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헤어웨어 이야기 - 신화에서 대중문화까지
원종훈.김영휴 지음 / 아마존북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헤어웨어.

처음 들어보는 단어였다.

그런데 단어를 읽자마자 무슨 뜻인지 이해가 갔다.

여자라면.. 아니, 사람이라면 이해하지 않을까?


곰곰히 생각을 해보니 동물들도 자신의 털을 가꾼다는 것이 기억났다.

헤어웨어.

가볍게 생각할 단어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인간은 머리카락을 사랑했다.

집착에 가까울 정도로.


이 책은 우리 역사 속에서 보이는 헤어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그림 속에서 보이는 다양한 헤어는 그 시대의 특징정도라 생각해었다.

하지만 헤어에 관한 내용만 정리하니 이것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었다.


메두사의 머리카락과 부드러운 머릿결은 육체의 과시였다.

그 육체는 관능미였고 거절하기 힘든 강인한 끌림이었다.

신과 겨눌 정도로 자신감을 올려주기도 했다.

신은 그런 메두사의 관능미를 탐하고자 했고 끝내 메두사의 머리카락은 저주와 고통으로 돌아왔다.


머리카락이 뱀으로 변한 메두사.

왜 하필 머리카락이 무서운 뱀으로 변한 것일까?


가발은 속임수라고, 악마의 발명품이라고, 그리고 여인들은 악마로 통하는 문이라고.

남성들과 성직자들의 그 오만함 속에서, 여인들은 끊임없이 자신들의 발명품을 만들고 퍼뜨렸으리라.


시대적으로 드러나는 헤어에 관한 의미와 그로 인한 행동들.

자신의 주장을 펼치기 위해 머리모양을 손보고,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기위해 머리모양을 만들고.

더 크게, 더 화려하게.

과시욕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불필요하고 거추장스럽게 커져만 가는 헤어.

그 모습을 보며 하루하루 먹거리를 고민해야 했던 이들은 어떤 마음이었을까?


현재에는 그 의미가 조금 바뀌기도 했다.

의미를 지닌 헤어웨어를 마케팅에 활용도 하고.

소설이나 만화, 영화속 주인공의 성격을 대변하기도 하고.

옷과 더불어 각자의 개성과 성격을 대변해 주는 헤어.

웨어라는 말이 붙을 이유가 충분해 보였다.


과거, 현재.

영원히 그 존재감이 뚜렷한 헤어웨어.

미래에는 또 어떤 모습으로 우리를 나타내고 표현해줄지 궁금해진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지만,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