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어의 온도 (100만부 돌파 기념 양장 특별판) - 말과 글에는 나름의 따뜻함과 차가움이 있다
이기주 지음 / 말글터 / 2016년 8월
평점 :
품절
책을 보면 보자마자 첫눈에 반하듯 바로 읽게되는 책이 있는가 하면, 한참을 서로 줄다리기 하듯 가만히 두고보다 읽게 되는 책이 있다.
어?! 왜 이제야 읽었을까 진작에 읽을걸 하고 밀당한 것을 매우 후회하며,설레고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읽는 책이 있는가 하면,
음~~ 밀당을 더 할걸 하는 마음이 드는 책이 있다. 언어의 온도는 내게 밀당에 진듯한 기분이 드는 책이다
출판되면서 계속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라와 있기에 관심만 두다 이번에 눈을 맞추며 읽어 내려갔다.
작가의 주변에 대한 호기심과 관찰력이 대단하다.
주변의 모든 풍경과 상황과 사람들을 흘려 보내지 않고 세심하게 눈길을 주며 이야기를 하며 마음속에 담아낸다. 딱 거기 까지 .
더 이상의 특별함도 새로움도 없다.
왜? 이토록 오래도록 베스트셀러 인지를 모르겠다.
쉽고 편하게 읽혀지기 때문일까? 아님 자신의 주변 사람들 과의 관계에서 일어난 일을 소소하게 대립시키며 써내려가서 일까?
어디서 많이 듣던, 읽던 내용 같은 부분이 많다. 그건 아주 보편적으로 우리 일상에서 마주치는 풍경, 상황을 다루고 있어서 인듯하다. 작가는 많은 호기심과 주변에 관심이 많아야 글감과 필력이 좋아진다.
그런점에서 이기주 작가는 적확하다.
내용도 어렵지 않고, 언어의 온도도 차갑지도,
뜨겁지도 않은 딱 사람의 체온 36.5도를 유지하고 있다. 누구나 쉽고 부담없이 읽기에 좋은 책 이다.~~
-용광로처럼 뜨거운 언어에는 감정이 잔뜩
실리기 마련 입니다.
말하는 사람은 시원할지 몰라도 듣는 사람은
정서적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얼음같은 차가운 표현도 위태롭기는
마찬가지 입니다.
상대의 마음을 돌려세우긴커녕 꽁꽁
얼어붙게 합니다."-
- 본문 중 -
내면이 강한 사람은 강한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부드러운 말로써 상대방을 감싸버린다. 강한 말투는 자신을 확신할 수 없어서 이며,약함을 포장하기 위함이다.
활화산 같은 말은 상대를 설득시킬 수 없으며
나와 상대방을 태워 버릴 뿐이다.
나는 얼마나 많이 확신에 찬 말을 했으며,
차갑고 뜨거운 말들을 쏟아냈는지 모르겠다.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수행이며 많은 노력이 필요한것 같다.
그 사람이 쓰는 언어를 보면 그 사람의 인격을 알 수 있다고 했다.
나이가 들수록 좀더 언어의 품격을 높일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겠다.
차갑지도 뜨겁지도 않은 36.5도를~~~