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와 한국인과 일본인

월드 베이스볼 대회에서 일본이 운 좋게 우승했다.
이번 야구경기는 여러가지를 보여 주었다.
그 중의 하나가 한국인과 일본인의 성격 차이다.
한국인과 일본인은 어떻게 다른가.
고려대 총장을 지낸 민속학 교수 홍일식 박사가 두 민족의
성격 차이를 ‘도둑 누명’을 예로 들어 설명한 적이 있다.

황희 정승이 젊은 시절 어느 시골을 지나다 주막에 들러 쉬게 되었다.
그때 마당에서 거위가 구슬을 집어삼키는 것을 목격했다.
얼마 후 그 집주인이 귀한 구슬을 잃어버렸다며 난리를 치더니
남루한 옷을 입은 황희를 도둑으로 몰아 관아에 고발했다.
하룻밤 고초를 당한 후 다음날 문초가 시작되자 황희는
“거위가 지금쯤 똥을 누었을 테니 주막에 가서 살펴 보라”고 말했다.

관리가 달려가 보니 과연 거위의 똥 속에 구슬이 있었다.
관리가 “왜 이제야 말하느냐”고 묻자 황희는 “내가 그 때 사실대로 말했으면 주인이 거위의 배를 갈랐을 것이다.
내가 조금만 참으면 거위를 살릴 수 있지 않은가”라고 대답했다.

이에 비해 일본 사람들이 누명을 썼을 때 즐겨 쓰는 일화는 가슴이 서늘해질 정도다.
옛날 일본 시골에 떡장수와 가난한 낭인무사가 이웃해 살고 있었다.
그런데 낭인무사 아들이 떡집에 와서 놀고 간 뒤 떡이 한 접시 없어졌다.
떡 장사가 무사에게 달려와 “당신 아들이 떡을 훔쳐먹었으니 물어내라”고 했다.
무사는 “아무리 가난하지만 사무라이의 아들은 남의 것을 훔치지 않는다”며 호통쳤다.
그러나 떡 장사가 물러가지 않고 계속 돈을 내라고 하자
무사는 “내 아들이 결백하다는 것을 보여주마”라고 말한 뒤 아들을 칼로 찔러 배를 갈랐다.
거기에는 떡이 없었다. 그리고는 이어 떡 장사의 목을 베고 자신도 자살했다.

위의 두 에피소드는 문제 해결을 둘러싼 한국인과 일본인의 마음가짐이 얼마나 다른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한국인에게는 무죄를 증명하기 위해 아들의 배를 갈라 보인다는 것은 상상도 못할 일이다.
그러나 일본인들은 치욕을 만회하기 위해서는 죽음도 서슴지 않는다.
한국인의 피에는 선비정신이 깃들여 있고 일본인은 사무라이 정신이 스며 있다.
한국인들은 느슨하면서도 인정이 있고 일본인은 깔끔하지만 독기가 있다.

만약 한국과의 3차 대결에서 일본이 졌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
그건 야구팀만의 치욕이 아니라 일본과 일본 국민의 치욕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일본 야구선수들이 한국에 세 번이나 지고 귀국하는 모습은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야구팬들 중 누가 할복 소동을 피우지 않았을까.
상대방을 코너에 몰아넣는 완승은 후유증을 몰고 온다.
한국이 일본한테 진 것을 억울하게만 생각할 일이 아니다.

터키를 여행하노라면 터키인들의 한국인에 대한 호감에 놀라게 된다.
축구광인 이들이 코리안을 반가워하면서 하는 이야기가 걸작이다.
“월드컵 축구 때 한국이 터키한테 져준 것 감사해요.
그 덕분에 우리가 결승에 진출할 수 있었어요.”

