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며느리 방귀 ㅣ 네버랜드 우리 옛이야기 30
이상교 지음, 나현정 그림 / 시공주니어 / 2009년 4월
평점 :
유쾌한 방귀 이야기 한번 들어보실래요~~~ 바로 시공주니어의 네버랜드 우리 옛이야기 [며
느리 방귀]랍니다. 아이들 똥이나 방귀에 관한 이야기라면 자다가다 벌떡 일어나잖아요.
우리아이들 역시 그렇답니다. 특히 이책은 방귀소리가 너무나 재미나게 표현되어 있어
아이들 입가에 웃음이 떠나질 않았습니다.
며느리 방귀는 복숭아처럼 곱고 요리잘하고 바느질 솜씨 좋은 며느리가 날이 갈수록 얼굴색이
누렇게 되어 시아버지가 그 연휴를 묻자 방귀를 못 껴서 그렇다고 합니다. 이에 시아버지는 괜
찮다고 하고 드디어 며느리는 시집온지 3년만에 방귀를 뀝니다. 그러자 문을 잡고 있던 시아버
지며 솥두껑을 잡고 있는 아가씨까지 모두 날아가고 집은 풍비박산이 납니다. 시아버지는 며
느리를 친정으로 돌려보내기로 하고 길을 나서는데 길가에 있던 시원한 배를 며느리가 방귀로
따주자 며느리의 방귀가 복방귀임을 함께 집으로 돌아와행복하게 산다는 이야기랍니다.
이런 유쾌하고 상쾌한 며느리방귀를 읽는 재미가 하나 더 있었으니 바로 그림이랍니다.
요즘 그림책들이야 워낙에 그림들이 재미나지만 며느리 방귀의 그림은 조금 새로운 느낌이였어
요. 사실 처음 책을 봤을땐 아이들이 보는 그림책인데 조금 무겁게 그려지지 않았나 했는
데 자꾸 볼수록 친근감이 드는 그림에 또한 얼굴이 둥글고 덩치가 큰 며느리의 그림은
그시절 여성상을 엿볼수 있었습니다.
또한 그림 곳곳에 나타나는 우리 선조들의 생활용품들은 그시대의 생활상을 조금씩 엿
볼수 있었고 첨지, 지게, 솥뚜껑, 기둥, 문고리등 처음 만나는 단어들이 많아 새로운 말들을
익히는 계기도 되었습니다.
마직막 [며느리 방귀]를 보는 또하나의 재미는 아동문학연구가이자 고려대강사인신 이제운
님이 쓰신 방귀의 현상과 옛날의 며느리의 자리,며느리의 생활등에 덧붙여 놓은 글은
참으로 유익한 글이였습니다. 참는것이 미덕이요, 시댁에서는 아무런 존재적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던 그시절 며느리들에게 방귀는 일종의 카타르시스가 아니였을런지요.
방귀로 인해 친정으로 쫒겨나야 했지만 또한 방귀 한번 잘 껴서 시아버지에게 시원한 배를 따 드 리는 효도를 한 며느리는 방귀가 자신의 능력이 된 셈입니다.
[며느리방귀]는 하하호호 웃고 읽으면서 옛 선조들의 삶의 방식이나 가치를 함께 엿볼수 있는 책이였습니다
뻐어엉 뻐엉~꽈르르르,꽈르르!
뿌웅, 뿌우우우웅 뿌아아앙! 콰광 콰광!
방귀소리가 재미나게 표현되어 아이들에게 더 큰 즐거움을 선사하는 [며느리방귀]를 읽고 7살 재 현이와 함께 떠난 책여행입니다. 방귀에 대한 책이다보니 방귀에 얽힌 책 [귀방귀 나가신다/ 웅진주니어]과 연계해서 보면서 방귀가 껴지는 현상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보며 책속 내용을 되짚어보고 재미났던 며느리가 방귀끼기 전에 온가족이 기둥,문고리, 솥뚜껑등을 잡고 있는 부분을 그림으로 그렸습니다. [며느리방귀]와 함께 하는 시간동안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끊이질 않습 니다.
▶7살 재현이의 책여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