두려면 도움이 되는 좋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왜 자신을 속이도록 진화했을까? - 진화생물학의 눈으로 본 속임수와 자기기만의 메커니즘
로버트 트리버스 지음, 이한음 옮김 / 살림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우리는 왜 자신을 속이도록 진화했을까?



인간은 의식을 하든 무의식이든 거짓되기도 하지만,
우리는 왜 사람의 판단, 인간의 사회적 적응, 인류학적 진화의 토대를 기만이라는 말로 포괄 적용해야 할까?
저자가 표현한 ‘기만‘이라는 의미을 고민해 봤다면 이 책은 그저 그러려니 하는 것이고 아니면 놀랍기 밖에 더 하겠는가.
굳이 자신의 사고와 행동에 기만이라는 테두리를 의식하며 살 수는 없지 않은가.
차라리 편향될 수 있을지언정 자기 통찰에 가치를 두겠다.
생존하는 유전적 결정은 그것이지 않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대한 전환 - 우리 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코기토 총서 : 세계 사상의 고전 18
칼 폴라니 지음, 홍기빈 옮김 / 길(도서출판)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거대한 전환


˝역사적으로 정상적이라 할 패턴은 오히려 경제를 사회에 종속시킨다는 것이었지만,고전파 경제학자들의 자기 조정 시장 체제는 거꾸로 사회를 시장 논리에 종속시킬 것을 요구했다.˝ (39쪽)
고전파 경제학자의 교조주의적 주장은 어쩌면 이 시대의 현실을 반영한 듯하다.
좁게는, 개인의 경제적인 부의 척도로서 그가 가진 삶의 무게를 측정하기 때문이다.
칼 폴라니는 시장 자유주의의 자기조정 시장경제를 비판하면서 삶의 본질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서설 - 아랍, 이슬람, 문명
이븐 할둔 외 지음 / 까치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역사서설


조금 낯설은 중세 아랍국가의 역사서이자 문명론.
민족의 문화가 변화하면서 국가는 흥망성쇠를 피할 수없고 새로운 국가가 형성한다고 한다.
여기서 전야의 종교적 신념을 말하는 저자는 작금의 중동분쟁을 어떻게 이해할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