이기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패함으로써 얻는 교훈과 이득이 있다.
한국 야구팀이 일본팀에 지면서 보여준 여유와 한국 팬들의 격려는
한국인과 일본인의 성격 차이를 실감나게 보여 주었다.
방망이를 들고 나와 타석에 선 선수들의 눈빛에서도 그랬다.
한쪽은 선량해 보이고 다른 한쪽은 오만해 보였다고 생각되지 않았는가.
한일 2차전에서 보여준 이치로 선수의 기분 나쁜 눈빛이 바로 그런 종류다.
경기뿐만이 아니다. 국민성을 보여준 것이 이번 WBC 대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체적인 장애를 극복한 사람을 본받아라. 아들아! 며칠 전에 다리 하나가 없는 장애우가 너에게 다가왔을때 너는 그 장애우가 무서웠던지 그만 큰 소리를 지르며 뒤로 물러서더구나. 단지 신체적인 장애로 생활이 불편할 뿐이지 어쩌면 그들은 우리보다 더 건강한 생각과 마음을 지녔을지도 모른단다. 장애를 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단다. 하지만 태어날 때부터 신체적인 장애가 올 수도 있고 살다보면 뜻하지 않는 사고로 장애가 올 수도 있는 거란다. 장애는 곧 나의 일이고 우리 가족의 일과도 같은 거란다. 그러니 장애우에 대한 편견보다는 사랑과 보살핌의 마음을 베풀어야 한단다. 아들아, 너는 신처젝인 장애를 극복한 사람을 존중하고 그들의 강한 의자와 정신력을 본받아야 한단다. 또한 장애우에 대한 편견을 버려야 한단다. 편견을 버리면 세상이 바로 보이고 사람이 바로 보인단다. 그리고 장애우의 슬픔을 헤아리면서 동시에 그들에게 도움을 줘야 한단다. 마지막으로 너의 몸이 건강하다는 것에 늘 감사하길 바란다. "아빠가 전하는 사랑의 편지 50" 책 중에서... 저자 - 김현태 <삼성당 아이 제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걱정의 40%는 절대 현실로 일어나지 않는다.
걱정의 30%는 이미 일어난 일에 대한 것이다.
걱정의 22%는 사소한 고민이다.
걱정의 4%는 우리 힘으로는 어쩔 도리가 없는 일에 대한 것이다.
걱정의 4%는 우리가 바꿔놓을 수 있는 일에 대한 것이다.

- 어니 젤린스키의 《모르고 사는 즐거움》 중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있을때 미칠것 같은 여자보다는
    없으면 미칠것 같은 여자가 좋다.

    완벽한 여자보다
    먼가 챙겨주고싶은 부족한 여자가 좋다.

    밥을 무식하게 먹으며 화장으로 마무리 하는 여자보다
    이빨에 고춧가루가 껴도 깨끗하게 먹는여자가 좋다.

    변화를 무서워하는 여자보다
    변화를 즐기는 여자가 좋다.

    나밖에 모르는 여자보다
    자신부터 챙기는 여자가 좋다.

    한번 삐치면 오랫동안 삐쳐있는 여자보다
    바보같지만 금새 잊어버린척 웃어주는 여자가 좋다.

    순종적인 여자보다
    가끔은 화도낼줄 아는 여자가 좋다.

    질투를 벗삼는 여자보다
    애교섞인 질투를 보이는 여자가 좋다.

    눈치보며 이성만나는 여자보다
    자신있게 말하고 떳떳히 만나는 여자가 좋다.

    고정관념으로 사는 여자보다
    가끔은 엉뚱한 여자가좋다.

    누가봐도 아름다운 여자보다
    내눈에만 아름다운 여자가 좋다.

    * 없으면 미칠것 같은 여자...
    * 뭔가 챙겨주고싶은 부족한 여자...
    * 고추까루껴도 깨끗하게 먹는 여자...
    * 변화를 즐기는 여자...
    * 자신부터 챙기는 여자...
    * 삐진 여자보단 웃어주는여자...
    * 가끔 화를 낼줄 아는 여자...
    * 애교섞닌 질투를 보이는 여자...
    * 떳떳이 만나는 여자...
    * 가끔은 엉뚱한 여자...
    * 내눈에만 아름다운 여자...

    ...늘...그렇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원숭이두 나무에서 떨어질이 날이 있다 하던데... 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